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경구개음

齒莖口蓋音 / Alveolo-palatal consonant

자음의 분류
조음 방법비음파열음파찰음마찰음마찰접근음접근음
탄음전동음설측음내파음흡착음방출음
조음 위치양순음순치음설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
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후두개음성문음
성대 울림유성음무성음
기식 유무유기음무기음

1 개요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잇몸센입천장소리, 치경경구개음, 치조경구개음, 전경구개음이라고도 부르며, 혀끝을 잇몸에 대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내는 소리다.

치경음의 변이음으로 분류된다. 조음 위치상 치경음전설 고모음([i], [y]와 이에 대응하는 반모음 [j], [ɥ])은 궁합이 맞지 않아, 이것을 피하는 두 방법이 생겼는데 하나는 전설 고모음을 쓰지 않는 방법[1]이고, 또 하나는 전설 고모음에 최적화된 음가를 만드는 것이다. 치경구개음은 후자를 따른 음가다.

아무래도 서양 언어에는 잘 없기 때문에 그나마 기호가 있는 건 슬라브어에 흔해서인 듯 하다 공식적으로 지정된 건 파찰음([t͡ɕ],[d͡ʑ])과 마찰음([ɕ],[ʑ]) 뿐. 이외의 음의 경우 밑에서 쓰는 기호를 쓰지 않고 [d̠ʲ], [t̠ʲ], [n̠ʲ], [l̠ʲ]로 쓰기도 한다.그래도 후치경음, 인두음보다는 낫다 한국어에는 치경음에 해당하는 음소(ㄴ, ㄷ, ㄸ, ㄹ, ㅅ, ㅆ, ㅌ)[2]가 많기 때문에아니 사실 어느 언어에든 많지만, 음소들이 [i], [y], [j], [ɥ]랑 만나면 전부 치경구개음이 되며, 또한 치경구개음은 전부 한국어의 음운으로 설명할 수 있다.[3]

후치경음과 치경구개음은 조음 위치가 상당히 유사한데, 후치경음에서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치면 치경구개음이 된다. 한국어는 치경구개음과 후치경음을 구별하지 않고, 후치경음으로 발음하는 사람도 많다. 처음에는 서로의 음가를 익힐 때 자기 언어가 가지고 있는 음가로 발음하곤 한다. 예를 들어 영어 입문자가 ch 등을 ㅊ로 발음하거나, 한국어 입문자가 ㅊ을 ch로 발음한다. 왜냐하면 사실상 ㅊ과 ch는 같은 소리라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2 조음 방법

2.1 치경구개 비음

IPA 기호는 [ȵ].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코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i], [y], [j], [ɥ] 앞의 이 이 소리가 난다.[4] 다만 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경구개 비음(/ɲ/) 등으로 대체해서 쓰고 있다. 또는 경구개 비음 기호 아래쪽에 +[5]를 붙이는 경우(/ɲ̟/)도 있다. 비음이 많은 기식을 필요로 해서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폴란드어 ń도 이 소리가 난다고 한다.

발음 방법 : '냐','냬','녀','녜','뇨','뉴','니'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2.2 치경구개 파열음

IPA 기호는 [ȶ](무성음), [ȡ](유성음).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붙였다가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면서 떼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i], [y], [j], [ɥ] 앞의 , ㄸ, 이 이 소리가 나는 걸로 알려져 있지만 지금은 나이 지긋한 어르신이 사용하거나다만 치경구개 파찰음으로 표기하는 게 대부분 대화할 때 무의식적으로 가끔 튀어나오는 정도.[6]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데다, 대체할 수 있는 기호도 없다. 또한, 소리도 그리 안정적이지 못한 음가여서, 세월이 지나면서 아래의 치경구개 파찰음으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7] 마찬가지로 일본어의 ち도 옛날에는 [ti]였으나 파찰음으로 변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래서 [ti]를 표기하려면 ティ와 같은 표기를 쓴다. 그나마 현재 한국어에서 이 음가가 남아 있는 예를 든다면 티, 티끌, 반디, 어디, 대티역 등.

러시아어에서는 [i], [j] 앞에 오는 д(/d/), т(/t/)가 이렇게 소리난다. 전자는 마치 ㄷ과 ㅈ의 중간발음처럼, 후자는 ㅌ과 ㅊ의 중간발음처럼 들린다. 블라미르 푸(Влади́мир Пу́тин)이 '블라미르 뿌에 가깝게 들리는 것이다.

발음 방법 : [ȶ]는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고 발음한 '탸','턔','텨','톄','툐','튜','티'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ȡ]는 '댜','댸','뎌','뎨','됴','듀','디'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2.3 치경구개 파찰음

IPA 기호는 [t͡ɕ](무성음), [d͡ʑ](유성음).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붙였다가 살짝 떼면서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 , 이 이 소리가 난다. 단 북한 문화어와 일부 외국물 먹은 한국어 화자들의 발음에서는 치경음으로 발음한다. 물론 치경음으로 발음해도 된다. 이해하는데는 아무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ć, đ나 일본어의 ち와 じ( じ는 [d͡ʑi] 또는 [ʑi]로 발음된다. 원래는 ぢ의 음가가 [di]였던 게 [ȡi]를 거쳐 [d͡ʑi]로 변했고 그 때까지만 해도 じ([ʑi])와 확실히 구분되는 소리였으나 세월이 지나 두 음가 사이의 변별력이 사라지면서 현재는 몇몇 방언을 제외하고는 じ와 ぢ 모두 [d͡ʑi]로도 발음되고 [ʑi]로도 발음된다. (요츠가나 항목 참고.) 중국어의 q와 j, 폴란드어의 ć와 dź, 러시아어의 ч도 이 발음이 난다.

발음 방법 : 자, 차, 짜의 자음을 발음한다.

2.4 치경구개 마찰음

IPA 기호는 [ɕ](무성음), [ʑ](유성음).
혀끝을 잇몸에 살짝 대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살짝 걸친 상태에서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 각각 [i], [y], [j], [ɥ] 앞의 , 에 대응했으나 세월은 어리석게도ㅿ를 버로우 태웠다. 일본어의 し, 중국어 x, 러시아어 Щ[8], 폴란드어의 ś와 ź, 스웨덴어의 k[9]와 tj도 여기 속한다.

한때 ㅅ이 치경구개 마찰음으로 발음이 되던 시절이 있었다.([ɕʰ]) 쉽게 설명하자면 '사'와 '선', '순'이란 글자가 그 시절엔 '샤', '션', '슌'으로 발음이 되었다는 얘기가 되겠다. 그것 때문에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35항에 ㅅ ㅈ ㅊ을 첫소리로 삼는 ㅑ ㅕ ㅛ ㅠ를 ㅏ ㅓ ㅗ ㅜ로 적는다.는 내용이 담겨져 있는데, 20세기 중후반에 오면서 사와 샤의 변별이 생기자[10] 상당수의 현대 한국 한자음이 본래의 음가를 잃어버리는 비극(…)이 생겼다. 현재도 일부 사투리 혹은 개인차에 따라 이렇게 소리나는 경우가 있다. 식샤라던가

발음 방법 : [ɕ]는 샤, 셔 처럼 발음하면 된다. [ʑ]는 여기서 성대를 떨어준다.

어쩌면 현대에 살아남은 라는 잘못된 표기도 ㅅ이 [ɕ]으로 발음됐을 때의 잔재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ɕwe]라고 발음하면 [swe]로 발음할 때보다 원음에 가깝다. ㅅ이 언제 [ɕ]에서 [s]로 돌아왔는지 명확히 아는 사람이 수정바람.

2.5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

IPA 기호는 [ȴ].
혀끝을 잇몸에 대고, 혀 옆구리와 어금니 사이를 살짝 좁히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 [i], [y][11] , [j], [ɥ] 앞의 ㄹㄹ이 이 음가.[12] 다만 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설측 경구개 접근음(/ʎ/) 등으로 대체해서 쓰고 있다.[13] 접근음 역시 많은 기식을 필요로 해서 대응되는 무성음이 없다.

발음 방법 : '을랴'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14]

3 관련 항목

  1. 그래서 서양 언어에서는 음가가 비슷한 [ɪ], [ʏ] 등을 많이 쓴다. 전설 고모음보다 혀가 약간 낮고 뒤로 빠지기 때문에 와 비슷하게 들리기도 한다.
  2. 중세 국어 및 문화어(북한어) 한정으로는 ㅈ, ㅉ, ㅊ도 포함.
  3. 다만 일부 자음의 경우엔 20세기에 영어에서 유래된 외래어의 대량 유입으로 음운의 변화가 작게나마 일어났기 때문에 꼭 그렇다고 볼 수는 없게 되었다. 자세한 건 후술.
  4. 언니, 오뉴월, 뉘다, 나뉘어 등. 혀 모습을 의식하면서 발음해 보면 조음방식도 비슷하고 듣기에 비슷해서 의식할 수 없다.
  5. 조음 위치를 앞으로 옮기라는 기호이다.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
  6. 지금은 대다수의 화자나 인터넷 국어사전 발음이나 이 발음을 치경파열음으로 발음한다.
  7. 굳이, 같이 등. 天地도 옛날에는 '텬디'였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天地를 그대로 /텬디/로 발음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세월이 지나면서 발음이 /천지/로 바뀌었고 1930년대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천지/로 발음되는 '텬디'의 표기를 아예 '천지'로 고치고 '텬디'를 폐기했다.
  8. 단 장음이다. /ɕː/로 표기.
  9. e, i, y, ä, ö 앞에 위치할 때
  10. 다만 1930년대 당시 ㅅ의 음가는 이미 [sʰ]로 돌아온 상태였다. 구개음화 항목의 각주도 참고. 이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1939년)이 '사'와 '샤', '서'와 '셔' 등을 모두 sa, sŏ 등으로 적는 데서 알 수 있다.
  11. 이 두 발음의 경우 현대에는 설측 치경 접근음(/l/)으로 발음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12. 예를 들어서 빨리 , 올려 등 어째 두 단어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빨리 올려!
  13. 하지만 경구개음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 발음으로 대체하기에는 대단히 미묘하게 다른 발음이다. 귀로 들어봤을 때의 본 발음과 설측 경구개 접근음의 차이는 받침 ㄹ 발음의 유무 정도. 이 기호로 대체하고자 한다면 진짜 설측 경구개 접근음과 구분하기 위해 밑에 전설음화 기호를 붙여서 쓰는(/ʎ̟/) 경우도 있다.
  14. '을리'가 아닌 이유는 '리'의 ㄹ 부분을 치경 탄음(/ɾ/)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