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

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중국 한자음에 존재하는 두 가지 계열의 치음(齒音, sibilants), 즉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을 구분하기 위해 만든 한글 자모.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등장하지 않으나, 훈민정음 언해본(1459년), 사성통고(1447)의 서문[1], 사성통해(1517), 번역노걸대 및 번역박통사(16세기 초)[2], 그리고 이 두 책의 형식을 따른 노걸대언해 및 박통사언해(17세기)에서 그 존재가 확인된다. 물론 한국어에는 치두음과 정치음의 구분이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이 중국음 표기가 주 목적이었던 일부 문헌을 제외하고는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

1 문자

치음에 해당하는 다섯 글자(ㅅ, ㅆ, ㅈ, ㅉ, ㅊ)의 좌우를 늘여서 표시한다. 왼쪽을 늘인 ᄼ, ᄽ, ᅎ, ᅏ, ᅔ는 치두음을 나타내고, 오른쪽을 늘인 ᄾ, ᄿ, ᅐ, ᅑ, ᅕ는 정치음을 나타낸다.

2 실제 사용

훈민정음 언해의 설명에서 치두음은 '혀가 윗니 끝에 닿는다'라고 되어 있어 혀끝을 앞니 뒤에 바싹 붙이고 마찰시키는, 현대 음성학의 치경음 계열로 생각된다.

정치음은 '혀가 아랫잇몸에 닿는다'라고 되어 있다. 혀끝이 아랫잇몸에 닿게끔 혀를 굽히면 혓몸이 경구개, 즉 여린입천장에 닿으므로 현대 음성학의 치경구개음 혹은 권설음 계열로 생각된다.

치두음과 정치음 자모를 중국 중고음 체계인 36자모 중 일부에 대당시키면 아래와 같다.

오음[3]전청차청전탁[* 이 열에서의 각자 병서(같은 자음을 옆으로 나란히 쓴 자모)는 한국어의 된소리가 아니라 중국 중고음의 유성무기음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야 한다.]차탁
치음
齒音
치두음
齒頭音
精(정)
/ts/
淸(청)
/tsʰ/
從(종)
/dz/
心(심)
/s/
邪(사)
/z/
정치음
正齒音
照(조)
/tɕ/
穿(천)
/tɕʰ/
牀(상)
/dʑ/
審(심)
/ɕ/
禪(선)
/ʑ/
설음
舌音[4]
설상음
舌上音[5]
知(지)
/ʈ/
徹(철)
/ʈʰ/
澄(징)
/ɖ/
娘(낭)
/ɳ/
[6]
  1. 본문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2. 이 두 책과 사성통해는 훈몽자회로 유명한 최세진이 지은 것이다.
  3. 아·설·순·치·후음(牙·舌·脣·齒·喉音)을 이른다. 설음은 설두음(舌頭音)과 설상음(舌上音), 순음은 중순음(重脣音)과 경순음(輕脣音), 치음은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으로 세분하였다.
  4. 설음은 설두음(舌頭音)과 설상음(舌上音)으로 나뉘는데, 설두음은 [t, tʰ, d, n]였다.
  5. 사실 설두음과 설상음은 설음에 속하므로, 이를 구별해서 쓸 때는 (치음자의 변형으로 치두음과 정치음을 구별했듯이) 설음자인 ㄴ 계열 자모의 변형을 써야 더 합당하겠으나, 훈민정음 창제시에는 대체로 설두음만을 설음으로 처리하고 설상음은 치음 중 정치음에 준하여 해석한 듯하다.
  6. 이 경우엔 오히려 설음자인 ㄴ을 썼다. 생각해 보면 당연한 것이, 훈민정음의 만들어질 때 중국어의 음운체계는 이미 근고한어로 넘어간 지 오래라, 설상음 知모, 徹모, 澄모는 치음으로, 娘모는 설음 泥모로 합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