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현전

集賢殿

jiphyun.jpg
위의 사진은 경복궁에 있는 수정전으로, 이 수정전이 있던 자리에 집현전이 있었다고 전해진다.[1]

1 개요

탄압받은 백성들을 자유롭게 하고 깨우치게 해주는 곳
불경스러운 짓을 더는 용인하지 않는 곳
집타곤

고려조선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

중국에서는 나라,나라 이래 설치되어, 나라 현종 때 완비된 기관으로서 이곳에 학사를 두어 경적의 간행과 서적의 수집 등을 맡아 보게 하였다.

한국에도 옛날부터 이 제도가 수입되어 많은 영향을 끼쳤으나, ‘集賢殿’이란 명칭이 사용된 것은 1136년에 延英殿을 집현전이라 개칭한 데서 비롯한다. 그러나 고려 때와 조선의 건국 초기까지에도 별다른 활동은 없었다.

1356년 고려 공민왕이 집현관과 우문관을 없애고, 수문전·집현전 학사를 두었다고 한다. 이후에도 간간이 폐하고, 다시 설치하던 것을 조선 세종 2년(1420년)에 확대, 개편하였다. 이전까지는 관청도 없고, 직무도 없었으나 이때부터 청사를 가지고, 경전역사의 강론과 임금의 자문을 담당하였다. 훈민정음(한글)을 집현전 학사들이 만들었다라는 주장이 있지만 그래봐야 어디까지나 거든 것이고 세종의 주도하에 문종과 다른 왕족들이 주로 참여한 것이 정설이다. (다만 중국의 음운학자인 황운을 요동의 귀양지까지 만나고 온 신숙주는 좀 레전드인듯.) 만약 진지하게 진행되고 있었다면 아무리 비밀리에 진행되어도 겸직인 윗 관직들을 제외한 최상위 보스인 부제학 최만리가 몰랐을리가 없다. 다시말해 세종대왕이 저질러 놓으면 집현전 학사들이 뒷수습 하는 모양새.

집현전에 소속된 인물들의 이름을 보자면, 정인지, 박팽년, 강희안, 신숙주, 이개, 성삼문, 하위지, 최항... 당대의 천재들은 다 모였다. 그야말로 드림팀.

이후에 1456년(세조 1년), 단종 복위 운동을 한 사육신(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등..)을 비롯한 반대파 인물이 집현전에서 많이 나왔으므로 음력 6월 6일에 집현전을 파하고 경연을 정지시키면서, 집현전에 소장한 책을 예문관에서 관장하게 하였다. 그러나 문신들이 벼슬에만 욕심을 내고 공부를 게을리 하는 폐단이 생겨서 1459년 이후 3품 이하의 문신으로서 젊고 총명한 사람을 뽑아 예문관의 관직을 겸임시켜 연구하게 하였으나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한편 1460년(세조 5년) 음력 5월 22일에는 이조에서 사관 선임 규정을 강화하고, 경연, 집현전, 보문각 등은 직함이 비고 직임이 없으니 혁파하기를 청하였으므로 윤허하였다. 이로써 집현전은 완전히 폐하게 되었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고 성종이 친정을 행한 이후인 성종 9년(1478년) 음력 3월 19일 집현전에 의거해서 예문관 부제학 이하의 각원을 홍문관의 관직으로 옮겨 임명하게 하여 예문관을 분리·개편하였다. 대우를 극진히 하였으나 세종 때의 집현전에는 따르지 못하였다.이후 연산군때에는 흥청의 집으로 사용되었다. 즉, 기생의 집으로 쓰였다.

한편, 집현전을 'Jade Hall'이라고 영역(英譯)한 사례를 종종 접할 수 있는데 (문명이라든가... 문명이라든가...), 이는 위에서 언급하였듯 집현전이 재개편된 '홍문관'의 별칭이 '옥당(玉堂)'이었기 때문. 'Jade Hall'은 '옥당'을 직역한 표현이다. 참조 링크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Hall of Worthies 라고 되있다.

2 집현전의 관직

품계관직정원비고
정1품영전사2명겸직
종1품
정2품대제학2명겸직
종2품제학2명겸직
정3품부제학(당상관)1명
종3품직제학1명
정4품직전1명
종4품응교1명
정5품교리1명부검토를 겸임
종5품부교리1명부검토를 겸임
정6품수찬1명부검토를 겸임
종6품부수찬1명부검토를 겸임
정7품박사1명
종7품
정8품저작1명
종8품
정9품정자1명
종9품

3 기타매체에서의 집현전

한국의 Decision 에 나온다. 능력치는 존재가치가 없는 수준. 문화력을 0.01씩 증가시켜주는 정책인데, 사용할때 드는 50두캇이 3.142배는더 아깝다. 왜냐하면 문화력이 정말로 남아돌기 때문이다. 어차피 영토가 작고 기술개발속도는 거북이라서 행정관이 나올때마다 0.05문화력으로 갈아넣는데, 대체 0.01이 무슨소용일까? 심지어 사용하는데 3행정관까지 소모되며, 영구적이지도 않다. 이쯤되면 에딧에 손이가기 시작한다.

전작처럼 50두캇을 지불하나 효과는 매년 위신+0.5에 게임종료까지 적용되게 바뀌었다.

한국의 문명특성으로 나온다. 특성은 모든 위인타일, 수도의 과학 관련 .건물마다 연구력+2. 이 때문에 한국은 미칠듯한 과학 업그레이드가 가능해서 남들 석궁 쏠 때 쏘고 다닐 수 있다. 너무 강력해서 너프가 예상될 정도. 그러나 결국 너프는 없었다. BNW로 넘어오면서 과학관련 문명들이 간접너프를 당한게 전부. 플레이어에게 선전포고를 행할 때에도 세종의 대사에서도 나온다.

네 놈의 성가신 행패를 집현전은 더는 용인하지 않는다! [2]
우리는 무력으로라도 너의 탄압받은 백성들을 자유롭게 하고 깨우치게 해주리라! 근데 어디에선가 이런 말을 들은거 같은데?
(플레이어에게 선전포고시)
본격 집현전의 펜타곤화 줄여서 집타곤

  1. 실제로도 북궐도형을 보면 이 건물 앞에 궐내각사가 쫙 펼쳐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2. 그런데 위에서도 나와있지만 실은 집현전은 학문연구 및 자문기관이라 전쟁하고는 관계가 별로 없다. 조언이나 자문 정도는 몰라도…. 하지만 지나가던 선비들이 최종적으로 모인 곳이니 고증에 충실하다고 볼 수 있다 젊고 총명한 선비들이 백성들을 아끼는 마음이 폭☆발해서 선비들이 직접 무기를 제작하는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