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중앙로 184번지에 위치한 농어촌버스 운수업체로, 1985년 8월 12일에 설립했다. 영덕군 농어촌버스업체인 영덕버스와 더불어 아성고속 계열사임에도 불구하고, 관계에 대해서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자세히 보면 알겠지만 차량의 행선지 표기의 글씨체가 아성/천마와 동일하다.
버스 배차 간격이 넓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늦는 일이 있다. 1시간 10여분이나 기다렸다
2 차량
윗 동네 영양여객이 전 차량 현대자동차 버스를 운용하는 것과 반대로, 인근 의성여객과 마찬가지로 전 차량 자일대우버스를 운용한다. 과거에는 BF101, BF101Q, BF105, BS106등 대형버스를 운용하였지만[1], 현재는 전량 로얄미디(BM090[2], BS090) 중형버스를 운용하고 있다.
도색은 이전에는 입석버스는 아이보리색 바탕에다가 남색 줄로 구성된 경북 공통 구도색[3], 1991년부터 운행한 좌석버스는 이를 약간 변형한 형태(남색 굵은 줄 부분 밑에 붉은색 가는 줄 추가, 앞뒷면엔 대구 BS105, RB520 1/3개폐창 스틸바디 좌석버스처럼 좌석 직행이라고 적혀있었다.[4])였으나, 2009년경 입석·좌석 공용으로 현재의 붉은 바탕의 도색으로 바뀌었는데, 도색이 상당히 깔끔하고 예쁜 편이다. 일반·좌석버스 요금 일원화는 사실상 이때부터 예고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회사에서 운용중인 몇몇 차량(주로 좌석버스)에는 저상버스처럼 슬로프가 달려 있다.
3 요금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1300원 | 1000원 | 650원 |
이전까지는 군 경계 상관없이 10km만 넘으면 종량요금을 칼같이 받아 거리에 따라 최대 5800원의 요금을 내야했지만, 2014년 1월 1일부터는 요금정액제로 군 경계 외 지역인 안동시 임동면 지리, 영덕군 달산면 옥계리로 갈 때만 기본요금에서 100원이 추가된 1400원(성인 기준)을 받고,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요금이 일원화되었다. 도내 군위군, 영덕군, 영양군과 마찬가지로 교통카드는 아직 사용되지 않는다.
4 운행 노선
4.1 농어촌버스[5]
- 청송 ↔ 진보
- 청송 ↔ 부남
- 청송 ↔ 이전, 내룡
- 청송 ↔ 신흥, 지경, 구수
- 청송 ↔ 부곡, 옹점
- 청송 ↔ 병부
- 청송 ↔ 주왕산
- 청송 ↔ 신점, 이전
- 진보 ↔ 교도소
- 진보 ↔ 부곡, 추현, 기곡
- 진보 ↔ 세장
- 진보 ↔ 괴정
- 진보 ↔ 지동
- 진보 ↔ 어천, 지동
- 부남 ↔ 중기
- 부남 ↔ 신점, 이전
- 부남 ↔ 이현, 내룡, 옥계
- 도평 ↔ 눌인
- 도평 ↔ 상사리
- 안덕 ↔ 수락, 갈천
- 안덕 ↔ 장전, 도평
- 안덕 ↔ 고와, 노래
- 안덕 ↔ 신성, 도평
- 안덕 ↔ 화목
- 이전 ↔ 주왕산
- 화목 ↔ 갈천, 상바산
- 화목 ↔ 사촌
- 부남 ↔ 도평
- 부남 ↔ 하속
4.2 좌석버스[6]
- 청송 ↔ 월외, 교동
- 청송 ↔ 신흥, 지경
- 청송 ↔ 진보
- 청송 ↔ 부남
- 청송 ↔ 약수탕
- 청송 ↔ 병부
- 청송 ↔ 주왕산
- 진보 ↔ 추현
- 진보 ↔ 감호소
- 진보 ↔ 괴정
- 주왕산 ↔ 이전
- 주왕산 ↔ 약수탕
- ↑ 경상북도에서 영주여객과 더불어서 프론트엔진버스인 BF105를 좌석버스로 운용한 몇 안되는 곳이기도 하다. 물론 비슷한 년식의 BS106 좌석버스와 혼용 운용했다.(영주여객도 마찬가지)
- ↑ 8020호가 2015년 2월에 경상북도 최초의 유로 6 디젤 NEW BS090(NEW BS 전 차종 통틀어서도 경북 최초의 유로6 디젤 차량이다.)으로 대차되는 것을 마지막으로 사라졌다.
- ↑ 현재는 의성, 문경, 상주에서만 흔하게, 구미, 군위, 울진에서 드물게 볼 수 있다.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좌석버스는 1991년 후반 BS106, 에어로시티, AM937이 나오면서 전개폐창(에어로시티, 일부 BS106)이나 2/3개폐창(AM937, 일부 BS106)에 패널바디로 바뀌고 앞뒷면의 '좌석 직행'이 '좌석'으로 바뀌었으며, BS106한정으로 대구 좌석 구도색 패턴이 약간 바뀌되었다. 기존 대구 좌석 구도색의 BS106 적용은 영천, 경주에서 한동안 사용되었다.
- ↑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요금이 일원화되기전 과거 일반버스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
- ↑ 일반버스와 좌석버스의 요금이 일원화되기전 과거 좌석버스로 운행하였던 노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