絶緣區間 / Dead Section
1 개요
딩동댕, 여기서부터는 절연구간입니다. -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절연구간 통과 시[1][2](멜로디)[3] 잠시 후 전력공급 방식 변경으로 객실 안 일부 전등이 소등되며, 냉 난방 장치가 잠시 정지되오니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 절연구간 통과 안내방송
전기철도(지하철 포함)에서 직류와 교류가 바뀌거나, 전기주파수가 바뀌거나, 관할 변전소가 바뀌는 등의 사유로 잠시 전력 공급이 끊어지는 구간. 원래는 데드섹션의 직역어인 사구간(死區間)이라는 표현을 썼으나, 국립국어원에서 언어순화의 결과 절연구간이라는 표현을 쓰게 되었고, 철도사업법 및 도시철도법에서 용어도 절연구간으로 통일되었다. 일본에서는 아직 데드섹션이라고 부르며 지적확인시에는 '섹션'이라고 환호응답한다.
이 구간 내에서는 견인전동기 전력 공급이 불가하므로 제동을 사용하지 않고 관성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기관사는 절연구간 진입 직전 역에서부터는 하구배나 커브가 없는 한 최대한 가속을 해서 절연구간을 통과할 만한 속도로 올려두어야 한다. 그리고 전동차 내부의 형광등이나 안내장치(LCD 및 LED 전광판) 등의 시설도 꺼졌다가 통과 시 다시 들어온다. 다만 311000호대의 311x95편성부터는 에어컨만 작동 정지되고 형광등은 들어온다. [4] 따라서 이 구간 내에서는 기관사는 차량을 정차시켜서는 안 되며, 비상제동 체결 등으로 인해 차량이 정차한 경우 적절히 취급한 다음 빠져나온다. 사실 이것도 차량 중 어느 부분이 절연구간에 빠졌냐에 따라 달라진다. 팬터그래프 중 한 개라도 절연구간 밖에 있다면 후속 열차들을 대기시킨 다음 적절히 역행을 해서 빠져나오게 되지만 여기서 잘못 조치하면 다른 차량으로부터 구원운행을 받거나 유니목이라는 장비라고 쓰고 다목적 트럭이라고 읽는(...) 차를 이용해서 어떻게든 절연구간 밖으로 열차를 견인하게 된다.[5] 물론 견인을 받기 위해서 구원기가 될 열차를 현장에 보내고 승객들에게 제공될 대체 열차를 끌어오는 등 최소 수십분 이상을 기다리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직류에서 교류로 바뀌는 구간은 교직 절연구간이라고 부르며 말 그대로 직류 ↔ 교류로 전기방식을 완전히 바꾸는 구간으로 운전취급이 가장 까다로운 구간이며 운전이론 및 도시철도 시스템에서는 66m로 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교-교 절연구간은 각 변전소간의 교류 위상차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조정해 주거나 다른 사정으로 교류구간에서 전기를 공급하기 어려운 구간에 설치하는데 일반적으로 22m로 되어있어 매우 짧기 때문에 일반 승객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안산선의 대야미역과 수리산역 사이. 이 구간은 35km/h 이상으로만 통과해도 주차단기가 떨어지지 않으므로 절연 구간을 느낄 수가 없다. 단,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에서 운행되는 서울메트로 1000호대 전동차 및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는 절연 구간에서 객실 LED가 리셋되며, 객실등이 잠깐 소등되는 현상을 보인다. 코레일 소속 차량에서는 웬만해서는 보이지 않는 현상.
직류 ↔ 직류 절연 구간은 국내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직류 전류는 파형을 그리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위상차가 존재하지 않아 절연 구간이 불필요하다. 물론 사용 전압이 다른 노선끼리 직통 운행을 한다면 그 땐 필요할 수도 있으나, 아직까지 그런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현재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가선 급전 방식 노선은 전부 직류 1500V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
통신사 Wi-Fi가 전동차에 구축될 당시에는 절연구간에 들어서면 열차에 설치된 Wi-Fi AP의 전원도 차단되어 작동하지 않았다. 절연구간에 들어서자마자 Wi-Fi가 끊어지기 때문에 불편해하는 승객들이 많은 편았지만 이후 AP에 UPS가 설치되는 방식으로 끊김 문제가 개선되었다. 예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남영역 ~ 서울역 사이, 지하 청량리역 ~ 회기역 사이 등의 절연구간에서는 Wi-Fi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니셜D의 패러디 동인지 "전차로 D"의 D가 데드섹션의 D라는 소리가 있다(....).
참고로 교류-교류 절연구간 부근인지 쉽게 알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선로 주변에 변압시설이 있는지의 여부와 현수애자가 두 개(┌┬┐형태)이거나 마디마다 절연체가 붙어있는지의 여부이다. 수도권 전철이나 일반 열차의 전철화구간이나 모든 지상구간에는 일정 간격으로 승압 및 변전시설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부근에서 전차선이 들어오고 갈라지는데 그 사이에 있는 전차선에는 절연체가 덕지덕지 붙어있는 구간이 바로 절연구간인 셈. 좀 더 눈썰미가 좋다면 신호기 아래에 붙어있는 절연구간 표지를 보고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절연구간의 데드섹션의 종류에는 이중오버랩, PTEF, FRP가 있다.
2 주요 사례
- 수도권 전철 4호선 중 과천선의 서울메트로 남태령역과 코레일 선바위역 사이. 이 곳은 꽈배기굴을 만들어 놔서 열차의 진행 방향이 엇갈리면서 생기는 커브 때문에 특히 위험한 구간이다.
- 개통 초창기에는 기관사의 조작 미숙 등으로 인하여 절연구간에 빠지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특히, 직류장치로 교류 25,000V가 그대로 흘러가 직류장치를 모두 태워먹는 경우도 있었다. 최근에 들어서는 제2종 전기철도차량면허 시험 구간이기도 하고, 숙련도가 올라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 위 모두 서울메트로 측은 직류를 사용하고, 코레일 측은 교류를 사용한다. 특히 위 3개 구간에서는 절연구간 안내방송이 나온다.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용산역과 이촌역 사이
- 양쪽이 다 코레일 구간으로 교류를 사용하는데도 전류가 꺼지는 절연구간이다. 철도 위를 지나가는 한강대교와 전차선의 높이 차이가 30cm 미만에 불과해, 전차선을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생겨났다. 게다가 이 구간에는 90도에 가까운 커브와 용산삼각선 합류지점까지 존재해, 일반적으로 교-교 절연구간의 길이는 22m인데도 불과하고 이곳은 120m나 되며 교-직 절연구간처럼 객실등이 꺼진다. 그래서 이 구간에서 열차가 멈춰서면 오도가도 못하게 되는 사고가 생긴다. 열차를 빨리 움직일 수 없어 경의중앙선의 표정속도를 깎아먹는 주범 중 하나.
- 한강대교가 철로 만든 구조인지라 한강대교 밑으로 지나는 전차선에 전력을 넣어버리면 바로 위에 있는 한강대교에 전기가 흐르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것이 사실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 평창올림픽 지원 기존선 고속화 사업에는 이 구간의 절연구간을 이촌-서빙고 구간으로 이설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한강대교 아래의 전차선은 '일반용 가선 브래킷'을 사용하는데, 이를 '터널용 가선 브래킷'으로 교체하면 급전이 가능하다고 한다.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 참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서울역 - 신촌역 사이 아현리역(현재 폐역) 구간.
- 아현리역이 있던 자리에 있는 고가가 주택가와 지나치게 붙어있고, 전기 공급 경로가 바뀌는 곳이기 때문.
- 분당선, 공항철도, 신분당선의 지하구간에도 절연구간이 있다. 이 구간도 전부 교류를 사용하기 때문. 대표적으로 신분당선 양재시민의숲역 - 양재역 구간.
3 절연구간 표지
절연구간이 있는 구간은 기관사에게 절연구간임을 알리는 표지가 있다. 아래의 사진들은 대한민국 철도의 전차선 관계표지 사진들이다.
가선절연구간 예고표지. 선로속도 200km/h 초과 구간에서는 타행표지로부터 1,100m 전방에, 그 이하인 경우 400m 전방에 설치한다.
타행표지. 전기차는 표지 설치구간을 역행운전하지 못한다. 또한 교직겸용 전기차 이외의 전기차는 전원이 다른 구간에 거쳐서 역행운전할 수 없다.
이 표지를 지나면 운전실에 절연구간 안내방송이 나온다.
가선절연구간표지 교류용. 이곳을 지날 때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용산역-이촌역 구간처럼 교-교 절연구간이 긴 구간을 제외하면 전기장치가 꺼지지 않는다.
가선절연구간표지 교직류용. 이곳을 지날 때 교직절환스위치(ADS)를 조작하게 된다.
역행표지 전기기관차용. 전기기관차는 이 표지를 지난 시점부터 역행운전을 할 수 있다.
역행표지 전기동차용. 위쪽 표지이다. (아래는 '속도제한해제표지'이다.)
전동차는 이 표지를 지난 시점부터 역행운전을 할 수 있다.
위 사진 외에도 고속기관차용 역행표지도 있다. 마름모꼴에 가운데 '고' 자가 새겨져있다.
4 대한민국 철도의 절연 구간
SS는 변전소, SP는 급전구분소, SSP는 보조급전구분소이다.
노선명 | 설비명 | 선로 | 구간 | 위치[6] | 통과제한속도 | 비고 |
경부고속선 | 소하SP | 하행 | 금천구청 ~ 광명 | 18.971 ~ 18.993 | 120 | 교류-교류 |
상행 | 금천구청 ~ 광명 | 18.975 ~ 18.997 | 120 | 교류-교류 | ||
안산SS | 하행 | 광명 ~ 천안아산 | 34.675 ~ 34.926 | - | 교류-교류 | |
상행 | 광명 ~ 천안아산 | 34.675 ~ 34.939 | - | 교류-교류 | ||
향남SP | 하행 | 광명 ~ 천안아산 | 53.952 ~ 54.191 | - | 교류-교류 | |
상행 | 광명 ~ 천안아산 | 53.957 ~ 54.195 | - | 교류-교류 | ||
평택SS | 하행 | 광명 ~ 천안아산 | 76.147 ~ 76.390 | - | 교류-교류 | |
상행 | 광명 ~ 천안아산 | 76.159 ~ 76.395 | - | 교류-교류 | ||
용정SP | 상하행 | 천안아산 ~ 오송기지 | 101.625 ~ 101.786 | - | 교류-교류 | |
신청주SS | 상하행 | 오송기지 ~ 신탄진 | 130.207 ~ 130.373 | - | 교류-교류 | |
회덕SP | 상하행 | 신탄진 ~ 대전북연결선 | 150.186 ~ 150.348 | - | 교류-교류 | |
옥천SS | 상하행 | 대전 ~ 대구 | 183.267 ~ 183.479 | - | 교류-교류 | |
상촌SP | 상하행 | 대전 ~ 대구 | 207.661 ~ 207.889 | - | 교류-교류 | |
김천SS | 하행 | 대전 ~ 대구 | 233.622 ~ 233.860 | - | 교류-교류 | |
상행 | 대전 ~ 대구 | 233.662 ~ 233.860 | - | 교류-교류 | ||
신동SP | 상하행 | 대전 ~ 대구 | 260.762 ~ 261.032 | - | 교류-교류 | |
대구SS | 하행 | 동대구 ~ 신경주 | 290.513 ~ 290.612 | - | 교류-교류 | |
상행 | 동대구 ~ 신경주 | 290.522 ~ 290.621 | - | 교류-교류 | ||
당리SP | 하행 | 동대구 ~ 신경주 | 321.650 ~ 321.749 | - | 교류-교류 | |
상행 | 동대구 ~ 신경주 | 321.660 ~ 321.758 | - | 교류-교류 | ||
울산SS | 하행 | 신경주 ~ 울산 | 347.973 ~ 348.105 | - | 교류-교류 | |
상행 | 신경주 ~ 울산 | 347.982 ~ 348.114 | - | 교류-교류 | ||
보은SP | 하행 | 신경주 ~ 울산 | 370.606 ~ 370.705 | - | 교류-교류 | |
상행 | 울산 ~ 부산 | 370.615 ~ 370.714 | - | 교류-교류 | ||
부산SS | 하행 | 울산 ~ 부산 | 390.309 ~ 393.408 | - | 교류-교류 | |
상행 | 울산 ~ 부산 | 393.318 ~ 393.417 | - | 교류-교류 | ||
경부선[7] | 지하서울역 입구 | 상행2선 | 남영 ~ 지하서울역 | 0.575 ~ 0.641 | 120 | 교류→직류 |
하행2선 | 지하서울역 ~ 남영 | 0.772 ~ 0.838 | 120 | 직류→교류 | ||
구로SS | 상행2선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13.446 ~ 13.468 | 120 | 교류-교류 | |
하행2,3선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13.050 ~ 13.072 | 120 | 교류-교류 | ||
상행1선,하행1선 | 구로 ~ 가산디지털단지 | 13.446 ~ 13.468 | 120 | 교류-교류 | ||
안양SP | 상행1,2선 | 관악 ~ 안양 | 22.600 ~ 22.622 | 120 | 교류-교류 | |
하행1,2선 | 관악 ~ 안양 | 22.600 ~ 22.622 | 120 | 교류-교류 | ||
군포SS | 상행2선 | 당정 ~ 의왕 | 31.642 ~ 31.664 | 120 | 교류-교류 | |
하행2선 | 당정 ~ 의왕 | 31.639 ~ 31.661 | 120 | 교류-교류 | ||
상행1선 | 당정 ~ 의왕 | 31.630 ~ 31.652 | 120 | 교류-교류 | ||
하행1선 | 당정 ~ 의왕 | 31.623 ~ 31.645 | 120 | 교류-교류 | ||
수원SP | 상하행1선 | 수원 ~ 세류 | 43.168 ~ 43.190 | 120 | 교류-교류 | |
상하행2선 | 수원 ~ 세류 | 43.168 ~ 43.190 | 120 | 교류-교류 | ||
평택SS | 상행2선 | 서정리 ~ 지제 | 70.776 ~ 70.798 | 120 | 교류-교류 | |
하행2선 | 서정리 ~ 지제 | 70.843 ~ 70.865 | 120 | 교류-교류 | ||
상행1선 | 서정리 ~ 지제 | 70.771 ~ 70.841 | 200 | 교류-교류 | ||
하행1선 | 서정리 ~ 지제 | 70.805 ~ 70.865 | 200 | 교류-교류 | ||
천안SP | 상행 | 천안 ~ 소정리 | 98.194 ~ 98.205 | 200 | 교류-교류 | |
하행 | 천안 ~ 소정리 | 98.165 ~ 98.184 | 200 | 교류-교류 | ||
조치원SS | 상행 | 서창 ~ 조치원 | 128.381 ~ 128.392 | 200 | 교류-교류 | |
하행 | 서창 ~ 조치원 | 128.346 ~ 128.357 | 200 | 교류-교류 | ||
신탄진SP | 상행 | 신탄진 ~ 회덕 | 153.700 ~ 153.712 | 200 | 교류-교류 | |
하행 | 신탄진 ~ 회덕 | 153.650 ~ 153.712 | 200 | 교류-교류 | ||
옥천SS | 상하행 | 옥천 ~ 이원 | 185.059 ~ 185.134 | - | 교류-교류 | |
영동SP | 상하행 | 영동 ~ 황간 | 214.160 ~ 214.235 | - | 교류-교류 | |
직지사SS | 상행 | 추풍령 ~ 직지사 | 245.308 ~ 245.401 | - | 교류-교류 | |
하행 | 추풍령 ~ 직지사 | 245.310 ~ 245.411 | - | 교류-교류 | ||
대신SP | 상하행 | 대신 ~ 아포 | 265.891 ~ 265.966 | - | 교류-교류 | |
사곡SS | 상행 | 사곡 ~ 약목 | 284.717 ~ 284.812 | - | 교류-교류 | |
하행 | 사곡 ~ 약목 | 284.737 ~ 284.777 | - | 교류-교류 | ||
지천SP | 상하행 | 지천 ~ 대구 | 313.048 ~ 313.123 | - | 교류-교류 | |
경산SS | 상행 | 가천 ~ 경산 | 334.997 ~ 335.263 | - | 교류-교류 | |
하행 | 가천 ~ 경산 | 335.026 ~ 335.246 | - | 교류-교류 | ||
청도SP | 상하행 | 청도 ~ 상동 | 364.419 ~ 364.626 | - | 교류-교류 | |
밀양SS | 상하행 | 밀양 ~ 삼랑진 | 387.424 ~ 387.612 | - | 교류-교류 | |
물금SP | 상행 | 물금 ~ 화명 | 416.216 ~ 416.384 | - | 교류-교류 | |
하행 | 물금 ~ 화명 | 416.216 ~ 416.384 | - | 교류-교류 | ||
가야SS | 상하행 | 사상 ~ 부산진 | 437.830 ~ 438.080 | - | 교류-교류 | |
호남선 | 조차장SP | 상하행 | 대전조차장 ~ 서대전 | 2.788 ~ 2.967 | 200 | 교류-교류 |
계룡SS | 상하행 | 계룡 ~ 신도 | 26.719 ~ 26.729 | 200 | 교류-교류 | |
채운SP | 상하행 | 채운 ~ 강경 | 58.832 ~ 58.842 | 200 | 교류-교류 | |
익산SS | 상행 | 익산 ~ 부용 | 89.181 ~ 89.190 | 200 | 교류-교류 | |
하행 | 익산 ~ 부용 | 89.140 ~ 89.149 | 200 | 교류-교류 | ||
신태인SP | 상행 | 신태인 ~ 정읍 | 119.909 ~ 119.949 | 200 | 교류-교류 | |
하행 | 신태인 ~ 정읍 | 119.887 ~ 119.927 | 200 | 교류-교류 | ||
백양사SS | 상하행 | 노령 ~ 백양사 | 146.170 ~ 146.180 | 200 | 교류-교류 | |
임곡SP | 상하행 | 임곡 ~ 하남 | 176.651 ~ 176.660 | 200 | 교류-교류 | |
노안SS | 상하행 | 광주송정 ~ 노안 | 190.587 ~ 190.597 | 200 | 교류-교류 | |
함평SP | 상하행 | 고막원 ~ 함평 | 216.575 ~ 216.585 | 200 | 교류-교류 | |
일로SS | 상행 | 몽탄 ~ 일로 | 234.658 ~ 234.706 | 200 | 교류-교류 | |
하행 | 몽탄 ~ 일로 | 234.639 ~ 234.686 | 200 | 교류-교류 | ||
대불선 | 용포리SSP | 단선 | 일로 ~ 대불 | 1.180 ~ 1.280 | 180 | 교류-교류 |
중앙선 | 회기SP | 상하행 | 회기 ~ 중랑 | 2.226 ~ 2.248 | 120 | 교류-교류 |
구리SS | 상하행 | 구리 ~ 도농 | 10.233 ~ 10.255 | 120 | 교류-교류 | |
국수SP | 상하행 | 신원 ~ 국수 | 36.853 ~ 36.875 | 120 | 교류-교류 | |
매곡SS | 상하행 | 석불 ~ 일신 | 71.587 ~ 71.609 | 120 | 교류-교류 | |
서원주SP | 단선 | 서원주 ~ 동화 | 89.827 ~ 89.867 | 120 | 교류-교류 | |
원주SS | 단선 | 만종 ~ 원주 | 106.500 ~ 106.540 | 120 | 교류-교류 | |
치악SP | 단선 | 금교 ~ 치악 | 126.686 ~ 126.694 | 120 | 교류-교류 | |
봉양SS | 단선 | 구학 ~ 봉양 | 146.455 ~ 146.463 | 120 | 교류-교류 | |
고명SP | 단선 | 제천 ~ 고명 | 156.540 ~ 156.550 | - | 교류-교류 | |
단양SS | 단선 | 단양 ~ 단성 | 181.983 ~ 181.991 | 120 | 교류-교류 | |
안정SP | 단선 | 안정 ~ 영주 | 212.391 ~ 212.399 | 120 | 교류-교류 | |
태백선 | 고명SP | 상행 | 제천 ~ 입석리 | 1.789 ~ 1.799 | - | 교류-교류 |
하행 | 제천 ~ 입석리 | 1.704 ~ 1.714 | - | 교류-교류 | ||
쌍용SP | 단선 | 쌍룡 ~ 연당 | 18.650 ~ 18.658 | 120 | 교류-교류 | |
석항SS | 단선 | 연하 ~ 석항 | 47.514 ~ 47.522 | 120 | 교류-교류 | |
민둥산SP | 단선 | 민둥산 ~ 사북 | 70.252 ~ 70.260 | 120 | 교류-교류 | |
동백산SS | 단선 | 동백산역 구내 | 103.800 ~ 103.808 | 120 | 교류-교류 | |
영동선 | 문단SP | 단선 | 영주 ~ 문단 | 8.101 ~ 8.109 | 120 | 교류-교류 |
춘양SS | 단선 | 춘양 ~ 녹동 | 40.226 ~ 40.234 | 120 | 교류-교류 | |
동점SP | 단선 | 석포 ~ 동점 | 81.143 ~ 81.151 | 120 | 교류-교류 | |
동백산SS | 단선 | 동백산역 구내 | 92.700 ~ 92.708 | 120 | 교류-교류 | |
고사리SS | 단선 | 고사리 ~ 마차리 | 118.187 ~ 118.227 | 120 | 교류-교류 | |
동해SS | 단선 | 도경리 ~ 동해 | 146.515 ~ 146.523 | 120 | 교류-교류 | |
경원선 | 지하청량리 입구 | 상행 | 청량리역 구내 | 8.499 ~ 8.565 | 120 | 직류→교류 |
하행 | 청량리역 구내 | 8.565 ~ 8.631 | 120 | 교류→직류 | ||
용산SP | 상하행 | 용산 ~ 이촌 | 0.866 ~ 0.976 | 120 | 교류-교류 | |
의정부SS | 상하행 | 회룡 ~ 의정부 | 30.966 ~ 30.988 | 120 | 교류-교류 | |
용산삼각선 | 용산SP | 단선 | 노량진 ~ 이촌 | 0.866 ~ 0.976 | 120 | 교류-교류 |
분당선 | 왕십리SP | 상하행 | 왕십리 ~ 서울숲 | 1.547 ~ 1.569 | 120 | 교류-교류 |
모란SS | 상하행 | 모란 ~ 야탑 | 20.567 ~ 20.579 | 120 | 교류-교류 | |
신분당선 | 매헌SS | 상하행 | 양재 ~ 양재시민의숲 | 2.765 ~ 2.787 | - | 교류-교류 |
정자SSP | 상하행 | (신분당선) 정자 ~ (분당선)미금 | 0.571 ~ 0.593 | - | 교류-교류 | |
경춘선 | 갈매SP | 상하행 | 신내 ~ 갈매 | 1.547 ~ 1.569 | 120 | 교류-교류 |
마석SS | 상하행 | 마석 ~ 대성리 | 27.802 ~ 27.824 | 120 | 교류-교류 | |
가평SP | 상하행 | 가평 ~ 굴봉산 | 53.019 ~ 53.041 | 120 | 교류-교류 | |
남춘천SS | 상하행 | 김유정 ~ 남춘천 | 77.739 ~ 77.761 | 120 | 교류-교류 | |
대전선 | 대전선 | 단선 | 대전 ~ 서대전 | 2.489 ~ 2.550 | 180 | 교류-교류 |
전라선 | 금강SP | 상하행 | 동익산 ~ 삼례 | 7.185 ~ 7.435 | - | 교류-교류 |
전주SS | 상하행 | 전주 ~ 신리 | 27.890 ~ 28.140 | - | 교류-교류 | |
관촌SP | 상하행 | 관촌 ~ 임실 | 51.109 ~ 51.369 | - | 교류-교류 | |
남원SS | 상하행 | 산성 ~ 남원 | 76.759 ~ 77.050 | - | 교류-교류 | |
죽곡SP | 상하행 | 압록 ~ 구례구 | 110.288 ~ 110.538 | - | 교류-교류 | |
순천SS | 상하행 | 괴목 ~ 개운 | 132.882 ~ 133.127 | - | 교류-교류 | |
율촌SP | 상하행 | 성산 ~ 율촌 | 154.358 ~ 154.603 | - | 교류-교류 | |
덕양SS | 상하행 | 덕양 ~ 여천 | 167.192 ~ 167.485 | - | 교류-교류 | |
가야선 | 가야SS | 상하행 | 범일 ~ 가야 | 1.089 ~ 1.264 | - | 교류-교류 |
상행 | 사상 ~ 가야 | 433.900 ~ 434.067 | - | 교류-교류 | ||
하행 | 사상 ~ 가야 | 434.610 ~ 434.618 | 120 | 교류-교류 | ||
동해남부선 | 가야SS | 단선 | 범일 ~ 부전 | 1.089 ~ 1.264 | - | 교류-교류 |
경전선 | 낙동강SP | 상하행 | 낙동강 ~ 한림정 | 5.368 ~ 5.556 | - | 교류-교류 |
진례SS | 상하행 | 진례 ~ 창원중앙 | 23.117 ~ 23.351 | - | 교류-교류 | |
창원SP | 상하행 | 창원 ~ 마산 | 39.740 ~ 39.770 | - | 교류-교류 | |
군북SS | 상하행 | 함안 ~ 군북 | 60.409 ~ 60.624 | - | 교류-교류 | |
오송선 | 오송SP | 상행 | 서창 ~ 오송 | 2.647 ~ 2.655 | 120 | 교류-교류 |
하행 | 서창 ~ 오송 | 2.632 ~ 2.640 | 120 | 교류-교류 | ||
충북선 | 오송SP | 단선 | 조치원 ~ 오송 | 2.371 ~ 2.379 | 120 | 교류-교류 |
증평SS | 상하행 | 증평 ~ 도안 | 41.625 ~ 41.633 | 120 | 교류-교류 | |
음성SP | 상하행 | 음성 ~ 소이 | 61.829 ~ 61.827 | 120 | 교류-교류 | |
충주SS | 상행 | 충주 ~ 목행 | 85.695 ~ 85.703 | 120 | 교류-교류 | |
하행 | 충주 ~ 목행 | 85.685 ~ 85.693 | 120 | 교류-교류 | ||
봉양SP | 상행 | 공전 ~ 봉양 | 112.488 ~ 112.496 | 120 | 교류-교류 | |
하행 | 공전 ~ 봉양 | 112.500 ~ 112.508 | 120 | 교류-교류 | ||
과천선 | 선바위SP | 상행 | 선바위 ~ 남태령 | 13.410 ~ 13.476 | 120 | 교류→직류 |
하행 | 남태령 ~ 선바위 | 13.180 ~ 13.246 | 120 | 직류→교류 | ||
안산선 | 금정SP | 상하행 | 수리산 ~ 대야미 | 3.962 ~ 3.984 | 120 | 교류-교류 |
경인선[8] | 구로SS | 상행1선 | 구로 ~ 구일 | 1.110 ~ 1.132 | 120 | 교류-교류 |
하행1선 | 구일 ~ 개봉 | 1.766 ~ 1.788 | 120 | 교류-교류 | ||
상행2선 | 구로 ~ 구일 | 0.868 ~ 0.890 | 120 | 교류-교류 | ||
하행2선 | 구일 ~ 개봉 | 1.710 ~ 1.732 | 120 | 교류-교류 | ||
부개SP | 상행1,2선 | 송내 ~ 부개 | 12.776 ~ 12.798 | 120 | 교류-교류 | |
하행1,2선 | 송내 ~ 부개 | 12.829 ~ 12.851 | 120 | 교류-교류 | ||
주안SS | 상행1,2선 | 도화 ~ 제물포 | 22.089 ~ 22.111 | 120 | 교류-교류 | |
하행1,2선 | 도화 ~ 제물포 | 22.089 ~ 22.111 | 120 | 교류-교류 | ||
경의선[9] | 고양SS | 상하행1선 | 화전 ~ 강매 | 13.477 ~ 13.499 | 120 | 교류-교류 |
상하행2선 | 화전 ~ 강매 | 14.004 ~ 14.026 | 120 | 교류-교류 | ||
서울SP | 상하행 | 서울 ~ 신촌 | 1.962 ~ 1.984 | 120 | 교류-교류 | |
수인선 | 시흥SP | 상하행 | 오이도 ~ 달월 | 0.928 ~ 0.950 | 120 | 교류-교류 |
연수SSP | 상하행 | 연수 ~ 송도 | · | · | 교류-교류 | |
인천국제공항철도 | 공항철도직결선 | 상하행 | 경의선 수색 ~ 김포공항 | · | · | 교류-교류 |
9호선 연결선 | 상하행 | 김포공항(9) ~ 김포공항(공항) | · | · | 직류→교류 | |
계양SS | 상하행 | 김포공항 ~ 계양 | · | · | 교류-교류 | |
청라SSP | 상하행 | 청라국제도시 ~ 영종 | · | · | 교류-교류 | |
영종SSP | 상하행 | 영종 ~ 운서 | · | · | 교류-교류 | |
용유SS | 상하행 | 인천국제공항 ~ 용유기지 | · | · | 교류-교류 |
- ↑ 전동차마다 다르겠지만 맨 앞칸 운전실 방향에 서있다보면 운전실에서 딩동댕 형태로 나오는 멜로디나 실로폰 소리가 나온 다음 "열차가 사구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부터는 사구간입니다" 또는 "여기서부터는 절연구간입니다" 라는 안내목소리가 희미하게 들릴 때도 있다. 이것은 전동차를 운전중인 기관사에게 절연구간임을 알리는 안내음으로 연식이 오래된(특히 4호선) 열차에서는 사구간이라고 나온다. "열차가 사구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라는 안내목소리는 과천선 개통초기에 나온 과천선 문제 관련뉴스를 통해 방송으로도 나왔다. 실제 과천선 문제 관련뉴스 영상 중 하나로 영상 중에서 1분 0초-1분 12초 사이에서 사구간이라고 나오는 절연구간 안내목소리가 나온다.
- ↑ 요즘은 코레일차는 "여기서부터는 절연구간입니다", 서울메트로차는 "여기서부터는 사구간입니다"로 통일되었다.
- ↑ 여담으로 이때 흐르는 멜로디는 부산 지하철에서 문이 닫힐 때 나는 멜로디이기도 하다.
- ↑ 전부 차단되지는 않는다. 형광등 중 축전지 전기를 사용하는 일부 직류 형광등은 절연구간에서도 켜진다. 인버터 전동차의 경우 보조전원장치(SIV)에 30초 내외의 짧은 시간동안 출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부스팅 기능이 있어서, 교-교 절연구간의 경우 절연구간에 진입하지 않은 보조전원 장치가 출력을 보내지 못하는 보조전원 장치의 몫까지 출력을 보내므로 보통은 교-교 사구간에서 에어컨이나 히터같은 교류전원이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으나 일부 반감된다. 해외 철도 차량의 경우에는 보조전원장치 보강을 통해 아예 형광등 등을 끄지 않고 직-교 절연구간을 통과하는 경우도 있다. 8200호대 전기기관차의 경우 교-교 절연구간 통과시 회생제동을 조금씩 사용하여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객차에 전원을 공급한다. (단, 8200호대 전기기관차 견인이더라도 발전차가 가동될 시 제외된다.) 만일 교-교 절연구간 통과를 승객이 느낄 수 있었다면 기관사의 운전취급 실수나 선로 상황상 제 속도를 가지고 절연구간을 통과할 수 없는 상황이었을 것이다. 아니면 차량 고장이거나.
- ↑ 그렇다. 그냥 무식하게 줄에 묶어서 끌어버리거나 밀어버리는 그 방식이 맞다.(...)
- ↑ 기점에서의 거리(km)
- ↑ 1선 : 여객열차 선로, 2선 : 전동차 선로, 3선 : 가산디지털단지 ~ 용산간 급행 열차 선로
- ↑ 1선 : 급행열차 선로(내선), 2선 : 일반열차 선로(외선)
- ↑ 1선 : KTX 및 서울역행 선로, 2선 : 전동열차 및 용산행 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