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일본대사관

22px-Flag_of_South_Korea.svg.png 대한민국 내의 주요 외교공관
주한미국대사관주한중국대사관주한일본대사관주한러시아대사관
주한영국대사관주한독일대사관주한프랑스대사관주한이탈리아대사관
주한캐나다대사관주한인도대사관주한베트남대사관주한브라질대사관
주한호주대사관주한터키대사관주한스페인대사관주한인도네시아대사관


홈페이지

1 개요

일본국대한민국에 설치한 외교공관. 이 앞에 평화의 소녀상이 설치되어 있다.

2 역사

1876년 강화도 조약에 의해 조선과 일본의 외교관계가 수립되었다. 임오군란 당시에는 조선군이 쳐들어오면서 공사관 인원들이 도주하는 사건도 있었고 공사관 소속의 무관이 살해당하는 일도 있었다. 을사조약 이후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면서 공사관은 사라졌다. 그후 1945년에 조선이 독립하고 1948년에 대한민국이 건국되었는데 반일감정 때문에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하는 것은 어려웠다. 대신 대표부 정도만을 설치했다.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이 체결되면서 외교관계가 복원되었다. 초대 대사는 주서울재외사무소의 참사관인 마에다 토시카즈(前田利一)였다. 주서울재외사무소장으로 승진했고 임시대리대사가 되었다. 1966년 3월에 정식으로 특명전권대사가 파견되었다. 초대 특명전권대사는 키무라 시로시치(木村四郞七)였다.

3 대사관

PYH2015011800930001300_P2.jpg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학동 18-11에 위치한다.

IE001380489_STD.jpg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항의 시위. 매주 수요일마다 대사관 앞에서 수요집회도 열린다.[1] 폭파협박도 당한 바 있다.

대사관 건물은 1970년 완공되었는데 노후하고 협소하다는 이유로 중축을 꾸준히 요구했으나 서울 도심의 경우 문화재 100미터 안에는 높이 14미터가 넘는 건물은 들어올 수가 없는 우리나라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그 동안 문화재청이 허가를 내 주지 않았다.
145129851598DJlfTzZ5rcTEzdQsEt.jpg
우여곡절 끝에 허가가 나왔으며 2015년 재건축에 들어갔다. 지상 6층 건물로 지어지며 완공까지 4~5년이 걸릴 전망이라고.

대사관 임시 이전을 계기로 근처 이마빌딩에 있던 영사부도 같이 이전한다.

news_20150619.jpg
2015072216168299636_1.jpg
재건축 기간 동안 세들어 사는 트윈트리 타워에 걸린 일장기.

3.1 영사관

부산광역시 동구(부산), 제주시에 각각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

4 대사

역대 특명전권대사

한일관계로 인해 한국 내의 외교관 가운데 초치(招致)[2]되는 일이 가장 많은 대사이다.

dsk_aisatsu_clip.jpg
2012년 10월 30일부터 벳쇼 고로(別所浩郎)가 특명전권대사로 재직 중이다.

2010년 7월 7일에는 당시 주한일본대사였던 시게이에 토시노리(重家俊範)대사가 서울프레스센터에서 강연을 하는데 독도관련 단체 회원이 콘크리트 덩어리를 던지는 일도 있었다. 이 사건으로 통역을 담당하던 대사관 직원 호리에 마유미가 손에 부상을 입었다. 해당 회원은 2015년에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을 일으켰다.

4.1 국방무관

일본에서는 방위주재관(防衛駐在官)이라고 한다.

야마노 마사시(山野正志) 1등공좌(공군대령)가 재직 중이다. 일본이 독도 영유권을 표기한 방위백서 한국어판을 배포하자 국방부에서 야마노를 초치해 항의하기도 했다. 야마노 외에도 고토 노부히사(後藤信久) 1등육좌(육군대령), 쿠로다 마사히코(黒田全彦) 1등해좌(해군대령)도 무관으로 근무 중인데 야마노가 최선임인 모양. 출처

5 관련항목

  1. 도호쿠 대지진 당시에는 1주 휴회한 바 있다.
  2. 외교부에서 항의할 일이 있을 때 해당국의 외교관을 불러내 항의하는 것. 한마디로 나라간의 갈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