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국의 컴퓨터 회사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 국제사무기기
1.1 개요
THINK
All of the problems of the world could be settled easily if men were only willing to THINK- Thomas J. Watson
순순히 생각을 한다면 유혈사태는 없을 것 입니다.
일명 빅 블루(Big blue). 한국에서는 아범[1]이라고도 불린다. 윈텔로 대표되는 거대 컴퓨터 시장중 한 일면을 대표하는 회사.
1911년 CTR(Computing Tabulating Recording Co.)으로 시작하여 1924년 현재의 IBM(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으로 변경. 2011년 6월 16일에 창립 100주년을 맞이했다.
HQ (Headquarters) 는 뉴욕주 Armonk시에 위치하고 있다.
1.2 역사
IBM 100주년 기념영상.
원래는 상점용 금전출납기를 제조하는 회사로 출발하였으며, 컴퓨터가 출현한 이후, 업무용 중대형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주력으로 하고 있었다. 위에도 써있듯이 회사명부터가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의 약자.
(업무용 메인프레임이 주력이긴 하나 상점용 금전출납기-POS-분야 또한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높은 신뢰성과 적절한(?) 가격으로 아직까지도 인기가 있다.)
이후 천공카드를 이용한 통계/계산장치를 연이어 내놓았으며, 정보처리에 대한 경력을 쌓아간다. 이들의 기계는 인구 센서스, 공장 자동화, 사회 보장 제도에까지 쓰이면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 이 과정에서 OMR카드의 원형이 되는 시험 채점기도 만든다.
이후 1964년, 당시 사장인 Thomas J. Watson Jr.[2]은 IBM의 사운을 걸고 최초의 현대적인 메인프레임이라 불리는 IBM System 360을 발표한다. 50억 달러라는 당시로서는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된 이 프로젝트는 엄청난 반향을 일으켰으며, 지금까지 IBM을 먹여살린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제공과 컴퓨팅 서비스 제공 사업의 토대가 되게 된다. 이후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IT기업으로서의 IBM의 모습을 갖춰가기 시작한다.
파일:Attachment/IBM/1stcomputer.png
참고로 우리 대한민국 최초의 컴퓨터는 1967년 경제기획원에서 도입한 IBM 1401메인프레임이었다.[3] 이 당시 정부는 이 컴퓨터의 도입을 대대적으로 홍보했으며 지금도 국가기록원에 가면 '컴퓨터의 활용'이라는 영상을 볼 수 있다.##
System/360이 발표된 2년 후인 1966년, DRAM을 최초로 개발한다. 또한 다양한 굵기의 직선을 평행하게 배치한 모양의 UPC 바코드 역시도 IBM에서 1974년 발표한 것이다. 1980년에는 현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대부분을 점유[4]하고 있는 RISC 아키텍처를 발표한다.
파일:Attachment/IBM/kimcheak.jpg
참고로 IBM의 메인프레임은 북한에도 도입된 적이 있었다. 저것이 김책공업종합대학에 설치된 것이 IBM의 메인프레임이다. 하지만 미국의 이미지가 싫었는지 IBM이라고 써진 상표를 전부 떼여진 채로 도입 한듯하다.
1.3 IBM PC, 전설의 시작
그러던 중에 애플에서 1977년 큰 성공을 거둔 개인용 컴퓨터인 애플 II를 내놓고 이게 무지막지하게 팔리면서 PC시장이 돈이 된다는걸 보여주자, PC 시장에 눈독을 들이고 1981년, IBM PC를 개발한다.
사실 IBM PC는 동시대의 다른 개인용 컴퓨터 규격(아미가, 아타리, 매킨토시 등)에 비하면 그래픽이나 사운드에 있어서는 처참할 정도로 떨어지는 제품이었지만, 사무용이라는 컨셉으로 기업시장에 대량납품 해버려서 실용성에 있어서는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였다. 실제로 당시 일반적인 사무실에서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워드프로세서나 스프레드시트, 데이터베이스 등의 텍스트 기반 작업이 거의 전부였기 때문에 그래픽은 글자만 나오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사운드는 말할 것도 없고……[5]
덕분에 개인 PC 사용자도 일을 하려면 IBM PC를 배울 수밖에 없었고, 비디오 카드로 VGA나 사운드 카드로 애드립, 사운드 블라스터 등의 걸출한 확장기기가 등장하면서 멀티미디어 성능 면에서도 다른 규격의 개인용 컴퓨터에 그리 꿀리지 않게 되었다. 덕분에 IBM PC는 다른 모든 개인용 컴퓨터 규격을 거의 멸종시켜 버리기에 이르렀다. 심지어 애플에서도 이를 의식하고 애플 III라는 것을 발표했다가 흑역사로 남게 되기도. 결국 IBM PC, XT, AT 시리즈는 큰 성공을 이루게 된다. 물론 IBM PCjr같은 흑역사도 존재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출판, 그래픽, 멀티미디어 분야에서 이미 독보적인 위치를 점유한 애플의 매킨토시만이 살아남았으며, 일본은 90년대까지는 한자를 많이 쓰는 일본어의 특징 때문에 NEC의 PC98 등의 독자 아키텍처가 살아남을 수 있었지만 DOS/V에 밀리다가 그나마도 윈도우 95에서 일본어를 거의 완벽히 지원하게되면서 완전히 IBM PC로 포맷당했다.
반면 한국은 한글 글자가 일본에 비해 적기 때문에 보급 초기부터 IBM PC가 주류가 되었다. 꽤 일찍부터 소프트웨어적인 방법[6]으로 IBM PC에서 한글을 구현해서 썼다. 거기다 1989년 교육용 컴퓨터가 IBM PC 호환기종으로 지정되면서 한국 특유의 교육열도 한몫, 보급이 급물살을 탔다.
그러나 정작 IBM은 초기에는 상당히 이익을 보았으나 나중에는 별로 득을 보지 못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IBM PC의 하드웨어 중에 독자 기술은 BIOS 밖에 없었고, 개발비 절감을 위해 다른 회사의 부품들을 이용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컴팩이 합법적으로 BIOS를 복제하는 데 성공하면서 하드웨어 아키텍쳐는 공개나 다름 없는 상태가 되었다.[7]이를 계기로 다른 회사에서 자유롭게 호환 복제품을 만들어서 팔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다른 경쟁 기종들을 물리치는데 큰 도움을 주었지만 곧 IBM 호환 PC가 더 싸고 성능도 별로 꿀릴게 없는 상황이 되어서 역으로 IBM에서 만든 PC들이 쳐발리게 되었다……. 실제로 386 PC를 처음으로 내 놓은 곳은 IBM이 아닌 컴팩이었다.
이에 PS/2를 내면서 폐쇄구조와 독자구조를 도입하여 이 현상을 막으려 했지만, 비싼 가격과 호환성 문제로 결과적으로 실패하였고 이후 시장에 채택된 구조를 적용하게 된다. 그래도 PS/2에 적용된 기술 중 일부는 다른 PC에도 적용되었다. 키보드 및 마우스 포트[8], D-SUB 커넥터, VGA 등이 그것이다. 물론 MCA 버스같이 철저하게 외면당한 것도 있다. (경쟁 상대인 EISA도 망한 것은 마찬가지지만.)
하여튼 시장 지배권은 IBM에서 공식OS로 지정한 마이크로소프트의 MS-DOS와 공식CPU로 지정한 인텔로 넘어가게 되었다. "어느 회사에서 만든 PC"가 중요한 시대는 지나고, "어떤 OS, 어떤 CPU를 쓰느냐?"가 중요한 시대가 되어서 결과적으로 IBM은 마소와 인텔에게만 좋은 일을 시켜줬다. OS/2라는 독자OS를 출시하며 버티려고 해 봤지만 결과는……
그래도 이름값은 있어서 꽤 오래 버티기는 했지만, 결국 2005년, 아예 PC산업 부분을 중국의 레노버에 팔아버렸다. 레노버에 매각된 ThinkPad은 초반에 정체성 논란이 있었지만 ThinkPad를 개발한 IBM 야마토 연구소까지 같이 매각되어 지금도 개발자는 아직 IBM 시절 그대로다.(그래도 매각 당시 IBM이 아니면 안된다고 반발해서 퇴사한 직원들도 꽤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아직은 레노버가 잘 이어가는 편이지만 IBM 시절만큼의 포스는 많이 약화된편.
1.4 IBM의 기술 개발
트랜지스터기반의 기존 메인프레임을, 마이크로프로세서 채용 시스템으로 대체하고자 RISC 아키텍처[9]인 POWER를 개발하여 1990년 발표하였다. 그런데 최초로 개발된 POWER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아니었고, 이의 마이크로프로세서화를 위해 모토로라, 애플과 AIM 동맹을 맺어 PowerPC[11]를 개발한다.
PowerPC를 기반으로 IBM은 POWER기반 고성능 마이크로프로세서인 POWER 시리즈를 만들어나가는데 IBM이 POWER를 마이크로프로세서화 하기 위해 모토로라와 애플로부터 단물만 빨아먹은 다음, 정작 PowerPC의 개발은 내팽겨쳤다……는 관점도 있긴 하다.
하지만 소니, 도시바와 협력하여 PowerPC 기반의 Cell을 개발하여 플레이스테이션3에 탑재, 엑스박스360에는 PowerPC를 커스텀 한 CPU를 탑재, Wii의 CPU인 브로드밴드도 PowerPC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이로서 차세대 콘솔의 CPU 시장은 전부 IBM이 처먹고 있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여기서 누가 이기건 승자는 IBM.
이렇게 되어 버린 원인은 구 엑스박스의 경우에서 보듯이, 인텔과 같이 PC CPU 시장을 많이 먹고 있는 회사는 게임기 회사에 그리 친절하지 않아서, 애프터 서비스가 부족하고 충분한 가격경쟁력을 가진 CPU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PS2, PSP에 쓰이던 MIPS 계열은 한계점에 도달해버렸고, 예전에는 나름대로 널리 쓰이던 모토로라계 CPU도 모토로라가 개발을 포기한 탓에 구할 수 없게 되어 버렸고,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널리 쓰이는 ARM 계열은 콘솔로 쓰기에는 성능이 떨어지는 편이다. 결과적으로 IBM의 PowerPC가 PC계 CPU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가지고, CPU 개발 회사에서 충분한 애프터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 된 셈이다.
2014년 적자가 지속되는 IBM 반도체 제조부문을 글로벌 파운드리에 15억 달러를 주면서 매각하기로 했다. 연간 적자가 15억 달러인 반도체 제조부문을 털어 내면서 글로벌 파운드리에게 칩을 공급 받을 예정이다.
콘솔 외에는 군사용 컴퓨터, 대형 서버 시장의 절대강자. 슈퍼컴퓨터도 만든다. 세계 상위 5위권 슈퍼컴에는 언제나 IBM의 컴퓨터가 2~3대 포함되어있다. 또한 기업 IT 컨설팅도 IBM의 중요한 밥줄이다.
현재 미국 서부연구소에는 웹파운틴이라는 괴물 컴퓨터가 있는데,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해 패턴을 입력하는 게 아닌 검색을 통해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연구를 하고있다. 하루 트래픽이 테라를 넘어가고 인터넷 전체를 스캔하는데 4시간 정도가 걸린다고……. 하루에도 몇 번씩 새로고침을 하기 때문에, 몇 년 뒤면 초보적인 지능을 지니게 될 듯하다고 한다.
고양이의 뇌를 스캔해서 시뮬레이션에 성공 했다는 소식이 얼마전(2009년 11월) 들려왔다.
개인용 기기 관련을 제외한다면, 사실상 IT에서 제일 큰 손이다. HP가 단순매출로는 더 크나, IBM이 PC와 프린터 사업부를 팔아치웠다는 것을 생각하면……. 참고로 IBM은 프린터 사업부를 두 번 팔아치웠다. 한 번은 소형 프린터(현재는 렉스마크)이고, 또 한 번은 대형 프린터(프린터 한 대에 가볍게 1억이 넘는다!) 사업을 리코에 넘겼다. 이미 IT서비스 매출이 전세계적으로 50조원이 넘는다. 사실상 IT서비스를 팔면서 서비스 구동용으로 서버를 팔고, 서버 위에 올릴 SW를 판다는 것이 맞을지도.
게다가 요새는 메인프레임 한 대를 가상으로 여러 대의 서버로 쓸 수 있는 가상화 기술에 주력하여, 메인프레임도 잘 팔아치우고 있다. 인텔 서버에 리눅스 올려 100대 쓰느니 메인프레임 두 대 쓰는게 전체 비용으로는 싸다나?
이 점은 기업용 환경과 개인용 환경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된다. 개인용 환경에서라면 리눅스 머신으로 돌려도 별 탈이 없고 비용도 저렴하다. 그리고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리셋해 버리더라도 이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용은 매우 적으며 복구도 빠르다. 그러나 기업환경에서는 서비스의 속도 못지않게 지속성과 안정적인 운영이 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각종 상황에 대응하고 동시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차원에서의 비용이 소모되며 서비스가 외부로부터의 공격이나 내부적인 결함으로 인해 중지되면 이를 복구하기 위한 비용이 매우 크다는 점에서 다수의 저레벨 시스템보다 적은 수의 고성능 시스템을 운영하는 것이 기업 입장에서 유지보수의 비용절감에 유리하다는 결론이 도출된다.
지난 10여년 간 한 번도 특허 출원 전세계 1위를 놓친 적이 없고, 상용화 여부를 떠나서 기술력 하나만 놓고 본다면 세계 최강이다. 즉, 이 회사도 외계인 고문 甲 특허 괴물이다. 어이없는 특허도 있지만……. 유명한것이 '누가 먼저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인데 선착순으로 대기표를 준다는것. 예상시간이나 예약 취소같은 기능도 같이 포함되어있지만 이런 당연하다고 생각하는것까지 특허를 냈다. 결국 욕먹고 특허권한을 포기하였다.
회사내에 노벨상 수상자만 무려 7명으로 아마 세계의 여러회사중에서 가장 노벨상을 많이 탄 기업. 그래서 덩달아 IBM의 연구소인 토머스 J. 왓슨 연구소가 뜨게 되었다.
덧붙이자면 양자컴퓨터도 이미 테스트 중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현재 컴퓨터 기술력류 종결자 라고 할수 있다.
여담이지만 삼성전자와 꽤나 친한 편이다. 특허도 공유하고 연구도 협력하고 있다.
또한 항공우주전자분야의 최강자이기도 하다.
우주환경에 사용되는 모든 CPU, RAM , SSD 를 IBM 에서 제작한다. 왜냐, 방사능 방호 처리 기술을 가진 몇 안되는 회사다.(다른곳은 허니웰, 네셔널 세미컨덕터, 스페이스 마이크로.)게다가 성능도 나름 만족스러운 편으로, 펜티엄3 정도의 연산능력이 나온다. 다른 회사에서 난 20Mhz 니 33Mhz 니 할때 혼자서 400Mhz 를 찍어버린다. 다른 회사가 아무리 날고기어도 승자는 IBM…….
이 사진 하나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2]
2011년 9월 22일부터 한국 IBM은 다양성을 존중하기 위해서 성소수자에게 입사 가산점을 주기로 했다. 입사원서에는 해당 항목이 없으나 따로 이메일로 통보하면 가산점이 주어진다. 위의 100주년 영상에서 볼 수 있듯이 IBM은 다양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어서, 그 전통에서 비롯된 정책으로 보인다.
2015년, 소프트웨어 제품의 디자인 강화를 위해 IBM디자인 부서를 신설하고 사내 제품 개발 프로세스와 기업문화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맡길 예정이라고 한다. 1000명 이상의 디자이너를 채용하여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디자인 조직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1.5 딥블루에 이은 두번째 도전, Watson
IBM이 만든 슈퍼컴퓨터.
왓슨 항목 참고.
1.6 논란거리
1.6.1 나치 협조
IBM사가 집시단체에게 소송이 걸린 일이 있었다. 혐의는 유대인 및 집시 인구를 관리하기 위해서 나치에게 기술을 제공한것. 제공된 기술로 나치는 유대인 및 집시를 손쉽게 추적 및 관리 할수 있었고 그 결과는 홀로코스트였다. 실제로 IBM사는 나치에게 협력한적이 있었다.[13][14]기사
1.6.2 반도체 생산공정의 유해성 논란
한편, 미국 IBM 반도체 사업부와 관련하여 생산공정 과정에서의 유해 화학물질(염화메틸렌, 글리콜 에테르 등) 사용에 따른 재해가 문제가 되었다. 이는 수백명의 근로자들이 다른직업군 대비 평균이상으로 백혈병, 림프종 등의 질병으로 사망하거나 그들이 낳은 2세들의 유전적 질환 등의 피해로 나타나게 된 사건이었다. 이에 따라 위해사업장에 대한 사측의 관리소홀책임이 문제가 되었는데, 대규모 집단소송(2003)으로 이어진 이 문제는 근로환경과 질병발생간의 입증의 곤란으로 회사측의 책임은 끝내 인정되지는 않고, 대신 산업재해보험제도를 통해 산업재해로써 보상받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의 생산라인 근로자들이 집단 백혈병 발병에 따라 사망하는 일이 잇따르자, 이들 피해와 관련하여 산업재해 인정 및 사측의 불법행위 책임과 관련하여 논란이 일고 있다.
IBM과 삼성반도체의 근로자 산재문제와 관련해서는 비교해놓은 국내 한 주간지 기사참조.
1.7 관련 항목
- IBM 5100
- IBM PC
- IBM PCjr
- RISC
- 시력교정술 - 시력교정술에 쓰이는 엑시머 레이저 장비를 IBM 과학자들이 처음 개발했다.
- ThinkPad
- OS/2
그러나 현재 는 안습 - POWER(마이크로프로세서)
- SAGE - MIT와 IBM이 미국 공군의 NORAD의 발주를 받아서 개발한 방공망 관제용의 전산 시스템. 이 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얻은 기술과 노하우는 이후 아래에서 설명할 민수용 전산 시스템인 SABRE의 개발에도 활용되었다.
- SABRE - 아메리칸항공과 IBM이 함께 개발한 여행전산망. 주로 항공업계나 여행업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산 시스템으로서, 지금은 완전히 스핀오프되어 아메리칸항공과는 별도의 기업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 SPSS - 2009년에 회사를 인수하여 현재는 IBM에서 판매한다.
- 웹파운틴
- 초전도체
- 반도체
- 스마트폰 - IBM 시몬
- 버클링 스프링 방식 키보드
HAL 9000
2 I Bought Macintosh
1에서 유래하여, IBM과 애플이 협력하던 시절에 IBM은 I Bought Macintosh(나 맥 샀어!)의 약자라고 농담삼아 말했다. 실제로 IBM은 PowerPC를 맥에 납품하고, 애플은 IBM에 업무용 파워맥을 꽤 팔았다고 한다. 하지만 애플이 인텔에 가서 들러붙었고. IBM은 PC 사업을 완전히 접었다. 그리고……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현재 전 세계 IBM에서 매니저급 직원들을 중심으로 맥이 업무용으로 보급되고 있다.
3 IT계통 종사자의 은어
이미 버린 몸(Imi Beorin Mom)의 약자.
위의 은어보다 먼저 IBM이 유머에 활용되었는데 1990년대의 유머에는 '이왕 버린 몸'으로 등장하였다. 보통 야근과 철야에 많이 시달리는 IT계통 사람들이 스스로의 신체상태에 대해 물으면 이런 대답이 돌아오게 된다.
▶◀지못미.
여담이지만 IBM직원은 IBMer라고 부른다.- ↑ 아이비엠 범용의 약자. IBM의 특허를 피해서 PC나 기타 IT제품을 만들기는 불가능할 정도로 특허를 많이 소유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IT계의 아범, 묘하게 IBM의 발음과도 비슷하다.
- ↑ IBM 초대 사장이자 프로젝트 Watson의 모델인 Thomas J. Watson의 아들이다. 이름이 같아서 헷갈리곤 하는데 나치에 협력 의혹을 받은 사람은 아버지다.
- ↑ 비공식적으로는 후지쯔의 FACOM 222가 IBM 1401 보다 살짝 먼저 국내에 도착하였고, 가동도 FACOM 222가 더 빨라서 이쪽이 대한민국 최초의 컴퓨터로 여겨지는 경우도 있지만, 통관일자가 IBM 1401보다 살짝 늦어서 어디까지나 비공식 기록이 되었다. 사실 국내에 도입된 FACOM 222는 대일청구권 자금에 해당되는 현물 성격인데다가, 일본산 제품을 국내 최초의 컴퓨터로 인정하기도 좀 그렇다는 민족감정도 어느정도 작용했다고 한다.
- ↑ 다른 것은 제쳐두고라도, ARM 아키텍처부터가 RISC 기반이다. 사실 대부분의 x86계통 CPU들도 인텔 펜티엄 프로 이후부터 내부적으로는 RISC 아키텍처를 응용하여 설계하고 있다.
- ↑ 현대에 들어와서는 컴퓨터를 켤 때나, 오류 메시지를 출력할 때나 들을 수 있는 삑삑 소리(beep)가 그때의 IBM PC의 사운드의 전부였다.
- ↑ 폰트 등은 확장 카드로 구현하기도 했다. 도깨비 한글카드를 안다면 당신은 올드컴덕.
- ↑ 일단 BIOS를 해석하는 엔지니어가 리버스 엔지니어링으로 레퍼런스북을 만든다. 그리고 IBM의 BIOS를 평생 단 한번도 보지 못한 엔지니어를 BIOS를 제작하는 엔지니어로 고용한다. 이제 이들에게 복제 엔지니어가 만든 자료를 우연히 접하게 해서 BIOS를 만들도록 시킨다. 참쉽죠? BIOS를 제작하는 엔지니어는 실물 BIOS를 보고 만든 것이 아니므로 명목상으로는 '복제'가 아니라 '개발'이 되는 셈
- ↑ 지금도 이 포트를 PS/2 포트라고 부른다. USB가 아닌 동그란 녹색/자주색 포트가 바로 이것.
- ↑ RISC 아키텍처 역시도 IBM에서 만들었다.
- ↑ 칩 하나로 CPU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 마이크로프로세서. 즉, 여러 개의 칩이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CPU도 존재할 수 있다.
- ↑ 여기에서의 PC는 Personal Computer가 아니라 Performance Computing
- ↑ 옛 케네디 우주센터의 컨트롤 룸이다. 의자에 주목.
- ↑ 사장 왓슨은 그 공로도 표창도 받았다고 한다. 위에 메인프레임 개발자 watson은 표창 받은 사람 아들.
- ↑ 그당시 IBM사는 미국 정부와도 사이가 잠시 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