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자

1 이름

성을 제외하고 이름이 한 글자로 된 것. 이 항목에서는 한 글자로 된 이름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한국의 경우 족보 문화가 전래된 이래로 양반가의 성명에 세 가지 정보를 담으려는 경향이 있어왔다. 첫째는 성(○○ 김씨)이고, 둘째는 항렬(○○ 김씨 △△세손)이며 셋째는 자신을 타인과 구분짓는 별도의 한 글자. 따라서 성과 이름을 더해 두 글자로 된 성명은 예나 지금이나 소수사례. 항렬을 표시하는 부호를 한 글자(항렬자)가 아닌 글자의 부수로 지정해서 외자 이름을 쓰면서 세 가지 정보를 다 담기도 한다. 조선시대에는 왕이 될 수 있는 적통의 이름을 외자로 썼다. 특정 가문이 왕권을 쥐었다는 씨족국가의 한계를 탈피해 보편군주로 군림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일...지도? 또한 피휘 때문에 피하는 글자 수를 줄이기 위해서라고도 한다.

오늘날에는 씨족의식이 희박해져 항렬자에 상관없이 순전히 개인의 취향으로 자식의 이름을 짓는 경향이 뚜렷해졌는데, 이에 따라 부모의 가치관과 시대의 유행에 비추어 부르기 좋고 의미있는 자를 하나 정해 자식의 이름을 외자로 짓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다. 아무래도 세 자는 너무 길고 두 자는 흔하니 외자로 가자(...)는 느낌일지도. 이 경우 둘째, 셋째 자녀도 외자를 쓰게 한다.

형제자매가 많은 집의 경우 외자 이름을 간접체험해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형제자매들의 이름이 유석, 유진, 유민일 경우 부모는 굳이 두자를 다 부르기 귀찮고 애칭을 겸할 겸 석아, 진아, 민아 하고 부르는 경향이 있기 때문.

창작물에서 등장인물의 이름을 외자로 부여하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이런 이름은 만들기도 편할 뿐더러 국적성이 희박해진다는 것 때문에[1] 분명히 한국식 작명임에도 이국적인 느낌을 주기 쉽다고 한다. 더불어 외자의 희소성이 있기 때문에 주변에 없음직한 이름을 써야 할 경우에 자주 쓰인다.

양천 허씨의 경우엔 허준처럼 외자 이름으로 짓는 경우가 많다. 이는 허씨 가문의 허선문이 왕건에게서 개국 공신으로서 준 왕족 지위를 보장해 이름에 외자를 쓸 수 있게 보장받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현대에도 저 전통이 남아있긴 해서 허재, 허각 등 허씨 외자 이름을 가진 사람은 꽤 많다.

1.1 외자이름을 가진 실존인물

본명이 외자인 인물만 기재할 것

1.2 외자이름을 가진 가상인물

2 외국 자본

외국 자본을 줄여서 외자(外資)라고 한다.
일단 국내 산업을 자체적으로 발전시킬 자본이 없는 나라들의 경우는 이 외자가 자국 산업 발전의 필수요소로 여겨진다.당장 우리나라도 1960년대부터 외자 도입으로 경제성장을 이뤘고.
하지만 외자를 많이 도입한다고 해서 그게 꼭 좋은 것은 아닌데 외자를 도입한다는 것은 쉽게 말해서 을 낸다는 얘기이기 때문에 지나친 외자 도입은 오히려 경제성장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물론 꼭 외자를 이렇게 빚을 내는 형식으로 도입하는건 아니고 투자 형식으로 외자를 도입하는 경우도 많다.
  1.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쓸 법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준, 진, 린 같은....
  2. 초명은 김창암, 김창수였으나 후에 거북 구(龜) 자를 쓰는 김구, 다시 아홉 구(九) 자를 쓰는 김구로 한 번 더 개명
  3. 이 둘 빼고는 초명이 두자인 왕은 있었지만 왕위에 오른 후 모두 외자로 개명하였다.
  4. 성이 두글자에 이름이 한 글자인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