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

이 문서에는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독자연구를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의견들은 다른 이용자의 정당한 반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기 전에 문서 내 검색을 통해 중복된 내용인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집단연구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1 개요

일반적으로 클리셰는 틀에 박힌 공식이나 장면, 캐릭터 설정 같은 것을 뜻하는 말이다. 식상함에서 벗어나기 위해 작가들이 클리셰를 파괴할 수 있게 노력하는 경우가 많은데, 많은 작가들이 클리셰 파괴에 몰리다 보니 이젠 클리셰 파괴 행위 자체가 되려 클리셰가 되어 버린 경우를 뜻한다.

이 클리셰가 주로 의미하는 건 캐릭터 외양 설정 부분이다. 예를 들어 겉모습을 알 수 없는 최종보스가 알고 보니 어린 꼬마의 모습을 하고 있다든지, 아주 강하고 의미 있는 캐릭터가 나이 어린 미소녀라든가 하는 식. 독자나 시청자들이 해당 캐릭터를 평범하게 디자인을 하지 않을 것이라는 걸 어느 정도 예상하는 경우도 많다.

클리셰 파괴를 보는 이들이 클리셰 파괴를 예감하고 있다면, 그것은 더 이상 클리셰 파괴가 아니라 클리셰이다. 클리셰를 파괴해야된다는 강박관념이 낳은 또 다른 클리셰라고 할 수 있다. 클리셰의 정반대 방향으로 달리면 그 또한 어느새 뻔한 이야기가 되어버린다.

아래 '이것에 해당되는 작품' 목록에는 클리셰 파괴를 시도했던 작품과, 이후 이 클리셰를 따라가는 작품들이 뒤섞여있다.

상기 문단에서 설명하는 '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는 신선한 시도를 해보겠다고 기존의 클리셰를 비틀었지만 그 비틀어진 모습이 또 하나의 클리셰가 되버려서 뻔하고 예측 가능해진 것을 의미한다. 단순히 클리셰를 파괴하기만 했으면 그저 신선한 시도에 불과하고 해당 항목의 주제와는 전혀 맞지 않으니 예시에 추가할 때 명심하도록 하자.

2 관련 장르

3 이것에 해당되는 작품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단순하게 클리셰를 파괴한 경우가 아니라 클리셰 파괴가 타 작품들에 빈번히 차용되어 또다른 클리셰가 된 작품만 쓸 것. 예를 들어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같은 작품은 단순한 클리셰 파괴를 넘어 장르의 본질까지 파괴해버려서, 이 작품을 마법소녀물로 보지 않는 사람도 많다. 디지몬 테이머즈 역시 마찬가지. 그러므로 이런 작품들의 클리셰 파괴는 또 하나의 클리셰가 되었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이런 류의 작품들은 아래 내용에 쓰지 말 것.

  • All Yesterdays - 기존 고생물 복원에 만연한 클리셰를 깨기 위해 출간되었지만, 오히려 이 책의 '새로운' 시각이 새로운 클리셰가 되기도 했다.[1]
  • 고쿠도군 만유기: 오늘날에 보면 이 작품도 상투적인 것 같지만, 이 작품이 연재되던 90년대 당시에는 상당히 파격적인 설정이나 스토리가 많았다.
  • 나는 네가 지난 여름에 한 일을 알고 있다
  • 난 알아요 - 서태지와 아이들1집 타이틀곡: 그 이전에는 없던, 노래파트 랩파트 노래파트 랩파트의 반복구성. 즉, 랩이 들어간 노래를 창조했고, 이는 대부분의 K-POP 아이돌들에게 빠질 수 없는 필수요소로 남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는 K팝 장르 그 자체로 승화했다. 다만 서태지를 모티브로한 SM의 아이돌들을 시작으로 국내가요시장의 획일화가 시작되었다.
  • 마법소녀 프리티 벨
  • 메다카 박스
  • 뱀파이어 연대기: '뱀파이어에 대한 이야기를 비웃는 뱀파이어' 기믹의 시초격인 작품. 현재로서는 클리셰 파괴를 위한 클리셰의 전형적인 예가 되었다.
  • 스컬걸즈: 최종보스가 어린 여자아이인 것도 그렇고 내용상으로는 완전 소녀판 러브크래프트다.
  • 스크림
  • 슬레이어즈: 주인공인 리나 인버스는 처음에는 약했다가 점점 성장해나가는 패턴과는 반대로 처음부터 이미 세계적으로 명성을 날리는 강자로 등장한다. 처음부터 강한 주인공이 나오는 작품은 요새는 흔하지만 당시에는 적어도 한국에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은 이 작품이 거의 최초.
  • 신들의 만찬
  • 애거서 크리스티 - 애크로이드 살인사건 : 이후 수많은 추리 소설이나 추리 만화 등에 차용. 자세한 건 애크로이드 살인사건항목 참조.
  • 어깨 위의 천사와 악마 클리셰가 등장하는 많은 작품 : 원래는 내면 갈등을 겪고 있는 캐릭터에게 천사가 선한 조언을, 악마가 나쁜 조언을 던지는 클리셰인데. 이제는 천사가 오히려 나쁜 조언을, 악마가 선한 조언을 던지는 등의 수많은 변칙들이 이미 하나의 클리셰로 굳어져 있기도 하다. 해당 항목 참조.
  • 어린 왕자 : 코끼리를 삼킨 보아뱀 그림이 유명해지면서 또다른 클리셰가 되었다.
  • 장갑기병 보톰즈 : 밑의 자붕글보다 1년 뒤에 나온 작품.[2] 주인공 기체는 멋지게 커스텀된 전용기도 아니고, 그렇다고 한 대를 오래 타는 것도 아니라 그냥 쓰고 버리기를 반복한다. 다만, 소위 리얼로봇물의 전용기 클리셰는 좀 더 세월이 지난 뒤에 정립됐다고 봐야 한다. 초시공요새 마크로스보다 1년 늦고, 기동전사 Z건담보다 2년 빨리 방영됐다. 어떻게 보면 리얼로봇물에서 전용기 클리셰가 정착되기 전의 간극기에 나왔다고 볼 수 있다.
  • 전투메카 자붕글 : "주인공이 미소년이여야 한다.", "주인공 메카는 한대로 끝까지 우려먹어야한다.", "주인공의 원수는 반드시 최후를 맞이한다." 와 같은 당시 메카닉의 법칙 및 클리셰들을 파괴하고 새로운 클리셰를 만든 작품. 대표적인 것이 주인공의 전용기 갈아타기.
  • 프리큐어 시리즈 : 작중 전투 요소를 비중있게 첨가해 싸우는 미소녀에 가까워지며, 기존의 마법소녀물의 공식을 비틀었고, 그 결과 마법소녀 프랜차이즈의 정의 자체를 상당부분 바꾸게 되었다.(어찌보면 미소녀전사 세일러문의 연장선으로 볼 수 있다.)
  • 포켓몬스터 XY&Z - 플레어단: 애니메이션 한정으로 플라드리를 시작으로 플레어단이 악의 조직에 타락이 가장 납득이가며, 애니메이션 역대 악의 조직 최초로 대규모 도시를 초토화 했으며, 자신들의 야망을 대대적으로 밝히며, 애니메이션에서 악의 조직 관련 내용은 주로 2화로 끝나는데, 플레어단 최초로 3배인 6화로 이어가고 있다.
  • 뿌셔뿌셔 : 라면을 끓여 먹어야 한다는 클리셰를 비틀었는데, 수많은 아류작들이 양산되며 클리셰가 되어 버렸다.
  1. 정확히는 이 책 아이디어와 비슷한 복원도는 이전부터 관련 업계에서 종종 투고되곤 한 것이었으나 본 작이 유명해진 이후 또다른 클리셰로 정착한 것.
  2. 자붕글:1982년. / 보톰즈: 198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