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화교학교

1 개요

漢城華僑學校.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1][2]서대문구 연희동[3]에 위치한 학교로 화교들을 대상으로 하는 외국인 학교이다.

'한성'이라는 이름이 붙은이유는 상당히 오랫동안 서울의 중국어 표기가 한성이었기 때문. 다만 학교의 영문 명칭에서는 Hancheng이 아닌 Seoul을 사용한다.

2 설명

20세기에 들어서 한반도에 화교 인구가 유입되면서 그들의 자녀들을 교육할 필요가 있어 세워진 학교이다. 화교학교로서는 인천화교소학교 다음으로 생겼다. 중화민국의 교육 편제를 따르며 한성화교소학교중학교고등학교가 합쳐진 한성화교중고등학교로 구분된다. 소학교는 1909년에 세워졌으며 중고등학교는 1948년 5월에 세워졌다. 중화민국의 교육과정을 따르지고 수업은 중국어로 이루어진다. 한국 사회에 속한 특성상 1주일에 3시간 정도 한국어와 한국 관련 사항도 가르친다. 학생들이 대개 한국어를 말하는 데 능숙하기는 하지만 한국어로 글을 쓸 때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4]. 가끔 중화권에 살던 한국인이나 한국 체류 중화인민공화국 사람들의 자녀가 들어와 다니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진미령. 혹은 어른의 사정으로 일반 한국인이 유입되는 경우도 많은데, 예산난 때문인지 대부분 눈 감아주는 듯 한다. 현재 재학생의 과반수 이상이 한국인이라고 한다. 다만 한국 정부가 학력으로 인정해 주지 않으니 주의. 교사도 한국인, 중화민국인(화교 또는 대만인)도 있고 최근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출신도 있다[5]. 한성화교소학교는 한때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화교학교이기도 했다.

은근히 출신별로 파벌이 갈린다. 한국에서 유치원을 다니다가 중국어를 배우러 대만의 소학교에 갔다가 한국으로 복귀한 화교의 말에 따르면 한국에 지역별로 화교소학교가 있지만 정작 중고등학교는 서울, 부산, 대구, 인천이 전부라 전국에서 다 모이게 되는데 끼리끼리 논다고 한다. 특히나 명동의 한성화교소학교 출신들이 성골이라고 카더라. 하지만 이것은 사람 하기 나름이다. 일단 화교도 사람이다. 한국일본도 어느 나라에도 그렇듯이 본인이 어떻게 친목을 가지냐에 따라 다르다. 실제로 각 지방에서 온 학생들과 서울에서 살았던 학생들이 같이 잘 노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진짜 파벌이 있는데, 이것은 한국 출생 화교 학생 vs 중국 본토 출생 학생 (...). 화교 학교에 중국에서 건너온 본토인들이 학교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래도 한국 문화 영향을 받은 화교[6]중국 문화 영향을 받은 한족이 같은 반에서 같은 수업을 해서 그런지, 문화 차이가 심해서 가끔 싸움을 벌이는 경우도 있다. 이 쪽이 레알일지도(...) 한국에서 발생하는 국공내전 그리고 집에서 중국어를 쓰는 본토 출신 애들과 달리 한국에서 나고 자란 화교들은 중국어로 된 숙제를 집에 들고가도 물어볼 사람이 없어서 근처 학원에서 해결하고 가기도 한다. 3세대나 4세대에 이를수록 화교들은 한국학교로 그냥 가버리려고 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화교학교는 본토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사람들 비율이 높아져서 화교사회의 고민거리. 인원이 부족하다보니 화교소학교에선 이제 한국인도 받는다...[7]

중화민국의 학제를 따르기 때문에 8월에 학기가 시작되며 여름에 졸업한다, 대부분 7월 쯤에 졸업한다. 화교학교를 졸업한 학생들은 보통 대한민국에 있는 대학교대만에 있는 대학교 두 분류로 나뉘어서 들어가간다. 대만 대학교로 들어갈 경우 졸업하고 대만의 수능을 보고 바로 들어간다. 대한민국에 남을 경우에는 한 학기 빨리 졸업해버리는 바람에 시간이 좀 남는다. 그 기간 동안에 대학교에 원서를 신청하거나 각자 할 일을 한다.

중화민국 교육부에서는 학력을 인정한다. 대한민국 교육부 방침상 각종학교로 구분되기 때문에 한국에선 학력이 인정되지 않는다고는 하지만, 사실 대한민국 대학 외국인 특별 전형으로 들어갈 때 학력으로 인정된다. 실제로 이런 사례로 들어온 화교 학생이 적지 않다는 걸 화교 친구를 둔 대학생들도 소식을 접해볼 수 있다. 검정고시로 들어온 사례는 졸업을 못 했거나, 개인적인 특별한 사정으로만 할 뿐. 보통 대학교에서 수시로 접수할 때 다 인정해준다. 게다가 각 대학에서도 이미 화교에 대해 많이 알고 있는 편이고 해서 넘어가는 편.

일단 학교는 당연하게도 사립다. 그래서 학비가 다른 한국 학교에 비해 비쌀 경우가 있다. 교육 수준은 아무래도 한국에서 대만 교육으로 수업하는거라 평가하기가 애매한 편. 학생들도 아무래도 한국 문화에 영향받으며 자라왔고, 한국어가 편한 상태이니 상당히 혼란스러워 하기도. 중화민국 정부가 교과서를 무상 지원한다. 단 배송료는 학교측에서 부담해야 한다고 한다. 그래서 학생들에게는 유상 공급을 한다 한다. 과거 국정교과서 시절에는 이게 간단했지만 대만도 민간 출판사에서 다양한 교과서를 발행하는 상황이 되어 이게 좀 복잡해진 듯하다. 덤으로 고등학생 2학년이 되면 문과이과를 나누는 동시에, 여기서 또 한국대학교에 진입 할 학생들이 있는 반하고 대만 대학교로 들어갈 학생들 반 두 반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한국 대학교에 들어 갈 경우에는 한국 교과서로 수업한다.

연세대 북문에서 내려오면 화교학교가 있고 재밌는 건 바로 옆에 서울외국인학교가 있다. 예전에는 서로 시비가 잦았던 편이기도. 현재는 많이 줄어든 편이다.

3 동문

  • 강래연: 1981년생의 배우. 한성화교중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세종대 진학.
  • 주현미: 1961년생. 광주화교로 어머니는 한국인이고 아버지는 화교한의사였다. 한성화교학교를 나온 뒤에 중앙대 약대에 진학했으며 현재는 귀화했다.
  • 진미령: 한국인이지만 다녔다. 아버지는 한국광복군 대령 출신이다. 한국군의 창군 인사들을 보면 중국인과 교류가 많았고 예비역 장성들이 중화민국 대사로 파견되는 일이 많았고 중화권과 교류가 많았다. 진미령도 그런 케이스.
  • 하희라: 어릴 때만 다녔는지 중국어를 거의 못 한다.. 최수종결혼하며 귀화.
  • 설영흥: 1945년생으로 현대자동차 부회장. 현대차의 중국사업을 총괄하고 있다.
  • 쯔위: JYP 연습생 당시 화교학교에서 공부했다고 한다. 자세한 사항 추가 바람.

4 외부 링크

한성화교소학교 사이트(중국어)
  1. 소학교가 위치한다
  2. 문래동에도 별도의 화교소학교가 있다.
  3. 중고등학교가 위치한다
  4. 어떤 측면에서 보면 본국(중화민국) 초등학교에서 현재 표준중국어를 기본적으로 교수 언어로 사용하지만 교육과정상 본성인들의 모어인 대만어, 객가어나 원주민 언어 교육을 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접근할 수 있다. 한국에 있기 때문에 본국 거주 아이들이 대만어, 객가어, 원주민어를 배우듯 여기서는 현재 사는 나라인 한국어를 배우는 것인 셈. 물론 본국에서 대만어 등의 교육을 시키지 않았어도 여기서는 한국어 교육을 계속하긴 했다.
  5. 이 사람들은 한어병음만 쓰다가 처음으로 주음부호를 배워서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6. 요새 화교 중 절반 정도는 부모 한쪽이 한국인이다. 엄마가 한국인이라 외국인 전형 못 들어간다고 서류상으로 이혼하는 케이스도 있어 화교사회에서 문제가 됐는데 최근엔 어떻게 됐는지 추가바람. 요즘은 대만 국적 화교라면 부모 중 한 명이 한국인이여도 외국인으로 봐주는 대학들이 늘어났다.
  7. 단 아무나 받는 건 아니고 부모 중 한쪽이 화교거나 해외 영주권이 있거나 한 사람들을 받는 거다. 왜 한국인들이 들어가려고 하냐면 보통 분기당 학비가 50만원 정도로 한국 공립학교보다는 비싸지만 중국 유학 보내는 것보단 싸게 먹히기 때문이다. 정작 한국인은 중국어 배우러 들어가는데 한국화교들은 한국어 쓰는 게 함정... 그나마 중국 본토 출신들이 들어오기도 하니까 낫긴 한데 중국 본토인들이 들어오면서 중국 정부가 대만 정부랑 연 끊고 자기들이랑 하자고 압박 들어오는 것도 함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