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성

複姓

1 개요

두 글자로 된 성씨. 중국과 그 시스템을 차용한 한국의 성씨는 대체로 한 글자 성이 대부분이지만 가끔 두 자로 된 성씨가 존재한다. 이를 복성이라고 한다. 이런 경우 이름이 외자인 경우가 종종 보인다(경우에 따라선 아예 한 글자 성 + 두 글자 이름으로 오해하기 쉽다). 일본에서는 반대로 두 글자 이상의 복성이 흔하며 한자 한 글자 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1]

북방민족에서 비롯된 복성들도 있다. 모용씨, 독고씨, 우문씨, 야율씨, 완안씨, 도단씨 등이 대표적. 현대까지 그대로 전해져 오는 경우도 있지만 헤세리씨등을 거쳐 현대에는 강(康)씨로 개성한 거란 계통 성씨나 신해혁명 이후 금(金)씨로 개성한 일부 만주족 성씨 같은 사례가 존재한다.[2]

그런데 이 경우 성과 이름을 붙여 써 놓으면 복성인지 아닌지를 헛갈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무협소오강호의 주인공인 영호충(令狐冲)은 복성인 '영호' 씨인데, 한국에서는 특히 영화 등에서 '영'씨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3] 그래서인지 가끔 복성을 사용하는 개드립도 존재한다. 공손찬을 '손찬이 형'이라고 부르는 등의...

복성에 대한 지식이 없는 비한국인들은 복성 + 한 음절(외자) 이름을 제대로 나누지 못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서 남궁민을 성씨 '남' + 이름 '궁민'으로 잘못 이해하고 Nam Koong-min으로 잘못 나눠 버린다. 성씨 '남궁' + 이름 '민'이므로 당연히 Namkoong Min으로 나눠야 한다.

복성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희귀하고 독특한 성씨라 대중에 오래 기억이 남고 강렬한 인상을 주기 때문이다. 희귀한 성씨가 유명인이 돼 이름을 드높이면 해당 종친회에서 감사패가 온다거나 초청장이 왔다는 웃지 못할 에피소드도 있다고 한다. 복성을 예명으로 쓰는 유명인의 대표적 인물로 남궁원, 독고성, 독고영재 부자, 선우용녀, 서문탁이다.[4]또한 창작물에도 등장인물의 성씨로 자주 쓰이곤 한다. 독고진이나 무협소설오대세가 등이 있다.

외자이름인데 돌림자가 있으면 그 항렬의 이름은 다 똑같아지므로(...) 부수로 돌림자를 대신한다.

2 한국의 주요 복성

  • 남궁(南宮) - 한국의 최대 복성
  • 독고(獨孤)
  • 동방(東方)
  • 사공(司空)
  • 서문(西門) - 중국계 귀화성. 만화가 서문다미가 이 성을 쓴다.
  • 선우(鮮于) -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복성.
  • 소봉(小峰) - 일본 성씨 '코미네'와 같은 한자를 쓰나 연관성은 없다. 항목 참조.
  • 어금(魚金)
  • 제갈(諸葛) - 중국계 복성. 그 사람 성씨 맞다.
  • 황보(皇甫)

3 일본계 귀화성

일본식 성을 그대로 한국 독음으로 읽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 망절(網切) - 일본어로는 아미키리.
  • 장곡#s-2(長谷) - 일본어로는 하세. 원래 성씨는 하세가와(長谷川)였을 수도 있다.
  • 강전(岡田) - 일본어로는 오카다.
  • 고전(古田) - 일본어로는 후루타.
  • 길강(吉岡) - 일본어로는 요시오카.
  • 황목(荒木) - 일본어로는 아라키. 야구선수 황목치승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4 과거 기록에는 있으나 지금은 사라진 복성

  • 부여 - 백제 왕족의 성씨. 항간에는 부여 서씨가 원래 부여씨라고 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 사택, 사타, 사백, 사법 - 백제 대성8족의 성씨. 후에 사씨로 단성화가 되었다.
  • 목라, 목례, 목협 - 백제 대성8족의 성씨. 후에 목씨로 단성화가 되었다.
  • 진모, 조미, 저미 - 백제 대성8족의 성씨. 후에 진씨로 단성화가 되었다.
  • 연비 - 백제 대성8족의 성씨. 후에 연씨로 단성화가 되었다.
  • 을지 - 고구려의 명장 을지문덕. 더 이상 설명이 必要韓紙? 다만 성씨 자체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 흑치 - 부여씨에서 갈라져나온 성씨로 흑치상지란 인물로 알려져 있다.
  • 귀실 - 부여씨에서 갈라져나온 성씨로 대표적인 인물로는 백제 부흥운동을 전개한 귀실복신이란 인물이 있다.
  • 명림 - 명림답부란 인물로 알려져 있다.
  • 대실 - 고구려의 대무신왕이 추발소라는 관리에게 하사한 성씨.
  • 중실 - 동명성왕이 고구려 건국의 공로자인 무골이란 사람에게 하사한 성씨.
  • 소실 - 중실씨와 마찬가지로 동명성왕이 묵거란 사람에게 하사한 성씨.
  • 고이 - 백제의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는 백제를 배신하고 개로왕을 죽인 고이만년이 있다.
  • 재증 - 백제의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는 백제를 배신하고 개로왕을 죽인 재증걸루가 있다.
  • 부정 - 대무신왕이 부여를 정벌하러 가던 중에 하사한 성씨.
  • 물부 - 대당물부장군공덕비(大唐勿部將軍功德碑)에 등장하는 성씨로 왜 계통의 성씨와 연관이 있다.
  • 막고 - 백제의 성씨. 대표적인 인물로는 막고해가 있다.
  • 동성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미주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찬수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과야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주리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문휴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태량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답발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마나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기주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적막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억례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비리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복부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왕유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문고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곡나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말도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 문사 - 일본서기에서 확인되는 백제의 성씨.

참고로 부여, 사택, 목라 같은 경우는 해당 성씨는 사라졌지만 그 후손들이 씨, 씨, 씨 성의 본관을 이루었다고 한다.

5 후한 말의 복성

6 북방민족계 복성

  • 당괄(唐括)
  • 도단(徒單)
  • 독고(獨孤) - 독고부 선비족 국가들의 왕성. 후에 원(元)씨로 변경.
  • 모용(慕容) - 모용부 선비족 국가들의 왕성.
  • 배만(裴満)
  • 복산(僕散)
  • 술율(述律) - 술율평
  • 야율(耶律) - 요나라(거란)의 왕성.
  • 올안(兀顏)
  • 완안(完顔) - 금나라(여진)의 왕성.
  • 우문(宇文) - 우문부 참조.
  • 이주(爾朱) - 이주영
  • 탁발(拓跋) - 탁발부 참조.
  • 포찰(蒲察)
  • 혁련(赫連) - 혁련발발
  • 호연(呼衍)

7 그 외 복성

  • 관룡(關龍)
  • 계손(季孫)
  • 단목(端木) - 단목사(자공)
  • 사도(司徒)
  • 장손(長孫) - 장손무기
  • 태숙(太叔)
  • 호연(呼延) - 호연찬

8 복성을 쓰는 인물

공손, 남궁, 독고, 사마, 서문, 선우, 제갈, 황보는 각각 항목을 참고.

8.1 실존 인물

8.1.1 역사적 인물

8.2 가상 인물

  1. 그 외에도, 일본의 성씨는 한자 서너 자는 물론 심지어 다섯 자로 이루어진 것도 존재한다. 일본의 성씨 참조.
  2. 완안씨 같은 경우 금나라 시대에 중국 성으로 왕씨(王氏)를 사용했으며 금나라 멸망 후 왕씨로 개성하기도 했다. 물론 완안씨를 그대로 자신의 성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현대에도 중국과 대만에 있으며 집성촌도 있다.
  3. 원작에서는 본문 중에 복성인 영호 씨라고 직접 언급한다
  4. 각자 본명이 홍경일, 전원윤, 전영재, 정용례, 이수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