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대교

한강의 교량
상류 방면이름하류 방면
동작대교한강대교노량대교
21번 서울특별시도(양녕로)
서울특별시도
강변북로
남양주 방면
동작대교 북단
한강대교 북단 가양 방면
원효대교 북단
노들로
양화교 방면
여의상류IC
한강대교 남단  종 점
현충로 동작역 방향과 직결

漢江大橋 / Hangangdaegyo(Way Bridge)

한강대교
다국어 표기
영어Hangangdaegyo
(Way Bridge)
한자漢江大橋
관리기관
한강대교서울특별시
강변북로

550px

구조형식1차 교량(일제)핀 프랫 트러스교(Pin Connected Pratt Truss Bridge)
2차 교량(일제)리벳팅 타이드 아치교 (Riveting Tied Arch Bridge)
강판형게르버교(Steel Plate Girder Gerber Bridge)
확장 교량용접접합 타이드 아치교 (Welding Tied Arch Bridge)
강판형게르버교(Steel Plate Girder Gerber Bridge)
중지도(노들섬)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로 3가와 동작구 본동(노량진) 사이를 잇는 총연장 1,005m의 한강 위에 놓인 최초의 인도교[1]이다. 일제치하의 조선총독부가 제1기 치도사업의 일환으로 1916년 3월에 착공하여 이듬해인 1917년 10월[2]에 준공하였다. 1925년 소교가 유실되어 복구 후 1935년 확장된 신교가 건설되었다. 1950년 6월 28일 6.25 전쟁으로 인해 폭파되었으며, 9.28수복 후 우선 1차선만 복구하여 차량 통행을 재개하였고, 1954년에 완전 복구되었다. 1979년 1월에는 4차선 교량을 8차선 교량으로 확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어 1981년 12월에 완공하였다. 1984년에는 한강종합개발사업에 따라 제1한강교 에서 한강대교로 개칭되었다.

한강대교는 서울에서 남쪽방면의 노량진으로 통하는 가장 중요한 관문위치라 할 수 있다. 서울의 관문인 한강대교는 1916년 3월에 가교가 착수되었으며 이당시 총공사비는 843,000원이 소요되었다. 노량진 쪽에는 경간 60m인 7연의 한강대교와 용산측에 경간 60m인 3경간의 한강소교를 설치하고 양쪽다리 중간은 401m의 둑을 쌓아 연결하여 1917년 10월에 준공하였다.

정식 명칭이 과거 제1한강교, 현재는 한강대교임에도 '한강 인도교'라는 명칭이 많이 익숙한데, 이는 한강홍수통제소의 수위 관측지점 명칭이 그렇게 되어 있어서 여름철 홍수 때마다 잠수교와 함께 뉴스에 언급되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명칭이 한강대교로 변경되었다. 참고로, 저 제1한강교 및 제일한강교 등으로도 검색해도 모두 이 문서로 들어올 수 있다.

겨울이면 한강이 얼어붙었다는 판정을 내리는 기준점이 되기도 한다. 한강 결빙 관측지점은 노량진 방향 2번째와 4번째 교각 사이다. 상류 쪽으로 100m 부근의 남북 간 띠 모양 지점이 얼었는지에 따라 결빙 여부를 판정한다. 이 기준은 한강 결빙 여부를 처음으로 판정하던 1906년 당시 한강대교 부근 노량진이 한강의 주요 나루 가운데 하나이고 접근성이 좋았기 때문에 결빙 관측 기준점으로 지정한 데서 유래했다. 통상적으로 1년 중 가장 추운 1월 중순 쯤에 한강 결빙 소식이 전해진다.

이승환의 3집 'My Story'의 수록곡 '내게'의 뮤직비디오가 이 다리에서 촬영되었다.

또한 러블리즈의 싱글 1집' Lovelinus' 에 수록된 '그대에게' 뮤직비디오의 시작부분이 이 곳에서 촬영되었다.

2 역사

1900년 7월 한강에 철도교가 가설되었는데, 대한제국 정부가 미국인 J.모스(Morse)에게 경인선 철도의 부설권을 부여할 당시에는 한강철교에 ‘보행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길 한쪽 또는 양쪽에 보도를 시설할 것’을 명시하고 있었으나 모스로부터 철도부설권을 가로챈 일본은 공사비를 절감한다는 이유로 보도 가설조건을 이행하지 않았다.

당시만 해도 민간용의 차량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도보로 한강을 건너는 이들은 배를 이용하여 한강을 건넜기 때문에, 보도 교량을 건설할 만한 수요가 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자동차가 수입되기 시작하고 강을 건너려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조선총독부가 인도교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1917년 최초로 가설된 인도교는 중지도∼노량진 간의 7경간 440m의 대교와 중지도∼한강로간의 3경간 188m의 소교로 나누어져 있었으며 차도는 4.5m, 좌우 보도는 각각 1.6m였다. 이러한 철교 및 인도교의 개통으로 영등포와 노량진 일대가 급격히 도시화되었다.

이 교량은 한강철교의 낡은 자재를 이용하여 가설하였으므로 폭이 좁고 중앙차도 4m, 좌우측 보도는 각 1m(상기 수치와 비교, 0.5m정도의 오차 가능)에 불과하였다.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교량 가설 10년 후에는 협소한 인도교 하나로 그 교통량을 처리하기가 힘들게 되었으며 그후 1925년 7월에 있었던 을축년 대홍수때 중간둑이 유실되어 소교 부분이 완전 유실되는 등 손상을 입었으므로 유실된 소교를 길이 459m, 너비 18m로 확장하여 재건하고 전차궤도도 부설하는 공사를 1927년 5월에 시작하여 1929년 9월에 준공하고 18일에 도교식을 거행하였다. 그러나 소교에 비해 대교 부분의 폭이 협소하여 차량 소통 등에 불편이 누적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1934년 8월 신교 건설에 착수하여 2년 후인 1935년 10월에 현재의 규모와 거의 같은 교량을 준공하였다. 같은 기간에 2번째의 인도교인 광진교도 건설되었다. 그로부터 이 한강교는 서울과 강남을 연결하는 단 둘뿐인 통로로서 서울의 간선도로 중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6.25 전쟁이 일어난지 3일 뒤인 1950년 6월 28일 대교 구간의 2, 3, 5번째 경간이 국군에 의해 폭파되어 사용불능상태가 되었으며, 한강교량을 건너 피난길에 올랐던 최대 800명으로 추산되는 수많은 서울 시민들이 폭사 및 익사하였으며 50여대의 차량도 함께 파괴되었다. 그 후 타이드아치 3경간이 파괴되었던 것을 9.28수복 후 우선 1차선만 복구하여 차량 통행을 재개하였고 1957년 1월에 복구공사를 착수하여 1958년 5월 15일에 준공하였다.

서울의 인구와 교통량이 크게 증가됨으로 인하여 1979년 1월에는 4차선 교량을 8차선 교량으로 확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어 1981년 12월에 준공하였는데, 기존 교량과 같은 규모의 설계에 의하여 중지도∼한강로의 소교 구간(북측)은 기존교량의 동쪽을, 중지도∼노량진의 (남측) 대교 구간은 기존 교량의 서쪽을 확장하였다. 종전의 폭을 20m에서 40m로 확장하여 쌍둥이 교량으로 탈바꿈하였으며 그 이름도 예전의 한강인도교에서 한강대교로 개칭하였다.

한강대교 남단에는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이 위치하고 있으며, 노량진로상도터널이 있는 양녕로와 연결된다. (흑석동 방향은 하단에 기술함.) 북측에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신용산역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있는 용산역이 있으며 이 근처에 '용던'이라고 불리는 용산 전자상가가 있다.
남단측에서 강을 따라 상류로 가는 흑석동 방면 차도 진입은 상도터널 위쪽 어깨길로 우회하거나 노량진로를 통하여 P턴하듯 노들고가를 타야 한다. 또한 남단측에서는 노들길 김포공항방향(하류쪽)으로 바로 합류가 가능하나 상류측 합류는 불가능하며, 88올림픽강변대로로는 합류하는 길이 없으므로 노들길 혹은 흑석로를 경유하여 진입해야한다.
북단측에는 강변북로 진입로도 이어져 있으며 동향(상류쪽) 서향(하류 인천쪽) 모두 쉽게 합류가 가능하다.
참고로 중앙선이 한강대교 북단 바로아래를 통과하는데, 문제는 한강대교의 높이가 너무 낮아서 전차선을 깔지 않았기 때문에 절연구간이 생기게 되었다. 한강대교가 철로만든 구조라서 전기를 넣으면 대교가 통째로 감전되어버린다고.
그밖에, 과거에는 북측에도 남측에도 모두 고가차도와 크로스 되었었기에 다리에 진입하는 지역 근처의 조망이 좋지 않았으나 2010년 전후로 모두 철거하여 현재 시야가 좋아진 상태. (남측의 경우 노량진역과 연결되는 고가는 정화사업으로 철거되었으나, 노들고가 즉 노량진북고가차도는 아직 남아있다.)

2013년, 이곳에도 마포대교에 이어 서울특별시와 삼성생명이 함께 자살방지 캠페인으로 생명의 다리를 설치했다. 하지만 수년 운영중에 몇가지 사회적 이슈와 함께 2015년 5월부로 삼성생명이 계약을 연장하지 않아 모두 철거될 예정이다.

3 6.25 전쟁과 한강대교 폭파

한강 인도교 폭파 항목 참조. 6.25 전쟁 초기의 유명한 사건이다.
  1. 사람이나 자동차가 다니도록 놓은 다리
  2. 지금으로부터 99년 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