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관왕

1 개요

全冠王
정말로 달성하기는 어렵지만 불가능은 아닌 기록.

어떤 대회나 1년동안 열리는 모든 경기에서 타이틀을 획득하는 것으로 개인이나 팀에 있어서 정말로 겪기 어려운 대기록이다.

보통 축구처럼 복수의 다른 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이 모든 대회에 참가하여 우승을 모두 싹쓸이하면 전관왕으로 인정한다. 다만, 정규시즌 리그 우승과 플레이오프 시즌 동시우승은 리그의 연장선상으로 보므로 전관왕이라고 칭하지는 않는다.

한국내 개최되는 대회 한정으로 수원삼성처럼 국내대회 전관왕이라고 보는 경우도 있다. 바둑도 마찬가지.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에서도 해당 종목에 모두 참가하여 우승할 경우, 이 역시 전관왕이라고 칭한다.[1] 단체전이 존재하는 종목인 경우에는 해당 단체전까지 모두 우승한 개인에게 부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 달성자

  • 바둑
    • 조훈현 3회(최초달성 1980년) : 전관왕(5관왕 이상)을 찍은 최초의 기사이며 국내기전 한정으로 1980년 1회(9개 기전), 1982년 2회(10개 기전), 1986년 3회(11개 기전)으로 30년 동안 전관왕을 달성한 기사는 존재하지 않았다. 그야말로 불멸의 대기록이며 세계 바둑계에서 전무후무한 남자 유일왕이다.
    • 셰이민 1회(최초달성 2016년): 2016년 기준 일본 여자바둑계 개인 5개 기전인 여류명인, 여류기성, 여류혼인보, 여류최강, 아이즈중앙병원배를 싹쓸이했다. 이건 일본 여자바둑계 진짜 완전 전관왕이자 세계 2번째 바둑 전관왕으로 무려 36년 만에 탄생했다.
    • 이창호 :
      • 이쪽은 전성기 시절 못 이긴 대회를 세는게 빠르다. 이런 그도 유창혁이 왕위전과 테크론배를 수성하면서 전관왕 달성은 하지 못했다. 최대관왕은 1994년 13관왕. 마지막 14관왕을 도전하는 것이 바로 유창혁 九단이 가지고 있던 왕위전이었는데 끝내 도전기에서 유창혁 九단이 타이틀을 방어해낸다.
      • 1998년에는 세계기전 전관왕 타이틀에 도전하는데(국내기전보다 더 어렵다는!), 삼성화재배, 후지쓰배, LG배, 동양증권배를 싹쓸이했지만 마지막 남은 춘란배에서 조훈현 九단이 결승에서 이창호 九단을 이겨서 또 전관왕 도전이 무산되고 만다.
    • 이야마 유타  : 2016년 일본 메이저 7대 대회 석권. 2016년 연승대항 속기전에서 조치훈 9단이 이야마의 전관왕 도전을 저지하면서 완전 전관왕은 하지 못했다.
    • 조치훈 : 1983년, 1996년 대삼관,[2] 일본 메이저 7대 대회[3]까지 제패했고 이야마 유타의 전관왕을 저지했던 그도 고바야시 고이치가토 마사오에게 막혀 전관왕 달성은 하지 못했다.
  • 축구
    • AFC 아약스(1971/1972 시즌 전관왕) - 리그, KNVB컵, 챔피언스 리그, UEFA 슈퍼컵, 인터컨티넨탈컵까지 5개 대회 우승으로, 출전 가능한 모든 대회에서 우승했다.[4]
    • FC 바르셀로나(2008/2009 시즌 전관왕) - 리그, 코파 델 레이, 챔피언스 리그, 프리메라리가 슈퍼컵, UEFA 슈퍼컵, 클럽 월드컵 등 출전 가능한 6개 대회에서 모두 우승했다. 6개 대회 체제에서 전관왕은 바르셀로나가 최초.

이후 전관왕 기록이 나올때마다 추가바람

  1. 이때의 조건은 체급이나 일정, 실질적 참가 가능성이 서로 맞물리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크기 때문에 격투기나 육상과 같은 경우에는 전관왕 달성이 불가능하다.
  2. 일본 바둑계의 빅3라고 할 수 있는 명인, 본인방, 기성을 동시에 달성한 것으로 현재까지 최초이자 최후의 기록이다.
  3. 혼인보(本因坊), 명인(名人), 기성(棋聖), 십단(十段), 천원(天元), 왕좌(王座), 기성(碁聖)
  4. 에레디비지에의 슈퍼컵 격인 요한 크루이프컵은 당시에는 없었다. 요한 크루이프가 현역으로 달성한 거니까
  5. 남자 단체 - 김우진 구본찬 이승윤, 남자 개인 - 구본찬, 여자 단체 - 장혜진 최미선 기보배, 여자 개인 - 장혜진
  6.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여자 단식, 남녀 복식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남자 단식에서 한국의 유승민이 금메달을 따며 금메달 싹쓸이를 막았다.
  7. KPGA투어 4차리그의 결승은 2003년 1월, 스타리그 결승은 2003년 2월, 겜티브이 스타리그의 결승은 2003년 4월 치뤄졌다
  8. MSL 결승은 2010년 8월, 스타리그 결승은 2010년 9월, WCG의 결승은 2010년 10월 치뤄졌다
  9. WCG의 우승 상징이 금배지이기 때문에 흔히 '골든'그랜드슬램이라고 부르긴 하지만 커리어면에서 여느 우승과 다른 점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