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착음

吸着音 / Click consonant

자음의 분류
조음 방법비음파열음파찰음마찰음마찰접근음접근음
탄음전동음설측음내파음흡착음방출음
조음 위치양순음순치음설순음치음치경음후치경음권설음
치경구개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인두음후두개음성문음
성대 울림유성음무성음
기식 유무유기음무기음

다른 자음들이 입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는 원리로 소리를 내는 것에 비해, 흡착음은 반대로 공기를 빨아들여서 소리를 낸다. 조음 시 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외기류로 분류되며, 조음 특성상 무성음이다. 그런데 IPA 표를 보면 유성음도 있던데? 어떻게 발음하는 거냐 또한 폐를 쓰지 않기 때문에 소리를 크게 낼 수 없다.

치경 흡착음의 경우 우리가 어릴 때 시계소리를 흉내냈던 것처럼 혀를 차면서 똑딱똑딱 소리를 내면 된다. 치 흡착음의 경우 흔히 혀를 찬다고 말하는 쯧쯧하는 소리.

대표적으로 흡착음이 나타나는 언어는 남아프리카의 코이산 제어에 속하는 언어들이 있으며, 이들 언어의 사용자 중에 대표적으로 부시맨으로 유명한 !kung족이 있다. 한글로 옮기면 똑쿵에 가까운데, 당연히 한글 그대로 똑쿵이라고 읽으면(...) 못 알아듣는다. 똑 대신에 혀를 한 번 차야 한다. 참고로 코이산 제어의 경우 코이산어의 경우 단일 어족이 아니라 아프리카에서 쓰이는 언어 중 흡착음이 있는 언어 중 다른 어족에 속하지 않는 언어들을 싸잡아 부르는 말로, 코이(Khoe) 어족과 투(Tuu) 어족, 크하(Kx'a) 어족 등의 여러 어족과 고립어인 하자(Hadza)어, 산다웨(Sandawe)어 등을 포함한다. 그 외에 케냐에서 쓰이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다할로(Dahalo)어에서도 흡착음이 나타난다. 남아프리카의 반투어 중에서도 흡착음이 나타나는 언어들이 있으며, 그 중 줄루어, 코사어, 소토어 등은 화자수가 500만을 넘기는 꽤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흡착음을 표기할 때는 코이산어에서는 현재 IPA에서 사용하는 !, ʘ 같은 기호를 사용하며, 살면서 만날 확률은 거의 없겠지만 실제로 !가 이름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명찰에 '!obile'라고 써 있어서 오빌레라고 읽었는데, 실제로는 똑오빌레[1]라고 읽어야 된단다. 코사어나 줄루어 등에서는 'c', 'q', 'x' 등의 글자를 사용해 흡착음을 나타낸다.

아프리카의 흡착음.mov 코이어족의 대표적인 언어인 코이코이어(Khoekhoegowab)이라는 언어로[2], 네 종류의 흡착음이 존재한다. 참고로 가장 좋아요가 많은 댓글이 I think they r fucking with us(쟤네 우리 갖고 노는 건가)이다.(...) 쉴새없이 쯪똑쯪 거리니 흡착음을 음소로 가지고 있지 않은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이 보면 쟤네 뭐하나 싶지만, 저 사람들한테는 저게 엄연한 언어의 일부이다. 무슨 말 하는 지는 전혀 모르겠지만 참으로 즐거워 보이는 대화다.

아프리카 밖에 있는 언어 중 흡착음이 있는 언어는 다민(Damin)어가 유일하다. 다민어의 경우 실생활에서 쓰는 언어가 아니라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사는 원주민인 라르딜(Lardil)족이 종교적인 의식에서만 쓰는 언어이다.

특히 인류학 쪽에서 중요 취급하는 발음이다. 왜냐면 이 발음의 주요한 사용자가 바로 부시맨이기 때문. 이들은 인류의 처음으로 기원한 장소에 남아 생활하며, 아직까지도 최초의 인류의 생활 패턴을 일부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흡착음 역시 인류 최초의 언어적 습관이 남아 있는 것이 아닌가 추정되는 중.

왜 이 괴상한 발음이 왜 생겨났는지, 왜 다른 곳에선 사용하지 않는지에 대해선 여러가지 이론이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사냥때문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짐승을 추적해서 사냥할 땐 짐승에게 들키지 않아야 하고, 이를 위해선 사냥꾼끼리 대화를 가급적 자제해야만 한다. 그런데 이 흡착음은 일반적인 발음과는 달리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바로 옆의 동료에겐 잘 들리지만 거리가 떨어져 있는 짐승들은 듣지 못하게 된다는 것. 어쨌거나 아직까지 완전히 입증된 이론은 아니다.

현재 나무위키에는 자음에 대한 문서들이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들로 연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1. '시곗소리를 혀 차는 걸로 흉내낸 것 중 '똑'으로 소리를 내면 된다.
  2. '나마어'라고도 하며, 나미비아에서는 두 번째로 많이 쓰이는 언어이다.
  3. 연구개 흡착음은 조음이 불가능하다는 사실이 1970년에 밝혀졌다. 따라서 연구개 흡착음을 나타냈던 '뒤집어진 k'는 IPA 공식 기호에서 제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