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유릉

1 개요

洪裕陵. 홍릉(洪陵)과 유릉(裕陵)을 합쳐서 부르는 명칭으로 각 왕릉은 아래 목록 참조. 이 외에도 영친왕·이방자의 묘인 영원(英園)과 이구의 묘인 회인원(懷仁園)을 포함한 2기의 원(園) 및 의친왕·의친왕비가 합장된 의친왕묘와 덕혜옹주묘를 포함한 왕자녀의 묘 2기, 그리고 고종의 후궁인 광화당 귀인 이씨묘, 삼축당 김씨묘, 귀인 장씨묘, 의친왕의 후실인 수관당 정씨묘, 수인당 김씨묘를 포함한 후궁의 묘 5기가 있어 대한제국 황실의 가족 묘역과 같은 역할을 한다.

사실상 조선왕조 왕릉 중 마지막으로 조성된 왕릉이자 유일하게 황릉(皇陵)으로도 불리는 곳인데 바로 고종과 순종 두 대한제국의 황제가 안장되었기 때문이었다. 조선왕조 왕릉 중 마지막으로 조성된 왕릉이었기 때문에 다른 왕릉에 비해서 역사가 짧은 편이기도 하다. 공교롭게도 홍유릉 근처에 광해군묘가 있는데 이쪽은 왕릉으로 지정되지 못한 임금의 무덤이기도 하다. 또 남양주에 고종의 부친 흥선대원군 묘소가 화도읍에 있는데 원래 서울 공덕동에 있던 것을 남양주로 이장하였다. 실제로 고종이 흥선대원군 장례식에도 불참하였을 정도였는데 을미사변 이후 관계가 소원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2 홍릉

16158010541433061921.jpg
조선의 26대 임금이자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조선)명성황후의 합장릉.

명성황후 사망시엔 청량리에 안장했으나 고종 사후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이전하여 같이 안장했다. 유릉과 더불어 석물과 침전 등을 황제릉의 형식으로 구성[1]했는데, 명나라 홍무제가 매장된 효릉(孝陵)의 묘제를 참고했다.

3 유릉

파일:Attachment/유릉.jpg
대한제국 2대 황제인 순종순명효황후 민씨,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 고종(조선)홍릉옆에 있다. 홍릉과 더불어 홍유릉으로 많이 불리는 편이며 드물게 한 봉분에 세 분을 같이 모신 것이 특징[2]

홍릉과 마찬가지로 순명효황후 민씨 사망시엔 양주 용마산(현 서울 광진구 능동 일대)에 안장했으나 순종 사후 남양주시 금곡동 홍릉 근처로 이전하여 함께 안장했으며, 순정효황후 윤씨가 1966년 사망하자 3명의 부부가 함께 안장됐다.

4 홍릉과 유릉 명칭 비화

왕실의 예법에 따르면 왕비만 승하시 별도의 능호를 사용하며, 국왕 승하 후 왕비와 함께 합장 시에는 새로이 올린 국왕의 능호를 따르게끔 되어있었다. 가령 선조와 원비 의인왕후 및 계비 인목왕후의 경우 1600년 승하한 의인왕후에게 유릉(裕陵), 1608년 승하한 선조에게 목릉(穆陵), 1632년 승하한 인목왕후에게 혜릉(惠陵)이라 능호를 올렸지만 최종적으로는 선조의 능호인 목릉을 따랐다.

그러나 1919년 고종이 승하할 당시에는 대한제국이 멸망한 상태였으며, 더군다나 일제는 '왕·공족의 분영은 묘로 한다'는 왕공가궤범 200조의 규정을 만들어서 대한제국 황족의 새로운 능(陵) 또는 원(園)이 만들어지지 못하도록 막아두고 있었다. 따라서 기존 방식을 따른다면 고종의 무덤은 일반 백성과 같은 묘가 되는 상황이 벌어지게 되었는데...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하기 이전에 조성된 능을 옮겨서 합장하는 방식을 취하면 이를 피할 수가 있었다. 일종의 꼼수 다만 원래 예법과는 어긋나더라도 일단은 규정(왕공가궤범 200조)상 전혀 문제가 되지 않고, 특히 이왕가(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하면서 황실이 이왕가로 격하)의 내부적인 방침에 일제가 대놓고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고종과 순종의 능이 무사히(?) 조성될 수 있었다.

따라서 1897년 청량리에 조성된 명성황후의 홍릉을 남양주 금곡으로 이전하면서 동시에 고종과 합장하는 형태로 지금의 홍릉이 완성됐다. 마찬가지로 1926년 승하한 순종 또한 1905년 용마산에 조성된 순명효황후의 유릉을 남양주 금곡 홍릉 옆으로 이전하면서 동시에 합장하는 형태로 지금의 유릉이 됐다.

여담으로 이장된 후 비어진 홍릉 자리에는 고종의 후궁인 순헌귀비 엄씨(영친왕의 생모)의 무덤인 영휘원(永徽園)과 그녀의 손자이자 영친왕의 장남인 이진의 무덤인 숭인원(崇仁園)이 조성됐으며 현재도 '구 홍릉' 지역으로 흔히 홍릉이란 명칭으로 불리우고 있다.

5 교통편

버스[4] : 1-4, 23, 30, 65[5], 330-1(좌석버스), 1330-2, 1330-3, 1330-44, 1330-5(직행좌석버스)

  • 경춘선의 배차간격이 상당히 길고 서울 동북부 지역 외에서 상봉역까지 접근하기 어려우니 가급적 중앙선을 이용하기 바람.
  • 기타 버스노선 : 168(시내버스)[6], 61, 88-1, 99(마을버스)[7][8], 1000, 1100, 1200(직행좌석버스)[9]
  1. 기존의 제후국 방식으로는 참도 양옆으로 석물을 배치할 수 없었으며, 제사를 지내는 전각 또한 정자각의 형태로 조성됐다. 그러나 홍릉부터는 황제국의 형식을 따라 참도 양옆으로 문무인 석상과 기린, 사자 등의 동물을 조각한 석상을 배치했으며, 전각 또한 침전의 형태로 조성됐다.
  2. 이러한 방식을 동봉삼실이라 하며 조선의 왕릉 가운데 유일한 형식이다.
  3. 참고로 이 역은 사릉과도 연계된다. 사릉역보다 가까우며 사릉역에는 직접 사릉으로 연계되는 버스노선이 없기 때문. 광해군묘도 가는 방법은 동일하며 연계 노선은 64번 마을버스.
  4. 시내버스중 65를 뺀 나머지는 금곡동 주민센터 하차(마을버스 포함), 65 포함 상급노선들은 홍유릉앞 정류장 하차. 능으로 가는 입구는 금곡동 주민센터 옆에 있다.
  5. 마석 방향 한정. 청량리 방향은 금곡동 구 종점 및 양병원 경유로 거리가 있다.
  6. 덕소역, 양정역 연계
  7. 덕소역 연계
  8. 마을버스의 경우 번호는 틀리나 경유지 대부분이 동일하다.
  9. 잠실역 연계. 1100번은 잠실역 경유 강남역, 신사역까지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