에일리언 VS 프레데터 2(영화)

파일:Attachment/에일리언 VS 프레데터 2(영화)/aliens vs predator requiem ver4.jpg

AVPR: Aliens vs Predator - Requiem, 2007

In space, no one can hear you scream. On Earth, it won't matter.

에일리언 시리즈프레데터 시리즈크로스오버물인 에일리언 VS 프레데터 프랜차이즈의 두 번째 영화.

1 줄거리

남극에서 퀸 에일리언을 물리치고 죽음을 맞이한 스카 프레데터의 몸속에서 프레데일리언이 뛰쳐나온다. 프레데터 우주선은 프레데일리언의 난동으로 아수라장이 되고 미국 콜로라도 주의 외딴 지역에 추락한다. 프레데일리언과 프레데터들이 보관하고 있던 페이스 허거들이 추락한 우주선 밖으로 탈출한다.

먼 우주에서 이 사고를 감지한 울프 프레데터는 뒷수습을 위해 지구로 향한다.

2 등장하는 에일리언들

facehugger_painted_by_liquid_venom-d8epv6j.jpg
페이스 허거

DC78990lg.jpg
체스트 버스터

100_1346.jpg
(우측면)
리지(주적, 워리어 형태의 바리에이션)

100_4450.jpg
predalien_sculpt_fanwork_by_sash4all-d30boxc.jpg
프레데일리언

3 등장하는 프레데터

3043321-p-wolf.jpg
울프

2948_press01-001.jpg
맨얼굴

4 반응

미국 개봉시 제작사가 (아마도 혹평을 피하기 위해) 평론가들을 위한 개봉전 시사회를 공식적으로 개최하지 않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메이저 언론 및 평론가들은 이 영화에 대해 무관심으로 일관하였다. 다만 일부 평론가들은 개봉 후 일반 극장에서 영화를 관람하고 평을 전했는데, 예상대로 냉담한 반응으로 일관되었다.

  • 릴뷰스의 제임스 베랄디넬리 - 호 호 호. 이것은 이 영화를 돈주고 본 아무나에게 보내는 웃음.
  • 할리우드 리포터의 커크 허니컷 - 졸작 비디오 게임처럼 보이는 멍청한 액션 영화.
  • 보스톤 글로브의 타이 버 - 이 영화의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배우들의 형편없는 연기이고, 둘째는 도대체 스크린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관객들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는 것.
  • 필름크리틱 닷컴의 키쓰 브리시 - 어떻게 스튜디오의 멍청함과 팬들의 강박관념이 영화산업을 만들어가는가에 대한 완벽한 사례.
  • LA 타임즈의 마크 올센 - 액션은 어두운 조명 아래서 이루어지고, 당연하게도, 클라이막스 씬에서는 폭우가 내린다. 다시 말하지만, 이것만이 이 영화가 택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었을 것.
  • 토론토 글로브 앤 메일의 제이슨 앤더슨 - 우리는 더 이상 지구가 에이리언과 프레데터의 싸움을 목격하는 일이 없기를 바랄 뿐.

이번에는 아예 두 종족을 합쳐버린 프레데일리언이 적으로 등장해 팬들의 이목을 끌었다. 이 프레데리언을 필두로 에일리언 무리가 떼거지로 마을을 침투해 가고 이에 맞서는 인간들과 이를 사냥온 프레데터 1마리의 3파전이 주된 이야기. 1편에서는 그나마 동맹이었던 인간과 프레데터지만 여기서는 서로 치고박고 싸운다. 하지만 최후의 싸움은 프레데일리언 VS 프레데터. 인간은 들러리일 뿐이다.[1] (...)

인간이 들러리라는건 둘째치고, 개연성이라고는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가 없다. 일단 전투신 빼면 볼게 '전혀'없다는게 문제인데, 이게 전혀 과장이 아닌것이... 작중 등장'인'물의 묘사가 하나부터 열까지 개연성도 없고 의미도 없기 때문이다. 전과자로 나오는 형은 강도짓을 저질렀었다고 하는데도 아무 이유도 없이 보안관을 비롯한 다른 등장인물들에게 믿음을 얻고있으며 문제아인것처럼 묘사되는 동생은 바로 다음장면에서 왕따당하는 찌질이처럼 보였다가 다시 야구방망이 들고 설치는 문제아로 되돌아오니... 인간중에서는 나름 주인공의 위치에 있는 형제가 이럴진데 다른 인물들은 더 말할것도 없다. 보안관은 실종자를 찾는 부하를 '대충 찾아보고 퇴근해~'라고 가버리고 그 아내는 항상 휴대폰을 갖고다닌다는 남편이 연락도 없이 집에 안 들어오는데 아무런 걱정도 안 하다가 '아니 걔 집에 안 들어갔어?' '보안관님이랑 같이 있는거 아니었어요?'하며 멘붕을 일으킨다.

제일 큰 문제는 인물들이 거의 전지적 작가의 시점으로 정보를 얻고 움직인다는 것인데, 주인공 동생과 여친이 둘이서만 한 얘기를 전남친이 현장에서 들은 것처럼 행동하는등의 소소한 문제는 그렇다 치더라도, 작중 제노모프가 인간을 숙주로 번식하는 모습은 아무도 보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2] 높으신 분은 당연하다는 듯이 사람을 광장으로 모아서 몰살시키려고 하고, 주인공 일행은 아무렇지도 않게 그 속셈을 알아챈다...

고어한 장면들(15세이상 관람가 등급이라는게 이해가 안될정도로...)이 나오니 비위가 약한 사람들은 주의할 것. 할리우드 영화에서 웬만하면 안 죽는 사람들(어린아이, 임산부, 아기)이 잔인하게 죽어나간다. 연출에 있어서는 '에일리언 2'와 '프레데터 2'를 섞은듯한 구성을 띄고 있다. 애딸린 여전사의 에일리언과의 전투는 '에일리언 2'를, 도심속에서 프레데터와의 전투는 '프레데터 2'.

많이도 까였다(...).

팬들의 반응도 비슷하게 혹평일색이었지만, 1편과는 다르게 각 캐릭터들의 특징을 잘 살렸다는 점은 칭찬받았다.
음습하게 어둠에 숨어있다가 빠른 스피드로 기습을 감행하는 에일리언.
워리어들을 수족으로 부리면서 빈틈을 노려 강력한 한방을 날리는 프레데일리언.

각종 장비와 무지막지한 완력으로 사냥터를 누비면서 워리어를 십수마리 때려잡는 위엄찬 사냥꾼 프레데터. 특히 그런 사냥꾼의 특성과 더불어 프레데터에 관한 설정(모성을 비롯, 다양한 무기들)이 많이 나와서 프레데터 팬에게는 꽤 호평받기도 했다.

즉, 영화 자체의 작품성은 (그래도 영화로서 최소한의 도리는 했던 전작에 비해) 재앙 수준이었지만, 에일리언프레데터의 개성을 살리는 면에 있어서는 오히려 전작보다 나았다는 평가.

5 설정

Bluray1052.PNG
Normal_bluray1056.PNG
전편의 '웨이랜드사'에 이어 '유타니'사의 창업자 유타니 박사가 등장하여 웨이랜드 유타니의 탄생에 대한 떡밥을 내놓았다.[3] 또한 스티븐 대령이 가져온 프레데터플라즈마 캐스터도 웨이랜드 유타니 사의 과학기술력과 관련이 있음을[4], 스티븐 대령과 함께 육군과 공군의 참모총장으로 보이는 거물들이 함께 온 것이 에일리언 4에서 언급한 회사와 군과의 관계를 암시하는 떡밥을 던졌다. 그 때문에 일부 팬들은 이 영화의 제작진들과 마찬가지로 에일리언 시리즈프레데터 시리즈를 이으려는 시도를 했었다. 하지만 프로메테우스가 나오면서 그 시도는 실패한다.
왜인지 에일리언의 산성 피의 위력이 다른 시리즈들보다도 강력하게 묘사되는데, 이전 시리즈들에서는 심한 화상을 입히는 정도로 그치던 것이 튄 것만으로 인간의 팔을 녹여서 끊어버리고 얼굴에 맞으면 뼈까지 녹여서 죽게 만드는 정도가 되었다. 사실 에일리언 1편의 페이스허거의 산성피 위력을 생각하면 원래대로 돌아간거다(...)

6 홈 미디어

국내에 출시되어 있는 2디스크 DVD의 구성이 제법 훌륭하다. 1번 디스크는 극장판 본편(감독, 제작진 및 배우들의 음성 해설 포함) 및 하나의 삭제 장면을 수록하고 있으며, 2번 디스크는 약 1시간여의 제작 다큐멘터리 및 각종 자료들을 수록하고 있다. 에일리언과 프레데터를 과학적으로 분석한 내용의 짧은 영상물이 재미있다.

1디스크로 출시된 블루레이판에는 DVD의 모든 부가영상과 더불어 20개의 삭제 장면[5], Weyland-Yutani Archives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 등이 추가로 수록되어 있다.

Blu-ray.com <에일리언 VS 프레데터 2: 레퀴엠> BD 리뷰(영문)
High-Def Digest <에일리언 VS 프레데터 2: 레퀴엠> BD 리뷰(영문)

7 게임

동명의 게임도 출시되었다. 기종은 PSP 한정. 제작사는 리벨리온[6]이지만, 이 회사가 맡은 시리즈 내 타 작품들과 달리 FPS가 아닌 3인칭 액션게임으로 제작되었다.

(라고 위에 어떤 위키러가 써놨지만, 일본에서도 CPS2기판으로 캡콤의 횡스크롤 액션 에일리언VS프레데터를 내놓았다. 상당한 명작이다)

싱글 캠페인에서는 프레데터를 조작하여, 영화의 줄거리를 비슷하게 따라가는 15개의 미션을 플레이한다. 대체적으로 영화와 비슷하지만, 마지막에 주인공 프레데터가 살아서 지구를 탈출한다는 점이 다르다. 이외에 한정된 시간 내에 최대한 많은 에일리언을 제거하는 Skirmish 모드도 있는데, 이 모드는 ad-hoc을 통한 협동 플레이도 가능하다.
  1. 근데 이 장면도 프레데일리언과 프레데터의 안습한 죽음이라며 까였다. 왜냐하면 프레데일리언은 거의 이 작품의 최종보스고 작중 등장한 프레데터 또한 지위가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 전사인데 인간의 핵폭탄으로 인해 다른 에이리언들과 함께 같이 죽음을 맞는다는 설정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사실 프레데터가 피터지는 결투 끝에 프레데일리언을 쓰러트리고 자신의 자폭폭탄으로 마을을 파괴해버림으로서 에이리언의 존재를 소멸시키는 결말이 나았을거란 지적도 있다.
  2. 딱 한 명 등장하기는 하나 자기가 뭘 봤는지도 설명 못한다. 설사 다른 목격자가 있어서 제대로 설명했다손 쳐도 거기서 튀어나온 체스트 버스터가 몇 시간만에 성체로 자란다는 사실을 알리가 없다. 일단 사건이 터진게 고작 이틀 전인데...
  3. 웨이랜드의 죽음으로 주가가 폭락한 웨이랜드사를 인수했다고 한다.
  4. 어쩌면 1편에서 살아남은 우즈도 유타니나 군으로부터 협력을 요구 혹은 협박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5. 북미판 블루레이에는 이 삭제장면들이 본편과 합쳐진 확장판이 함께 수록되었지만, 국내판에서는 별도의 삭제장면으로만 볼 수 있다.
  6. 1994년, 1999년, 2010년작 <에일리언 vs 프레데터> FPS를 제작한, 이 프랜차이즈와는 오랜 인연을 가진 제작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