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자치구강남구강동구강북구강서구관악구
광진구구로구금천구노원구도봉구
동대문구동작구마포구서대문구서초구
성동구성북구송파구양천구영등포구
용산구은평구종로구중구중랑구
밑줄은 시청 소재지.
서대문구 법정동
충정로2가충정로3가합동미근동북아현동
냉천동천연동옥천동영천동현저동
대신동대현동신촌동봉원동창천동
연희동홍제동홍은동남가좌동북가좌동


西大門區 / Seodaemun-gu

550px
서대문구청 전경. 새 건물처럼 보이지만 실은 성형수술리모델링의 결과물. 건물 자체는 1977년에 지어진 것이다. 주소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 248(舊 연희동 168-6번지).

160px
서대문구
西大門區 / Seodaemun District
국가대한민국
면적17.61km2
광역시도서울특별시
하위 행정구역14
시간대UTC+9
인구315,821명
(2016년 7월 주민등록인구)
인구밀도17,786.26명/km2
구청장문석진
재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회의원우상호(서대문구갑)
3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김영호(서대문구을)
초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홈페이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1 개요

서울특별시의 북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16.7월 기준 인구 315,821명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북쪽과 서쪽으로 은평구, 동쪽은 종로구중구, 남쪽은 마포구에 접한다.

구명(區名)의 유래는 돈의문(서대문)이지만, 현재 서대문구에는 서대문이 없는 것이 아이러니이다. 다만 서대문구가 설치된 1943년부터 1975년까지는 돈의문 터가 서대문구 관할 내에 있었다. 동대문구와 같은 케이스.

시내버스 권역 번호는 7번이며, 서대문구에서 떨어져 나간 마포구/은평구 및 경기도 고양시/파주시와 공용한다.

2 역사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성저십리 연희방, 반송방 지역이었고, 1910년 경성부 연희면이 되었다. 1914년 고양군에 편입되어 고양군 연희면이 되었다가, 1936년 경성부에 재편입되었다.

1943년 경성부 구제(區制) 실시로 설치된, 서울 최초의 7개 구 중 하나이다.[1]

1944년 서대문구의 일부를 마포구로 분리하였다. 1949년 고양군 은평면을 편입하고 은평출장소를 설치하였다.

1964년 노고산동·대현동의 일부가 마포구에 편입되고, 마포구 아현동 일부가 서대문구 북아현동에 편입되었다.

1975년 서대문구 관할이었던 구기동·평창동·무악동·교남동 등이 종로구에, 정동·서소문동·의주로동·충정로1가[2]·중림동·만리동 등이 중구에, 서대문구 상암동·성산동·연희동 일부[3] 등이 마포구에 편입되었다. 서대문이 있는 정동이 이 때 중구로 편입되어 서대문구에는 더이상 서대문이 존재하지 않게 된 것. 근데 서대문구와 중구의 경계에서 정동은 그렇게 안 멀다 정동이 서대문구 관할이었을 때에는 서울특별시청 바로 앞(덕수궁 일대)까지 서대문구 관할이었다.

1979년 서대문구 은평출장소가 은평구로 분리된 이후 오늘날에 이른다.

3 정치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문재인 후보가 앞선 지역은 다음과 같다.

서대문구 : 박근혜 88,811표(45.53%) < 문재인 105,412표(54.04%)
박근혜 : 없음
문재인 : 신촌동(58.2%), 북아현동(55.7%), 북가좌2동(55.7%), 홍제3동(55.6%), 북가좌1동(55.3%), 홍제1동(54.8%), 홍은1동(53.9%), 천연동(53.6%), 남가좌2동(53.5%), 연희동(53.2%), 홍은2동(52.4%), 남가좌1동(51.5%), 홍제2동(51.4%), 충현동(51.0%), 재외투표(57.2%), 국내부재자(53.4%) (14개동 + 재외투표 + 국내부재자)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정몽준, 박원순 두 후보가 각각 앞선 지역은 다음과 같다.

서대문구 : 정몽준 64,341표(40.66%) < 박원순 92,500표(58.46%)
정몽준 : 거소우편투표(54.1%) (거소우편)
박원순 : 신촌동(63.9%), 관외사전투표(62.2%), 북아현동(59.8%), 북가좌1동(59.7%), 북가좌2동(59.6%), 홍제1동(59.3%), 천연동(58.3%), 홍제3동(58.1%), 연희동(57.3%), 남가좌2동(57.2%), 홍제2동(57.0%), 홍은1동(56.9%), 충현동(56.1%), 홍은2동(55.9%), 남가좌1동(52.5%) (14개동 + 관외사전)

국회의원선거구는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이래 꾸준히 갑과 을 두 개가 배정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명지대학교 등 대학들이 많아 상대적으로 진보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오랜 시간 동안 자리를 잡고 살아온 사람들이 많기 때문에 보수적인 경향 역시 비등하다고 할 수 있겠다. 특히 양당체제가 고착화되기 시작한 2000년대부터는 16,17,19대는 한나라당/새누리당, 민주당계 정당이 1석씩 먹었고, 18대는 한나라당이 2석을 싹쓸이했으나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서대문 갑을 모두 당선시키면서 15대 이후 20년만에 민주당계 정당이 서대문구에 걸린 2석을 모두 가져갔다.

재미있게도 갑구는 새누리당 계열과 민주당 계열이 번갈아가면서 엎치락뒤치락 하는 동안, 을구는 민주당 계열이 독점하다가 17대에 한나라당 정두언 의원이 당선된 이후 3선을 지내다가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호 후보에게 패해 낙선했다. 정두언 : 박근혜 부들부들... 그리고 성북구와 소득층의 구성 인원[4], 지형 상으로도 그렇고[5] 대학가를 꽤 끼고 있다는 특성까지 공통분모로 가지고 있어서 그런지 성북구와 여야 지지율이 꽤 비슷하다.

13대14대15대16대17대18대19대20대
갑구강성모/초선
민주정의당
김상현/4선
민주당
김상현/5선
새정치국민회의
이성헌/초선
한나라당
우상호/초선
열린우리당
이성헌/재선
한나라당
우상호/재선
민주통합당
우상호/3선
더불어민주당
을구임춘원/재선
평화민주당
임춘원/3선
민주당
장재식/재선
새정치국민회의
장재식/3선
새천년민주당
정두언/초선
한나라당
정두언/재선
한나라당
정두언/3선
새누리당
김영호/초선
더불어민주당

%25EC%2584%259C%25EB%258C%2580%25EB%25AC%25B8%25EA%25B0%2591.png

갑 선거구의 경우 을 선거구 20대 국회의원인 김영호의 부친 김상현의 지역구였는데 16대 부터 이성헌 - 우상호간의 라이벌리로 19대까지 상대전적이 2:2로 동률이었다. 오죽하면 20대 총선때 지면 정계은퇴해야한다고 말할정도였으니... 20대에서 우상호 의원이 승리하였다.

%25EC%2584%259C%25EB%258C%2580%25EB%25AC%25B8%25EC%259D%2584.png

을 선거구는 14~16대까지는 장재식, 17~19대까지는 정두언 의원이 해당 지역구에서 내리 3선하였다. 20대에서는 정두언에게 3번의 도전한 끝에 김영호 의원이 승리하여 4번의 도전만에 당선되었다.[6]

4 지리

서울특별시자치구들 중에서 면적이 좁은 편에 속한다. 대신 구의 곳곳에 비록 루저이지만 (山)이 많다.

width=100%

가장 먼저 구의 한복판에는 안산(鞍山, 해당 항목의 2)이 있다. 산의 꼭대기에는 근래에 복원된 조선시대의 봉수대가 있으며, 맑은 날에 동쪽을 바라보면 N서울타워63빌딩 등을 볼 수도 있다. 도시 한복판에 있으면서도 산세가 험하지 않아 인근 주민들이 많이 찾는다. 산기슭에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 절 봉원사 등이 있으며, 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의 일부 또한 이 산에 걸쳐 있다.

바로 옆 구의 동쪽 경계(境界)에는 서울성곽의 서쪽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인왕산(仁王山)이 있으며, 두 산 사이에는 무악재가 있다. 이 무악재를 가로질러 통일로(예전엔 의주로)가 놓여 있고, 그 아래로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지나고 있다. 무악재 아래에는 독립문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있으며, 이 일대는 독립공원으로 불리고 있다.

산이 많기 때문에 구내 다른지역으로의 이동이 매우 까다롭다. 대표적인 예가 홍제동에서 연희동이나 신촌갈때.

홍제천 건너 은평구와 접하는 구의 서쪽 경계에는 백련산(白蓮山)이 있다. 산 중턱에는 절 백련사가, 기슭에는 서대문문화회관[7]이 있다.

한편 구의 북쪽 끝 홍은동에는 북한산아주 조금 걸쳐 있다.

홍제천이 구의 북부에서 남서부로 비스듬히 흘러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구간이 이 하천을 따라 지어진 내부순환도로의 아래에 가려 있다. 안습. 그래도 물길을 따라 자전거도로가 놓여 있고 구청 근처의 절벽에는 인공폭포가 설치되어 있는 등, 훌륭한 공원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하천을 따라 내부순환도로가 설치될 무렵부터 건천이 되었다가, 최근에는 청계천처럼 한강의 물을 끌어올려 흘려보내면서 다시 물이 흐르기 시작하였다.
구 서쪽에 흐르는 불광천이 북가좌동과 은평구 증산동의 경계 역할을 하며, 불광천변에도 물길을 따라 산책로와 체육시설, 자전거도로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은평구쪽 시설이 더 좋다

가좌역 부근에 가재울뉴타운이라는 뉴타운사업이 추진중이다. 가재울뉴타운 3단지 공사는 완료되서 입주까지 완료되었고, 4단지 공사가 진행중이다. 이외에 북아현뉴타운아현뉴타운아현역, 이대역 주변에서 진행중이다.

참고로 이 공사 때문에 721번, 751번, 760번, 7613번, 7611번, 7713번이 동부센트레빌아파트 ->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북가좌삼호.가재울아이파크아파트 -> 섬성래미안2차아파트 로 바로 들어가는 길이 공사로 인해 통제되면서, 7611번은 동부센트레빌아파트 정류장을 경유하지 않고 따로 마련된 도로를 통해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정류장으로 향하며 7713번은 요진아파트쪽으로 가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721, 751, 760, 7613번은 남가좌동새마을금고 정류장을 추가로 정차한뒤, 따로 마련된 도로를 통해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정류장으로 향한다. 근데 삼성래미안2차아파트 정류장을 연결해주기 위해 우회적으로 하여 공사현장 사이(...)를 지난다.

721, 751, 760, 7613번은 한 정거장 추가로 지나게 된 셈이고 7611번은 한 정거장 단축된 셈이다.

참고로 서대문구는 마포구, 종로구와 견주어서 3대째 살고 있는 서울 토박이 비율이 상당히 높은 지역이다. 토박이들이 상당히 많이 살고 있는 지역으로 구의 전체 인구 중 6% 정도가 토박이다.

5 지역 특색

5.1 대학교와 대학가(大學街)

세브란스병원으로도 유명한 연세대학교가 신촌동에 있고, 이화여자대학교가 대신동에 있다. 두 대학교의 근처에 있는 신촌먹자골목/유흥가대학가로서 서울의 주요한 부도심들 중에 하나로 성장하였다. 서강대학교 또한 이 근처에 있어[8], 신촌은 이 대학교의 대학가로서도 기능하고 있다.[9] 서대문구의 유일한 백화점인 현대백화점 신촌점도 여기에 있다. [10] 한편 한국에서 찾기 힘들다는 일본산 노래방 기계가 있어, 국내 오덕들에게는 성지와도 같은 곳이 되었다. (홍대거리 항목을 참조하라.)

남가좌동과 홍은동에 걸친 지역에는 명지대학교의 인문 캠퍼스와 명지전문대학이, 냉천동에는 감리교신학대학교가, 북아현동에는 추계예술대학교가, 충정로동에는 경기대학교의 서울 캠퍼스가, 홍제동에는 디지털서울문화예술대학교와 서울여자간호대학이 자리잡고 있다.

5.2 의료기관

한국 최초의 근대식 의료기관인 광혜원/제중원을 기원으로 하는 세브란스병원[11]이 신촌동에 있다. 홍은동에는 동신병원이 있다.

연희동(서대문구청 근처)에 서대문보건소가 있으며, 홍은동(홍은분소)과 옥천동(천연분소)에 분소를 두고 있다.

5.3 기타 공공시설

홍은동에 서대문등기소와 서대문문화회관이 있다. 연희동에는 시립 서대문도서관이 있고, 현저동에는 이진아기념도서관[12]이 있다.

5.4 가 볼 만한 장소

현저동에 독립문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있으며, 이들을 묶어 독립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이 독립공원 안에 설립될 예정이었으나, 광복회의 반발로 최종적으로는 성미산(마포구 성산동 소재) 기슭에 세워졌다.

연희동 서대문구청 근처의 안산 산기슭에는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이 있다.[13]
참고로 안산(해발 295.9m) 자락길은 봄에 벚꽃이 만발해 연인들의 데이트 코스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자작나무, 메타세콰이아 같은 숲들도 울창하게 들어서 있어 서울 시민이라면 한번쯤 꼭 가봤으면 좋겠다. 봉원동의 안산 산기슭에는 절 봉원사(奉元寺)가 있다.[14]

연희동에는 6.25 전쟁의 격전지 중에 하나였던 104고지가 있으며, 기념비도 세워져 있다.

5.5 젊은이와 늙은이

신촌 및 연대, 이대를 중심으로 젊은이들이 많이 들리고 있는 곳이면서 독립문을 중심으로 노인들이 많이 들리는 복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신촌/연대나 이대만 가봐도 젊은이들이 왕래하는 편이고 독립문이나 독립공원에는 노인들이 왕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토박이 노인들이 주로 많이 보인다고 한다.

6 교통

6.1 궤도교통

남쪽에는 경의선마포구와의 경계를 따라 지나며, 신촌 지역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마찬가지로 마포구와의 경계를 따라 지나간다. 동쪽 끄트머리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이 통일로를 따라 지나고, 서쪽 끄트머리인 북가좌동에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이 지나간다. 한편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지하철 5호선의 환승역이자 무지막지한 규모를 자랑하는 던전충정로역도 이 구에 있다.

경의선, 2호선, 3호선, 5호선, 6호선 등 궤도교통 노선이 많기는 한데 어째 다 구 끄트머리의 경계만을 지나가는지라 안쪽에 있는 연희동, 홍은동, 남가좌동은 철도 교통으로의 접근성이 극히 안 좋다. 실제로 이 지역은 서울시계 내에서 궤도교통 접근성이 제일 나쁘기로는 동대문구 전농동[15]-장안동[16] 지역과 함께 손에 꼽힐 정도다. 서대문구청도 이 라인 안에 있다. 이들 지역으로 가려면 홍제역(홍은동, 서대문구청, 연희동 방면), 새절역(홍은동, 명지전문대학, 명지대 인문캠 방면), 홍대입구역(경의선/공철 → 연희동 방면), 가좌역(남가좌동, 가재울뉴타운, 명지대 인문캠 방면)에서 환승해야 한다. 홍대입구역으로 가는 7612번이 시도 때도 없이 헬게이트가 기본이고, 홍제역에서 연희A지구로 가는 7738번에 시민들이 몰려 타는 게 바로 이런 이유다.

추후 서울 경전철 서부선이 지어지면 이 지역들의 교통 여건이 매우 좋아지겠지만, 언제 지어질 지 모른다. 2016년 현재 서울 경전철은 우이신설선과 신림선이 공사 중이다.

6.2 도로교통

구의 주요한 도로망으로서 수색로·성산로, 통일로, 신촌로 등이 있다. 수색로·성산로통일로의 도로축은 고양시·파주시의 빨대로서 러시아워만 되면 헬게이트가 열린다. 신촌로는 외곽 방향으로 양화로와 접속하여 서울 서남부와 도심을 잇는 도로망의 역할을 한다. 세 도로축에 모두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모래내로와 연희로 등이 (상대적으로) 동서축인 세 도로를 남북으로 잇는 역할을 한다. 한편 홍제천을 따라 내부순환로가 지나간다.

7 관내 철도 목록

8 기타

구의 중앙부에 있는 연희동은 대표적인 고급주택 밀집 지역으로,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의 거주지이기도 하다. 그래서 대한민국 치안 최상급 동네 서태지도 연희동에 살았다.

2010 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관공서에서 세계가 지켜보고 있습니다, 음식 쓰레기를 자제해 주십시오라는 말도 안 되는 드립을 시전했다가 폭풍같이 까였다. 야! 신난다~

미용실은 명지대학교 인문캠 정문앞 이열헤어컷과 이가미방, 오모쿠가 유명하다. 이열헤어컷은 여자가 많이 가며 오모쿠는 남자가 많이 간다.

대중매체에서는 네이버 웹툰 베스트도전 만화우주n은하의 배경이 되는 동네이기도 하다.

9 하위 행정구역

파일:01-13-seodaemun-ko.svg.png

법정동 20개, 행정동 14개(행정동: 법정동의 방식으로 정렬함)

9.1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남가좌동(南加佐洞)

구 서쪽에 위치한 동. 모래내시장,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연가초등학교, 연희중학교연희중이 남가좌동에 잉네 등이 관내에 있다.

남가좌동 항목 참조.

9.2 북가좌1동, 북가좌2동[19]: 북가좌동(北加佐洞)

구 서쪽에 위치한 동으로 가재울중, 가재울고, 북가좌초가 있다. 거북골로를 경계로 남쪽이 북가좌1동, 북쪽이 북가좌2동으로 구분된다.

북가좌동 항목 참조.

9.3 북아현동: 북아현동(北阿峴洞) 일부[20]

아현역 북쪽(1,2번 출구 방향)에 위치한 북아현뉴타운 예정지이다. 이 곳에는 북성초, 한성중•고,중앙여중•고 추계예대 등 학교가 의외로많이 있으며 아현역 근처에 가구 판매 관련 점포들이 밀집한 북아현동 가구거리가 있다. 참고로 북아현동은 서대문구지만 길 건너 아현동은 마포구로 구 자체가 다른데,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서부 반송방 아현계(阿峴契)로 불리는 한 동네였으나, 1914년 고양군 연희면 아현북리 및 용강면 아현리로 나뉜 후 각각 서대문구와 마포구에 편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옛날 옛적에 가뭄이 심하게 들어서 아이들이 많이 굶어죽었는데, 이 굶어죽은 아이들을 묻은 곳이라는 의미로 애오개'[21]가 되었다는 식의 설이 구전되어 오지만 확실한 것은 아니며, 아현에서 신촌 방향으로 가는 방향의 대현(大峴:큰 고개)보다 작은 고개가 있는 동네라 아현(兒峴) 즉 아기고개라고 불리다가 한자와 음이 변하여 아현(阿峴) 혹은 애오개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어차피 구만 다르지 북아현동이나 아현동이나 그동네가 그동네긴 하다. 북아현동 가구거리도 보통 아현동 가구거리로 불린다. 한동안 오래된 주택이 많은 동네였으나 현재는 아현동이나 북아현동이나 같이 뉴타운 개발중이긴 한데... 이런저런 분쟁으로 인해 아예 구 주택들 철거가 멈춘 곳도 있고(1-1구역) 조합장이 각종 비리로 구속된 후에 조합해산을 두고 의견이 분분한 데도 있고(3구역. 북아현동 북동쪽) 이래저래 시끄러운 편이다.

아현 고가도로가 굴레방 다리라는 이름으로 자리잡고 있었으나 2014년 3월[22] 철거되었다. 철거된 자리는 차선으로 쓰이고 있으며 기둥 중 하나가 기념비처럼 세워져 있다.

9.4 신촌[23]: 대신동(大新洞), 대현동(大峴洞), 봉원동(奉元洞), 신촌동(新村洞), 창천동(滄川洞)

신촌동 항목 참조

9.5 연희동[24]: 연희동(延禧洞)

조선시대 이궁 가운데 하나였던 연희궁이 동명의 어원이다. 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가 인근에 위치하며. 한편 경내의 고급 주택지에는 교수, 선교사, 외국인들과 정치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연희동(서울) 항목 참조.

9.6 천연동: 냉천동(冷泉洞), 영천동(靈泉洞), 옥천동(玉川洞), 천연동(天然洞), 현저동(峴底洞)

가장 북쪽의 현저동에는 한성과학고, 독립문, 서대문독립공원(서대문형무소역사관), 이진아 기념도서관이 있다. 9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언덕 부근은 달동네 같은 곳이였는데 90년대 후반부터 재개발이 되어 오래된 흔적이 많이 사라진 편이다. 터널 부근이나 오르막길에 아파트가 들어선 곳이 전부 주택가였다.서대문 독립공원 주변에도 주택가가 있었지만 2000년대부터 정리되어 현재 주택가가 있던 자리는 모두 아파트가 들어서거나 공원의 일부가 되었다. 예전의 흔적을 찾아보려면 영천시장 주변 건물 골목쪽을 살펴보면 된다.

영천동에는 영천시장이 있다. 옥천동은 영천동과 천연동 사이에 끼여있다. 법정동과 행정동 모두 천연동에는 동명여중, 금화초가 있다. 가장 남쪽의 냉천동에는 감리교신학대학교가 있다. 주민센터는 삼호아파트 옆에 있다. 영천동의 동네명의 유래는 현저동 산 정상 약발골 약수터의 이름이 "영천"이였던 데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9.7 충현동(忠峴洞)[25]: 미근동(渼芹洞), 북아현동 일부[26], 충정로2가(忠正路2街), 충정로3가(―3街), 합동(蛤洞)

북아현동 지역에는 추계예술대학교, 추계초, 서울중앙여중고가 있고 그 주변으로 재개발이 예정되어 있다. 충정로, 미근동, 합동은 도심과 근접한 지역으로, 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경기초, 인창중고, 미동초, 구세군 빌딩, 종근당 사옥, 서대문경찰서, 대한민국 경찰청, 국민권익위원회, 주한 프랑스 대사관이 있다.

9.8 홍은1동[27], 홍은2동[28]: 홍은동(弘恩洞)

홍은동 항목 참조.

9.9 홍제1동[29], 홍제2동[30], 홍제3동[31]: 홍제동(弘濟洞)

홍은동과 더불어 동쪽으로는 인왕산, 남쪽으로는 안산, 그리고 백련산, 북한산 자락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속한다. 홍제천을 기준으로 북쪽이 홍은동, 홍제천 남쪽이 홍제동이 된다. [32]

홍제동이란 이름은 과거 이 지역에 존재했던 큰 국립 숙박시설인 홍제원(弘濟院)[33] 에서 유래한다. 홍제동 남쪽 현재의 독립문으로 향하는 고개가 바로 무악재인데 무악재는 서울과 개성, 평양, 의주 등을 연결하는 국도로 과거부터 매우 중요한 교통로였다. 이 고개를 지나는 통일로가 의주로로 불렸던 것이 바로 의주로 향하는 도로였기 때문이다.

1동은 통일로를 기준으로 남서쪽에, 2동과 3동은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홍제역 북쪽이 3동, 남쪽이 2동)

전반적으로 재개발이 예정돼있는 단독주택 위주의 주거지이다. 유진상가 건너편에 인왕시장이 있으며, 서울여자간호대학이 동의 북쪽에 위치한다. 달동네로 유명한 개미마을도 이곳에 있다.

이곳 역시 홍은동처럼 이름을 따온 홍제초 대신 홍은초가 있다(...)

순풍 산부인과의 배경이다.

10 관련 항목

그밖에도 서대문구에 거주하거나 서대문구와 인연이 있는 위키니트 여러분들의 많은 추가바람.
  1. 7개 자치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성동구, 영등포구, 용산구, 종로구, 중구.
  2. 충정로역 근처인 충정로2·3가는 그대로 서대문구에 남았다.
  3. 현재의 마포구 연남동이다.
  4. 서대문구의 연희동 또한 성북동처럼 고소득층들이 많은 동네이다.
  5. 성북천과 홍제천, 아현고개-무악재와 미아리고개-아리랑고개 등
  6. 17대 총선에서는 갑 선거구에 출마 하였다.
  7. 예전에는 YMCA가 운영/관리하는 서대문문화체육회관이었으나, 2012년에 서울시설공단으로 운영/관리 주체가 변경되고, 이름도 오늘날과 같이 바뀌었다.
  8. 엄밀히 말하면 마포구에 있다. 신촌로타리를 기준으로 서대문구와 마포구가 갈린다. 신촌 인근에 대학교가 많이 있지만 서대문구와 마포구로 갈리기 때문에 정작 서울에서 대학교가 가장 많은 자치구가 되지 못했다.
  9. 상위권 대학교들이 밀집해 있는 것도 신촌의 발전을 도왔지만, 교통의 발달도 이에 큰 역할을 하였다. 신촌로터리는 과거부터 서울 서북부 교통의 요지였으며,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하면서 교통이 더욱 편리해졌다. 지금도 신촌역이 있는 신촌로터리와, 연세대학교 정문 앞의 성산로로 수많은 버스 노선들이 경유한다.
  10. 현대백화점 뒷 편에 있는 공원은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주변에 살던 어린이들의 놀이터이자 유치원들의 소풍 장소였는데, 어느 순간부터 가출 동성애자 청소년들의 서식지가 되어 현재 그곳에서 노는 어린이는 아무도 없다.
  11. 미국 북장로교에서 파견된 알렌 박사가 1885년에 설립하였다. (출처: 위키백과 한국어판 "광혜원" 항목) 1899년부터 "세브란스" 명칭이 해당 병원/의료교육기관에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 1955년에 연희전문학교와 통합하여, 연세대학교 의료원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역사가 오랜 세브란스병원 명칭이 널리 쓰이고 있다.
  12. 유학 도중 교통사고로 숨진 딸을 기리기 위하여 한 독지가가 건립기금을 기부해 설립한 도서관이다. 도서관의 이름이 바로 이 유학생의 이름을 딴 것이다.
  13. 어린 자녀들이 있는 가족들이 많이 찾는다. 언덕 꼭대기에 있는주제에 버스는 언덕 아래에 선다.
  14. 한때 유영철이 살인 후 사체를 유기한 장소로도 유명하였다.(…)
  15. 크고 아름다운 청량리역이 있으나 끄트머리에 있다.
  16. 장한평역이 있으나 또 끄트머리(...)에 있다.
  17. 서대문역종로구 관할이다. 다만, 일부 출구는 미근동에 있다.
  18. 서울 지하철 2호선 지하 신촌역마포구 관할이다.
  19. 1977년 북가좌동에서 분동(分洞)
  20.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북아현1, 2동
  21. 이 이름을 딴 5호선 애오개역이 역 터 남쪽에 있다.
  22. 2014년 2월 6일부터 차량통행이 금지됨, 2014년 11월 아현-충정로 구간 중앙차로 개통.
  23.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행정동 대신동과 창천동이 합병되어 신설된 행정동
  24.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연희1, 2, 3동
  25.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북아현3동과 충정로동. 이 때문에 새 행정동의 지명은 '충정로'와 '북아현'에서 한 글자씩 따 와서 만들어졌다.
  26.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기존의 북아현3동
  27.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홍은1, 2동
  28. 2008년 행정동 개편 이전의 홍은3동
  29. 2008년 행정동 개편으로 합병된 홍제1, 2동
  30. 2008년 행정동 개편 이전의 홍제3동
  31. 2008년 행정동 개편 이전의 홍제4동
  32. 홍은동은 옛 홍제외리, 홍제동은 옛 홍제내리이다
  33. 중국 사신이 한양성내로 들어오기 전에 이 곳에 머물러 옷을 갈아입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