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蓋垂音 / Uvular consonant
자음의 분류 | ||||||||||||||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마찰접근음 | 접근음 | ||||||||
탄음 | 전동음 | 설측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성대 울림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유무 | 유기음 | 무기음 |
목차
1 개요
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목젖소리라고도 부르며, 혓바닥을 목젖과 접촉하여 내는 소리. 이 분류에 속하는 음가를 쓰는 국가에서는 이것을 가글하면서 소리내는 것으로 배운다. 일명 헛가글 소리.
코골이 제거 수술 등으로 목젖을 잘라낸 사람에게 넘사벽 취급. 사족으로, 여기 이후부터는 유성 마찰음과 접근음의 벽이 허물어져 하나의 음가로 취급되어, 편의상 마찰접근음이라는 용어를 쓴다.
참고로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IPA에 R을 사용하는 발음(마찰접근음, 전동음)을 같은 발음인데도 언어마다 ㄹ, ㅎ으로 다르게 적어놓아 해당 언어의 발음을 배우는 사람들을 혼란에 빠트리는 것으로 매우 악명높다.(...) 원음에 가깝게 적으려면 ㅎ을, R의 표기를 일관성 있게 하려면 모두 ㄹ로 표기를 해야 한다는[1] 의견이 대립하고 있는 상황.
2 조음 방법
2.1 구개수 비음
- /ɴ/으로 표기.
- 한국어에는 대응되는 표기가 없어 연구개 비음으로 대체된다. 일본어에서 어말이나 양순음, 치경음, 연구개음 계열의 비음, 파열음, 탄음 앞을 제외한 상황에서 ん(ン)이 이 음가를 낸다. 양순음(/m/,/p/,/b/) 앞에서는 /m/, 치경음(/n/,/t/,/d/,/ɾ/) 앞에서는 /n/, 연구개음(/ŋ/,/k/,/ɡ/)앞에서는 /ŋ/의 음가를 갖는다. 이누이트어에서 r이 m, n, ng 앞에서 이 음가를 갖기도 한다. 음성학 지식이 없는 강사가 이 음가를 ㄴ과 ㅇ의 중간발음 등으로 가르치는데, 실제로는 ㄴ과 ㅇ 모두 목젖보다 앞쪽에서 조음되는 것이므로 전혀 맞지 않다. 기껏해야 전혀 관계없는 /ȵ/이 나올 뿐이다. ㄴ과 ㅇ의 중간발음을 취하려고 하면 조음 위치가 오히려 목젖에서 더 멀어진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목젖과 접촉한 상태에서 기류를 코와 입으로 동시에 내보내면 된다.
조음 방법이 담긴(?) 영상이다. 혀 놀림보소
2.2 구개수 파열음
- /q/(무성음), /ɢ/(유성음)로 표기.
- 아랍어의 Q, gh, 페르시아어의 Gh, 몽골어의 G, 카자흐어의 қ 등이 이 음가를 갖는다. 이누이트어의 q와 r도 여기 해당한다.
- 이 음가가 들어가는 단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쿠란.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목젖과 접촉한 상태에서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류를 내보내면 된다.
2.3 무성 구개수 마찰음
- /χ/로 표기.
- 무성음만 있다. 유성음은 접근음과 양다리를 걸쳐서 따로 분류하였다. 몽골어 Kh가 여기 해당.
- 종종 /x/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는데, 프랑스어의 R[2], 스페인어의 J와 G[3], 독일어에서는 i, e 뒤를 제외한 Ch가 해당된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목젖과 접촉한 상태에서 살살 흘리는 느낌으로 기류를 내보내면 된다. 무성음이므로 성대가 떨지 않아야 한다.
2.4 유성 구개수 마찰접근음
- /ʁ/로 표기.
- 원래는 유성 구개수 마찰음이었지만, 위치상 성대가 떨리고 있는 상태에서 마찰음을 내기 곤란하므로 접근음의 범주에도 들어가, 사실상 정체성을 잃어버린 발음. 덴마크어, 프랑스어(특히 북부), 포르투갈어, 히브리어, 이누이트어, 그린란드어 등의 R이 이 음가를 지니며, 노르웨이어나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등의 일부 방언에서도 나타나는 발음이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목젖과 접촉할까 말까 하는 상태에서 기류를 내보내면 된다. 유성음이므로 성대가 떨어야 한다.
유럽 내에서의 이 소리의 분포. 포르투갈어에서도 이 소리가 등장하나 이 지도엔 표시되지 않았다.
영국식 영어에서도 20세기 초까지는 잉글랜드 북동부 노섬벌랜드(Northumberland)와 더럼(Durham) 사투리에서 R을 이렇게 발음했지만 현재는 사라졌다.
2.5 구개수 탄음
아직 표기하는 기호가 없어 유성 구개수 파열음 기호에 반달표[4]를 붙인다. 굳이 표기하자면 Ğ. Supyire라는 언어에서 확인이 되었다고 한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목젖과 매우 짧게 접촉한 상태에서 기류를 내보내면 된다.
2.6 구개수 전동음
- /ʀ/로 표기.
- 독일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유럽), 스웨덴어(스코네 방언)의 R이 이 음가를 내며, 히브리어에서도 보인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목젖과 접촉한 상태에서, 목젖을 떨면서 기류를 내보내면 된다.
2.7 구개수 내파음
- /ʛ/로 표기.
- 유성음이다. 주로 구개수 파열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조음 방법은, 혓바닥을 목젖과 접촉한 상태에서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류를 냈다가 입을 닫아 막아 버리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