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님달님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서 넘어옴)
  • 상위 항목 - 한국 신화(?), 전래동화
  • 표준어로는 해님달님이 맞는 말이며 여기서는 대중적으로 쓰여지는 '햇님달님'으로 항목명을 작성했다. 참고로 대한민국에 나온 동화책 제목들은 둘 다 혼용하고 있다.(주로 햇님달님이라고 써진 책이 많은 편)

1 개요

대한민국전래동화 중 하나로 넓게 보면 신화이기도 하며 혹은 "해와 달이 된 오누이"라고 부른다.

해님과 달님이 등장하는 한국전래동화. 원래는 한국의 해와 달의 기원 신화였던 것으로 추정되나 후에 격이 내려가 민담이 되었고 지금은 동화로 인식된다.

2 내용

옛날 옛적 깊은 산 속에 홀어머니와 오누이로 이루어진 가난한 가족이 살고 있었다. 어머니는 장터에 을 내다 파는 사람이었는데[1], 장터에 가려면 고개를 몇 고개 넘어가야 했다. 그러던 어느 늦은 밤 장터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어머니는 호랑이를 만나고, 호랑이가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순순히 떡을 내놓으면 유혈사태는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라고 하자 벌벌 떨며 떡을 하나 던져준다.

의외로 호랑이는 조용히 그 떡을 받아먹고 사라지는데 문제는 그게 끝이 아니었다. 고개를 하나하나 넘을 때마다 계속해서 아까 그 호랑이가 나타나 같은 대사 무한반복 우려먹기 드립을 치고, 하나 하나 계속 뺏어먹다가 급기야는 떡이 다 떨어지자 잡아먹는다.

바리에이션으로 떡이 다 떨어지자 팔 한짝, 다리 한짝씩 내주면서 몇 고개를 더 넘는 경우도 있다. 이 바리에이션의 경우 나중에는 몸통(혹은 머리)만 남아서 집을 향해 데굴데굴 굴러가는 전개도 존재한다. 어머니 : 난 원래 팔이 없었어! 동화가 아니라 호러참고(잔인주의)

이후 떡과 어머니를 다 먹고도 배가 덜 찬 그 망할호랑이가 이번엔 오누이도 낚아서 잡아 먹으려고 어머니의 옷을 입은 채로 그 집을 찾아가는데, 아직 어린 여동생은 기뻐하며 바로 문을 열려 하지만 오빠는 나이를 먹어서 머리가 좀 잘 돌아갔는지 엄마인 걸 증명해 보이라고 한다. 오누이가 호랑이에게 물어본 질문은 총 세가지로 '목소리가 왜 그러냐', '손은 왜 그러냐', '왜 이렇게 늦게 왔냐'이며, 이 중 왜 이렇게 늦었냐는 다른 질문으로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 참고로 우리는 여기서 이 호랑이야말로 보이스 피싱의 원조임을 알 수 있으리라. 사실 간단하게 속이는 방법이 있었다

또 여기서 바리에이션이 존재하는데 처음 왔을 때는 들키지 않고 집안으로 들어가는데 성공하나, 이후 밥을 해 주겠다며 부엌에 들어간 호랑이의 치마 뒷자락 밑에 꼬리가 길게 늘어진 것을 보아 들키는 버전도 있다. 들어가자마자 먹었으면 이런 일도 없었을 것을. 살 찌우고 먹을려고?

어쨌든 호랑이를 피해 오누이는 몰래 뒷문으로 빠져나와 나무 위로 올라가고[2][3], 이에 호랑이가 상냥하게 목소리를 변조해 "착한 초딩들아. 거긴 어떻게 올라갔니?"하고 묻자[4] 오빠가 "손발에 참기름을 바르고 올라왔지!"라고 거짓말을 친다. 당연히 참기름을 바르면 미끌미끌해져서 잘 올라갈 수 없으니 자꾸만 나무 줄기에서 우스꽝스럽게 미끄러져 구르는 호랑이를 보며 오누이는 무서움도 잊고 웃음을 터뜨린다. 그런데 신나게 웃던 여동생이 자기도 모르게 '도끼로 나무를 찍으며 올라오면 쉽게 올라올 수 있는데 말야.'라고 올라오는 방법을 발설해버린다. 버전에 따르면 호랑이가 "아무래도 이 방법이 아닌 것 같은데 말이야? 솔직히 말해주지 않을래?"라고 묻자 순진하기 짝이 없던 여동생이 "도끼로 찍고 올라오렴."이라고 다 가르쳐줬다는 것도 있다. 바보같이 죽는 방법

호랑이는 얼른 집에 뛰어들어가 도끼를 꺼내들고 와서 쿵쿵 찍으며 올라오기 시작했고, 오누이는 나무의 꼭대기까지 올라가지만 더 이상 올라갈 곳이 없어져 버린다. 이제 곧 있으면 호랑이가 발목을 덜컥 낚아챌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 되는데…

이에 오누이가 최후의 수단으로 눈물을 흘리며 "하느님 저희를 구해주시려면 금 동아줄을 내려 주시고 그렇지 않으면 썩은 동아줄을 내려주세요"라며 하늘을 향해 싹싹 빌자 실제로 금동아줄이 내려왔고데우스 엑스 마키나 오누이는 그 금동아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간다. 이를 본 호랑이도 같은 말을 하는데 내려온 동아줄은 썩은 동아줄이었고, 이를 모른채 그걸 잡고 하늘로 올라가던 호랑이는 도중에 동아줄이 끊어지면서 결국... 이 때 하늘에서 떨어진 호랑이의 피가 배어 수수밭의 수수가 붉게 변했다는 이야기가 있다.[5] 배리에이션으로는 호랑이가 멍청하게도 "하느님 저를 구해주시려면 썩은 동아줄을 내려 주시고 그렇지 않으면 금 동아줄을 내려주세요"라고 반대로 말해서 썩은 동아줄이 내려왔다고도 한다. 호랑이도 살려주는 박애주의자 하느님 사실 먹고 살려면 어쩔 수 있나

그리고 하늘로 올라간 오누이는 그대로 하늘의 해님과 달님이 되었으며, 동아줄을 내려주거나 오누이를 해님과 달님으로 만든 주체 또한 명확하게 드러나질 않는다.

참고로 처음엔 오빠가 해님, 여동생이 달님이었는데 밤을 무서워한 꼬꼬마 여동생이 징징거려서 오빠와 역할을 바꿔 결국 여동생이 해님, 오빠가 달님이 되었다. 그리고 그렇게 해님이 된 여동생은 이번엔 낮에 사람들이 자신의 얼굴을 자꾸 올려다보는 게 부끄러워서, 빛을 눈부시게 많이 뿜어 사람들이 자신을 똑바로 쳐다보지 못하게 했다고 한다. 태양빛이 눈부신 게 이런 이유라고. 그나저나 그렇다면 이전까지는 해도 달도 없는 무간지옥이었단 말인가[6]

또 다른 버전으로는 여동생이 계속 달을 맡았는데, 밤이 무서워 달을 관리하는 것을 제대로 못하다보니 달이 빛을 잃었다가 다시 빛을 찾는 과정을 반복해서 초승달에서 보름달, 그믐달로 반복하게 되었다고도 한다.

3 이모저모

구전되는 전래동화를 엮은 것인 만큼 이야기 책마다 조금씩 내용이 다르다. 바리에이션 중에는 3자매가 나와 해/달/별이 되는 내용도 있다.애초에 해도 별인데? 엄마가 구름이 되는 바리에이션도 존재. 갓난아기 동생이 있었는데 그 동생은 호랑이에게 잡혀먹히는 내용도 존재한다. 그외에도 호랑이가 엄마를 덮치는 바리에이션도.

그리고 어째서인지 오누이가 돌아오지 않는 엄마를 걱정하거나 슬퍼하는 장면은 전혀 나오지 않는다.하늘나라 가서 만났겠지 여튼 쭉 보면 알겠지만 결론은 동생이 엄청 민폐 나이가 어려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보다보면 알겠지만 호랑이도 참 근성 가이다. 떡이란 떡은 다 먹고 오누이의 어머니까지 잡아 먹었으면서 오누이마저 잡아 먹으려 애를 쓰는 호랑이를 보면 참...근성 가이는 무슨 그냥 탐욕의 제왕이지 호랑아 : 나는 아직 배가 고프다

오누이가 오빠와 여동생인 버전도 있지만, 누나와 남동생인 버전도 있다. 다만 오빠와 여동생 쪽이 좀더 메이저인 듯. 어느 쪽이건간에 동생이 민폐고 손위 아이가 그나마 좀더 머리를 쓰는 것, 남자아이는 달이 되고 여자아이가 해가 되는 것은 다름없다.

그래서인지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해님은 여자아이 이름이고, 달님은 남자아이 이름이다.[7] 참고로 실마릴리온텔페리온라우렐린도, 해가 여자고, 달이 남자다.

친한 사람들끼리 뭔가를 요구할 때 장난스럽게 써먹는 말인 OO주면 안 잡아먹지~!라는 말투가 여기서 유래되었다.

그런데 해외에선 이 이야기가 동남아 어느 나라 이야기라고 전해진 듯한데 사실 나라별로 동화의 모티프가 비슷한 경우는 꽤 많다. 콩쥐팥쥐를 예로 들면 베트남에도 비슷한 구도의 전래동화가 있다. 이 경우도 그런 경우일 듯. 국내에서도 나온 천지창조 : 세상이 열리던 순간의 비밀(인챈티드 월드)에 나오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에는 국적이 그렇게 나와 있다.

어떤 의미로는 '호랑이 안습전설'을 장식한 수많은 호랑이 중 그나마 선전했던 사례. 비교적 지능범적인 면모를 어필했지만, 손에 참기름 바르고 나무를 타는 시점에서 역시 호랑이 아이큐는 어쩔 수 없음을 입증했다.그리고 결국은 안습

한때는 성층권의 산소부족과 중간권의 -130도의 저온, 열권의 2000도를 견뎌내며 올라간 두 오누이의 패기(...)를 높이 사는 하이개그가 돌기도 했다.

무한도전 한정으로 유재석, 정형돈 조합의 캐릭터를 지칭하는 별칭이기도 한다. 정형돈이 형님을 경상도 억양으로 행님~ 하던걸 햇님달님으로 확장된 것.[8] 희한하게도 무한도전에서 두 출연자의 캐릭터가 대개 머리가 좋은 축인데, 두 명이 만나면 덤앤더머 바보 디버프가 발동한다(...).[9]

4 관련 항목

  1. 근처 부잣집에서 디딜방아 품팔이를 하고 왔다는 바리에이션도 있으며 이 경우 떡은 일을 한 대가로 얻어온 것
  2. 여기에도 바리에이션이 있어서 어떤 구전에서는 오누이가 똥이 마렵다며 뒷간을 가다 도망쳤다는 구전이 있다. 이 구전에서 호랑이와 오빠의 질답이 압권인데, 호랑이가 "방 구석에서 싸거라" 하니까 오빠가 "에이, 냄새가 나서 못써요", 그러면 "마루 위에다 싸거라" 하니 "에이, 나가다 밟으면 못써요", 그러면 "마당에다 싸라"고 하니 "마당에 싸면 온갖 똥개들이 몰려올 것이다(...)"고... 그러해서 뒷간으로 오누이가 도망쳤다
  3. 참고로 말하자면 원래 호랑이는 나무를 아주 잘 탄다(...).
  4. 바리에이션에 따라서는 일단 오누이가 나무 위로 올라가고 물 뜨러 나왔던 호랑이가 우물 안에 비친 오누이를 보고 아이들이 우물 안에 들어간 줄 알고 "거긴 어떻게 들어갔니?"라고 말한다. 그래서 아이들은 나무 위에서 웃고(또는 여동생이 나무에 있다는 걸 알려주고) 올려다본 호랑이는 "착한 아이들아, 거긴 어떻게 올라갔니?"
  5. 판본에 따라 메밀인 경우도 있다.
  6. 다만 그리스 신화에서도 해·달의 신 헬리오스·셀레네와 낮·밤의 신 헤메라·뉙스가 구별되어 있고, 북유럽 신화에서도 해의 신, 달의 신과 낮·밤을 불러오는 말 신팍시, 림팍시가 따로 있는 것을 보면 당시 사람들은 해·달과 낮·밤은 따로 있는 거라고 생각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확실히 달과 밤은 따로이긴 하다
  7. 물론 주로 태명이나 아명으로 쓰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이런 이름을 찾아보기 힘들다.
  8. 유재석도 정형돈만큼 자주는 아니지만 가끔 정형돈을 달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9. 유재석 정형돈 둘 다 머리는 좋으면서 귀가 얇고 우유부단한 캐릭터들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둘이 만나면 팔랑귀와 우유부단함이 극도의 시너지를 만들면서 바보 디버프가 발동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