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덕판 스트리트 파이터 2


1992년 처음 등장한 스트리트 파이터 2IBM PC(MS-DOS) 이식작. 정식으로 이식된 버전은 아니며 일종의 동인 게임. 라이센스를 받은 것이 아닌 상태에서 상업 게임을 컨버팅한 것이므로 엄밀히 따지면 해적판이긴 하다. [1]

최초 제작자는 문서 제목명처럼 하이텔정영덕(wd40)이라는 유저로, 프로그램은 자작한 것이고 그래픽 소스는 슈퍼패미컴판을 비디오 블래스터[2]를 이용하여 캡처하고 편집해서 만든 것으로, 지금 보면 캡처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생긴 화질, 색상 열화가 꽤 눈에 띈다. [3] 이러한 고행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당시에는 에뮬레이터 같은 것이 없었기 때문에 아케이드나 슈퍼패미컴의 그래픽 데이터를 일반 유저가 PC로 옮길 수 있을 만한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었다. SFC판 발매가 92년 6월 10일이었고 본 게임의 소스가 처음 하이텔에 업로드 된것은 현재 하이텔이 폐쇄되어 확인은 할 수 없지만 증언에 따르면 92년 6~7월경이었다고 하니 게임이 등장하자마자 상당히 발빠르게 작업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최초에 공개된 버전은 만을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이었다. 소스까지 공개했었기 때문에 개오동[4], 게제동(게임 제작 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여러 개발자들이 뛰어들어 다양한 개선/변형판을 만들게 되었다. 최초 개발자인 정영덕 역시 꾸준히 업데이트를 한 끝에 후기버전에서는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레귤러 8인 전원, 최종적으로는 대시의 12인을 전부 추가하여 외견상 거의 원조와 다를 게 없게 보였을 정도.

나중에는 그래픽마저 아케이드판에 가깝게 파워업했는데 여기에는 괴작으로 유명한 U.S GOLD의 스트리트 파이터 2 PC판이 큰 역할을 했다. U.S GOLD는 그래도 나름대로 라이센스판이라고 아케이드판의 그래픽 데이터를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했는데 이 그래픽 데이터를 뜯어다가 정영덕판에 적용을 했더니 U.S GOLD판 보다 훨씬 나은 물건이 나와버렸다(...). 그래서 올드 게이머들은 이 U.S GOLD판의 가장 큰 의의는 정영덕판에 그래픽 데이터를 제공한 것(...)이라는 회고를 하기도. 다만 U.S.GOLD판은 무인판 스트리트 파이터 2 였기 때문에 나중에 정영덕판이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스트리트 파이터 2 대쉬 터보 기반으로 버전업을 했을 때도 캐릭터의 포트레이트는 별 수 없이 무인판의 것이어서 류와 가일은 여전히 V라인 턱을 자랑하고 있었고(...) 바이슨은 빠진 이빨을 드러내고 씨익 웃고 있는 등 대쉬에서 간지나게 변한 인상이 적용되지 못한 점이 아쉬운 점. 대시에서 추가된 모션을 사용하는 바이슨의 헤드버트(잡기) 같은 기술은 U.S.GOLD판에 아예 모션 자체가 없기 때문에 보디블로(중K 모션) 연타로 대체한다던지 하는 식으로 땜빵이 된 부분도 있다.


1994~95년 무렵의 후기버전에 이르면 U.S GOLD의 그래픽 데이터와 일부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의 데이터까지 뜯어와 사용한 버전도 나왔다. 위가 바로 그런 후기버전의 동영상. 스프라이트 데이터가 U.S GOLD판 기반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U.S GOLD판에 없는 슈퍼 스파2의 추가 캐릭터는 넣을 수 없어서 캐미페이롱 같은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출신의 캐릭터들을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진짜 슈퍼 스파2라고는 할 수 없었지만 기분은 낼 수 있기 때문에 이것도 꽤 호평이었다. 일부 배경이 슈퍼 스파2의 것으로 교체되어 있었고 어디서 뜯어왔는지 류의 작열파동권이나 바이슨의 대시 그라운드 스트레이트(!) 같은 모션도 이식되어있는 버전도 있었다.

물론 동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아마추어 개발의 한계로 인해 비슷한 것은 외견 뿐이고 실제 게임 감각은 아케이드와 많이 동떨어져있었다. 이 부분은 어쩔 수가 없는 것이, 아마추어 개발자 입장에서 원본 스트리트 파이터 2의 프레임 데이터나 판정박스 같이 밸런스와 게임 감각에 영향을 주는 내부 데이터까지 알 수 있는 방법이 당시에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모션이나 판정 같은 것은 눈대중으로 대강 비슷하게 때려 맞추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날의 기준으로 플레이를 해보면 그다지 좋은 이식작이라는 평가를 할 수가 없지만, 당시에는 스트리트 파이터 2(와 비슷한 무언가)를 집에서 할 수 있다는 그 사실 자체만으로 감지덕지했던 환경이었다는 점과 유저들의 노가다와 협업만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이 작품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일단 U.S GOLD판보다는 100만배쯤 나은 물건이라는 점에서 더더욱.

아쉬운대로 PC 게이머들을 만족시켜주며 한 시대를 풍미한 정영덕판 스트리트 파이터 2였지만 95~6년을 기점으로 그 인기는 급속히 사그라들었다.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겠는데, 국내에서 스트리트 파이터 시리즈의 인기가 그 무렵에는 사그라들고 더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철권 시리즈로 격투게임의 팬덤층이 옮겨가기 시작한 시점이라는 점이 첫번째겠고 1995년에 GameTek에서 이식한 슈퍼 스트리트 파이터 2 터보는 U.S.GOLD 버전과 달리 아케이드의 게임성을 제법 잘 살린 이식이었기 때문에 정영덕판에 데이터를 이식할 필요 자체가 사라져버렸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후로는 차츰 게이밍 환경이 윈도 환경으로 이전해간 것도 있고 1998년 무렵에 이르러선 아예 CPS1 에뮬레이터인 Callus라는 걸출한 물건이 나와버린 덕에 아케이드판 그대로 PC에서 돌릴 수 있게 되면서 정영덕판 스파2는 차츰 잊혀져갔다.

오픈소스였고 나중에는 개조툴 같은것 까지 나와 쉽게 게임 내용에 손을 댈 수 있었기 때문에 아랑전설이나 용호의 권, 혹은 대만 게임인 쾌타지존 등의 다른 작품에서 가져온 캐릭터를 넣는 등 스트리트 파이터에서 MUGEN으로 변해가던(?) 기괴한 게임. 당시에 꼬꼬마들 사이에서 '스트리트 파이터랑 용호의 권이 합쳐진 게임이 나왔대!'라는 소문이 돌게 한 원흉(...)이기도 하다. 원조 CAPCOM VS SNK? 나중에는 스트리트 파이터 2의 짝퉁 게임들이 이 엔진을 통해 이식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전개를 보여주었다. 어떻게 보면 MUGEN의 조상뻘이 되는 작품일 수도 있겠다.

국산이었기 때문에 메시지가 한글로 출력이 되는 점도 당시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았고 VGA 외에도 허큘리스를 지원하여 네이티브로 돌아가게 만든 것[5]은 아직 허큘리스 사용자가 많이 남아있던 당시의 국내 PC 환경을 고려한 것. #

이 게임 덕분에 제작자 정영덕씨는 훗날 책도 내게 된다. 제목이 "(SF-2 제작자와 함께하는) 게임만들기"# 인데, 이 때문에 내막을 잘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는 '정영덕이 스트리트 파이터 2를 만들었다'고 혼동하는 일도 실제로 있었던 모양. 어디까지나 정영덕씨는 '동인 버전의 최초 제작자'이며 오픈소스였기 때문에 한 사람의 힘이 아닌 여러 사람의 협업으로 완성된 것이다.
  1. 이 덕분에 혐한들이 유튜브나 니코동 같은 곳에서 이 게임의 동영상을 올려놓고 역시 한국은 파쿠리의 나라라면서 신나게 까댄다(...)
  2. 사운드 블래스터 시리즈로 유명한 크리에이티브 랩스가 제작한 영상편집용 캡처보드. 외부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 PC로 저장할 수 있는 장비였다.
  3. 본 문서의 첫 부분에 나오는 동영상이 바로 캡처보드를 사용해 만든 초기 버전의 동영상.
  4. 호회의 줄임말. 하이텔에 존재했던 게임 동호회로 최대 규모를 자랑했었다. 개털은 하이텔의 전신인 케텔(KETEL)의 별명.
  5. 허큘리스 그래픽 카드는 IBM의 표준이 아닌 서드파티 제품이었기 때문에 서구권 게임들은 거의 지원을 해주지 않았다. 그 때문에 나온 것이 그 유명한 SIMC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