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전대 시리즈 |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2001) | ←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2002) | →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2003) |
슈퍼전대 시리즈 닌자 3부작 | ||||
닌자전대 카쿠레인저(1994)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2002) | 수리검전대 닌닌저(2015) |
忍風戦隊ハリケンジャー
570px
목차
1 작품 소개
방송 예고 트레일러. (1:00~1:30)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OP - 허리케인저 등장!》(노래 : 타카토리 히데아키) |
"사람도 모르게, 세상도 모르게, 그림자가 되어 악을 쳐부순다.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아 등~장!" - 허리케인저 소개 대사"그림자에 맞서 그림자를 베고, 빛에 맞서 빛을 가른다. 전광석화! 고우라이저 등장!"- 고우라이저 소개 대사
"I Am Ninja Of Ninja, 녹색의 광탄, 천공닌자 슈리켄저! 등장!" - 슈리켄저 소개 대사[1]
"Say!Bye Bye!" - 피니쉬 대사[2]
2002년 2월 17일 ~ 2003년 2월 9일 방영. 전 51화.
슈퍼전대 시리즈 26번째 작품으로 닌자전대 카쿠레인저에 이은 2번째 닌자 전대. 파워레인저 퍼팩트 대백과 및 캡틴포스에서의 명칭은 미판과 마찬가지로 파워레인저 닌자스톰이다.[3]
나레이션은 풍뢰환 성우이기도 하며 오성전대 다이레인저의 나레이션도 맡기도 한 미야타 히로노리.
2 상세
카쿠레인저도 나름대로 즐거운 분위기였지만 허리케인저는 즐거운 분위기를 넘어서 개그 전대가 되었다.[4] 그래도 지나칠 정도로 개그에만 집중하지 않기에 보는 측에서 큰 부담은 없다.
주연 5인방의 배우는 전부 이 작품이 첫 연속 드라마였다. 허리케인저 3인방의 경우 레드의 시오야 슌과 옐로의 야마모토 코헤이는 이 작품이 연예계 데뷔작이었으며, 블루의 나가사와 나오도 데뷔 2년차로 연속 드라마 출연은 이번 작품이 처음. 고우라이저의 2인방인 전직 스모 선수 출신에 당시 25세였던 시라카와 유지로, 쥬논보이 출신에 무대 위주로 활약했던 쿄 노부오도 각각의 분야에서 활약한 경력이 있지만, 드라마 배우로서는 이 작품이 데뷔작이었다. 시오야 슌의 경우 초반에는 상당한 발연기를 자랑했지만, 후시녹음의 힘과 중후반 들어 개선된 연기력으로 작품을 이끌었다. 연속 드라마 데뷔를 한 배우들의 성장기와 작품속 낙제셍 닌자들의 성장기가 링크되는 것도 이번 작품의 매력 중 하나. 반면 13년 후 등장한 후배 닌자는 최종화까지 발연기가 나아지지 못했다
전반적인 소재는 닌자이므로 카쿠레인저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실질적인 모티브는 초수전대 라이브맨인 듯하다. 초반 3인[5]의 전사에 추가 전사 2인(고우라이저 형제)이 들어오는 것은 라이브맨과 동일하며 매, 사자, 돌고래로 이어지는 메카닉 구성도 일치. 카부토라이저와 쿠와가라이저는 비록 곤충이 모티브지만 하필이면 뿔이 1개인 장수풍뎅이, 2개인 사슴벌레를 골랐고[6] 그 메카닉도 전차였기 때문에 바이슨 라이너, 사이 파이어의 그림자가 겹쳐 보이는 것은 어쩔 수가 없다.[7]
닌자라는 소재를 다루는 만큼 각 개인이 사용하는 공격&방어용 인술부터 둔갑술까지, 카쿠레인저에 뒤지지 않을 만큼의 다양한 기술들을 선보인다.
화수는 권지(卷之) 다음에 숫자를 한자로 표시한다.[8] 매 화마다 'OO와 XX'라는 부제목이 붙는데 보통 2가지 소재가, 많으면 3가지 소재를 함께 쓴다.
전 작인 백수전대 가오레인저의 메카닉 디자인에 관여했던 사람이 메카닉을 디자인한 덕분에 가오레인저의 메카닉과도 호환이 가능하다. 조인트가 동일하여 적당히 갖다 붙여도 될 정도. 영상으로는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VS 가오레인저의 '굉뢰선풍신 소드&실드'로 선보인 적 있다. 물론 이것 말고도 '카라쿠리 볼'에 의한 특수 무장이나, '선풍신 해리어' 등의 특징도 있다.
또한 정체불명의 닌자 '슈리켄저'는 그 컨셉으로 인해 변신 전의 모습이 계속 바뀌며, 이 인간체 모습으로 많은 전대 히어로 출신 배우들이 게스트로 출연해서 나름대로 화제가 되었다.
역대 시리즈 중 등장인물들의 등장 연출 시간이 가장 길다.
작품 소재가 소재인지라 국내에선 일색 때문에 TV판이 방영되지 않았지만,[9] 대신 애니박스에서 '허리케인레인저스'(...)라는 제목으로 극장판이 방영되었다.
그리고 2013년 8월, 방영 종료 10년 만에 V시네마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10 YEARS AFTER가 출시되었다.
참고로 현재까지 카게야마 히로노부가 참여한 전대물 주제가로는 제일 마지막 작품이다.[10] 여담이지만 ED의 작사/작곡은 모두 타카토리 히데아키가 직접 맡았다.
'허리케인저'라는 이름을 보면 언뜻 '허리케인' + '레인저'의 합성어로 생각될 수 있겠지만, 넷무비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슈퍼 히어로 큰일에 따르면 허리케인저의 제목은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따왔다고 한다. 더 자세히 적자면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하리 폿타토 켄쟈노 이시)# 아니 근데 닌자랑 마법이 대체 뭔 상관?[11] 그런데 2015년의 닌자전대에서 마법을 쓰는 닌자가 나타났다 또한 슈퍼전대 시리즈에서 자주 쓰이는 레인저(レンジャー)라는 타이틀을 변형시켜 사용한 최초의 전대명이기도 하다.
3 등장인물
3.1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각 멤버의 성씨의 첫 글자를 이으면 "시노비"가 된다.
컬러(코드명) | 캐릭터명 | 국내명[12] | 배우 | 국내성우[13] |
허리켄레드(스톰 레드) | 시나 요스케 | 시나 | 시오야 슌 | 전광주[14] |
허리켄블루(스톰 블루) | 노노 나나미 | 노노 | 나가사와 나오 | 채의진/이명희 |
허리켄옐로(스톰 옐로) | 비토 코타 | 비토 | 야마모토 코헤이 | 전태열/임하진 |
3.2 전광석화 고우 라이저
컬러(코드명) | 캐릭터명 | 국내명 | 배우 | 국내성우 |
카부토라이저 | 카스미 잇코 | 잇코 | 시라카와 유지로 | 정재헌 |
쿠와가라이저(스태그라이저) | 카스미 잇슈 | 잇슈 | 쿄우 노부오 | 방성준 |
3.3 천공닌자 슈리켄저
컬러(코드명) | 캐릭터명 | 성우 | 국내성우 |
슈리켄저(스톰 그린) | 슈리켄저 | 마츠노 타이키 | 이원찬/황창영[15] |
3.4 우주인군 쟈칸쟈
계급 | 캐릭터 명 | 배우&성우/국내판 성우[16] |
수령 | 수령 타우 잔트 | 야나다 키요유키/추가바람 |
간부 | 암흑 7본창 | |
1의 창 후라비 조 | 야마모토 아즈사/김필진 | |
2의 창 츄우즈보 | 故 고리 다이스케/- | |
3의 창 만마루바 | 이마무라 타카히로/- | |
4의 창 웬디 누 | 후쿠즈미 미오/김혜주 | |
5의 창 사가인 | 오카모토 요시노리/전태열 | |
6의 창 사다라쿠라 | 시마다 빈/홍승표 | |
7의 창 산다루 | 이케다 슈이치/- | |
괴인 | 중급닌자 | - |
전투원 | 하급닌자 마게랏파 | - |
3.5 기타 등장인물
- 카구라(고젠)[17]
- 텐카이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10 YEARS AFTER에 등장.
4 등장 메카
5 관련 작품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슈슛토 THE MOVIE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VS 가오레인저
- 폭룡전대 아바레인저 VS 허리케인저
- 파워레인저 닌자스톰
- 굉굉전대 보우켄저 VS 슈퍼전대 - 노노 나나미 게스트 출연
- 해적전대 고카이저 - 시나 요스케(25화, 26화), 노노 나나미(25화, 26화), 비토 코타(25화, 26화) 게스트 출연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10 YEARS AFTER
- 수리검전대 닌닌저 - 시나 요스케(7화), 슈리켄저(43화) 게스트 출연
- ↑ 허리케인저와 슈리켄저 소개 대사 마지막 부분의 '등장' 은 參上(さんじょう, 산죠), 고우라이저는 見參(げんざん, 켄잔)을 쓴다. 같은 의미이나 다른 단어. 합체로봇 등장 장면에서도 비슷한 표현이 나온다. "XXXXX, 推参(すいさん, 스이산)" 으로 로봇과 허리케인저, 고우라이저, 슈리켄저를 가리지 않고 동일.
- ↑ 일본어로 처단의 의미인 세이바이(成敗)의 발음을 이용한 말장난
- ↑ 그 이후 전대인 아바레인저와 데카레인저도 각각 미판 제목인 파워레인저 다이노썬더, 파워레인저 SPD로 지었으니 시기를 생각해 보면 이는 적절한 로컬라이징이다.
- ↑ 아침조회 빼먹어서 살아남은 녀석들이 지구를 지킬 정도에 적들도 번번히 개그를 친다.
- ↑ 남자 두 명 멤버는 완전히 재미있게 놀고 여자 한 명이 츳코미를 거는 구조도 흡사하다.
- ↑ 그리고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는 영어로 각각 rhinoceros beetle과 stag beetle인데 rhinoceros는 영어로 코뿔소를 뜻하며, stag는 영어로 수컷 사슴을 뜻하는데 사슴은 들소 등 소 종류와 같은 우제류다.
- ↑ 다만 라이브맨의 블랙 바이슨, 그린 사이와는 달리 고우라이저 형제는 어디까지나 허리케인저와는 별도의 조직이다. 등장 초반에는 적에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 ↑ 번역투로 직역하면 '00의 권' 우리말로 하면 '00장' 정도.
- ↑ 그로 인해 신켄저의 국내 방영이 불발되었을 시 이 작품이 아닌 가오레인저가 방영되었다.
- ↑ 카게야마는 ED를 맡았고 OP는 타카토리 히데아키가 맡았다.
- ↑ 그것보다는 두 작품에 삼인조가 주인공인게 비슷하다.
- ↑ 국내명은 캡틴포스및 국내 정식 판매된 파워레인저 퍼팩트 대백과에서의 명칭이다.
- ↑ 각각 극장판/캡틴포스
- ↑ 유일하게 극장판과 캡틴포스에서 같은 배역을 맡았다.
- ↑ 극장판/닌자포스
- ↑ 극장판 한정
- ↑ 배우는 가면라이더 카부토에서 마미야 레나 역을 맡은 미와 히토미(みわひとみ, 1978년생). 주온, 쓰르라미 울 적에 등 주로 공포물에 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