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5월 9일, S-300 |
러시아의 지대공 미사일.
나토코드는 그럼블 (Grumble)
크게 S-300P 계열과 S-300V 계열로 나누어진다.
미사일 종류 | 사거리 | 비고 |
5V55K/KD | 47 km | S-300F (SA-N-6)/해상형/S-300V |
5V55R/RM | 90 km | S-300F (SA-N-6) /해상형, 키로프급 1~3번함, 슬라바급, 카라급/S-300PM(SA-10B) |
5V55U | 150 km | S-300F (SA-N-6)/해상형, 키로프급 1~3번함, 슬라바급, 카라급/S-300PMU(SA-10C) |
9M82 | 100 km | S-300V |
9M83 | 75 km | S-300V |
9M83ME | 200 km | S-300VM |
1 개괄
소련은 S-125(SA-3), S-75(SA-2) 등으로 이루어진 장거리방공미사일들이 이 구식화함에 따라 70년대부터 신형 방공미사일을 개발하기 시작한다. S-300이라는 이름이 붙은 이 방공미사일은 최초 육군 방공부대와 방공군[1] 모두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성능상 방공군의 요구사항과 육군의 요구사항은 상당히 달랐고 이를 한 시스템 안에서 구현하면 시스템의 가격과 복잡성이 지나치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므로[2], 결국 소련은 S-300 신형 방공미사일 시스템을 두 종류로 나누어 개발하기로 하였다.
방공군용은 S-300P[3], 육군방공부대용은 S-300V[4]로 나누어진다. 양자의 개발이 분리되면서 체계 개발도 서로 다른 개발국에서 진행되었는데, S-300P는 알마즈(Almaz) 개발국, S-300V는 안톄이(Antey) 개발국에서 개발이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이 두 미사일시스템은 기술적으로 거의 공통점이 없는 완전히 별개의 미사일이 되었다.
2 S-300P
2.1 스펙
5V55K | 5V55R/RM | 5V55U | 48N6E | 48N6E2 | ||
배치년도 | 1978 | 1984 | 1992 | |||
사정거리 | 47km | 90km | 150km | 195km | ||
최대속도 | 1700m/s | 2000m/s | ||||
길이 | 7.0m | 7.5m | ||||
직경 | 450mm | 500mm | ||||
중량 | 총 중량 | 1450kg | 1470kg | 1780kg | 1800kg | |
탄두중량 | 100kg | 133kg | 150kg | |||
유도방식 | 지령유도식 | 반능동유도식 | TVM |
2.2 S-300P의 발전
S-300P의 5V55계열 미사일은 본래 (미국의 패트리어트 미사일에 적용된 것과 같은) TVM(Track via Missile) 유도방식을 채용할 예정이었으나, 70년대 소련의 기술로 TVM 유도시스템을 탑재한 미사일을 저고도로 침투하는 표적에 유도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S-300P는 점증하는 미국 폭격기의 저공침투능력[5]에 대응할 수 있어야 했으므로 결국 TVM 유도방식의 채용은 미뤄졌으며 1978년 5V55K 미사일이 제식화될 당시에는 지령유도시스템을 탑재했다. (이후 등장한 개량형 5V55R 미사일에는 반능동레이더유도가 사용되었다.)
최초 S-300P는 방공군의 요구, 즉 고정된 주요 전략표적(도시, 비행장, 핵사일로 등)를 미국의 우세한 폭격기 세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으므로 이동성은 중시되지 않았으며, 레이더 등 포대 주요 구성요소를 트레일러로 견인하는 형태로 운용되었다. 이는 S-300P와 그 개량형 S-300PT까지 이어진다. 한편 저고도 침투에 대응하기 위해 S-300P의 화기관제레이더 및 저고도 탐지 레이더[6]는 최대 38미터 높이의 마스트 위에 설치할 수 있었다.
파일:Attachment/S-300/a1.jpg
40V6M 마스트 위에 설치된 S-300P의 30N6[7]화기관제레이더
그러나 80년대부터 미국의 SEAD(적방공망제압)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국가방공군의 방공시스템도 생존성 향상을 위해 이동성을 중시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1982년 모든 방공망 구성요소를 MAZ-7910 대형트럭 위에 올려버린 개량형이 등장했고, 이를 S-300PS라고 부른다.
1991년에는 S-300PM형이 등장했는데, 이는 기존 S-300P 시스템의 주요 구성요소를 전면적으로 개량한 최초의 대규모 개량형이다. 이 버전에서 비로소 TVM 유도방식을 채용한 새로운 48N6계열의 미사일이 등장하였다.
S-300PM의 수출형은 S-300PMU1이라고 불리며, 중화인민공화국, 시리아, 베트남 등의 국가에 수출되었다.[8] 이 중 중국은 라이센스 생산을 허가받아 HQ-10이란 이름으로 운용중. 이란의 운용여부는 아직도 밀리터리계의 논쟁거리다. 이란은 여러경로로 S-300을 구하려고 노력했고, 중국을 통해 복제품을 구입하거나 벨라루스와 같은 경제난에 직면한 소련국가에서 밀매했다고도 한다. 일부에서는 미국의 반대때문에 러시아나 또는 다른국가가 판매를 안해 이란은 목업(모형)만 퍼레이드에 내놓았다고 하지만, 이런 종류의 무기를 퍼레이드로 내놓을때 안전상의 문제때문에 모형품을 내놓는 것은 자주 있는일이므로 이게 이란이 S-300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증거는 되지 않는다.
S-300PM은 이후 S-300PMU(수출형은 S-300PMU2) 및 S-400으로 개량되며 현재에 이른다. S-300PMU 에서는 새로운 소형 능동유도미사일인 9M96계열 미사일이 등장했고 이는 S-400에서 본격적으로 배치되었다.
현재의 S-300P계열 시스템은 준수한 MAZ-7910차체와 시스템 자체의 빠른 배치능력을 이용한 기동성, 무선 데이터링크를 이용한 뛰어난 분산가능성, 다종의 레이더가 다수의 포대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신뢰성과 생존성을 갖춘 강력한 방공시스템이다.
2010년 10월 10일 있었던 북한군의 퍼레이드에서 S-300P 계열 또는 중국산 짭퉁(HQ-9)으로 추정되는 미사일[9]이 등장하여 대부분의 밀리터리 커뮤니티를 초토화시키는 거대한 떡밥으로 작용하였다. 진짜로 북한군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S-300P 계열 방공시스템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면 지금까지의 추측과 달리 유사시 북한의 고고도 방공망은 절대 얕볼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방공망 제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전쟁 초기 공군의 지원을 기대하기 어려울 상황까지 갈 수도 있다. 단 목업일 가능성도 있거니와 북한에서 자체개발한 기종이라면 예상보다 성능이 떨어질수도 있다.
한국은 S-400의 여러 기술적 요소를 도입하여 이를 기반으로 천궁 대공미사일을 개발하였다. 독일에서 수입한 패트리어트 PAC-3(Conf.2)에 새로 개발하는 천궁까지 추가되면 방공망이 매우 튼실해질 예정이다.
얼마전 군사 퍼레이드에 참가하려는 중 진창(혹은 늪)에 빠저 기동불능이 되는 굴욕을 당했다.사실 저정도면 험지도 아닌 도하수준이다... 이게 재미있는 것이 러시아는 S-300을 세일즈할 때 포인트 중 하나가 미사일을 싣는 8X8 차량의 우수한 험지 기동력이었다는 것.sausage 4개가 너무 무거워서 그래 딱봐도 무거워보이네 [10]
2.3 미사일
S-300P계열의 미사일은 크게 세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각각 5V55계열, 48N6계열, 9M96계열이다.
5V55계열은 최초로 등장한 타입으로 지령유도 및 반능동 레이더 유도를 사용한다.[11] 핵탄두를 탑재한 타입이 존재한다. (5V55S, 5V55V) 사거리는 5V55K형이 47킬로미터, 개량형 5V55KD 이후의 타입은 75킬로미터이다.
S-300PM형부터 등장한 48N6계열은 최초로 TVM 유도를 실현한 미사일이다. 외형적으로는 5V55미사일의 에어프레임을 거의 답습했으나 로켓모터의 개량과 유도 알고리즘의 향상으로 사거리가 상당히 늘어났다. (48N6 : 150km, 48N6M : 200km, 48N6DM : 250km, 40N6 : 400km[12])
9M96계열 미사일은 S-300PMU2의 수출 전시장에서 최초로 등장하였고 S-400과 함께 본격 배치되기 시작했다. 이 미사일은 기존 S-300P용 미사일과는 매우 동떨어진 존재로서, 크기가 매우 작은 것이 특징이다. 기존 5V55/48N6계열 미사일 한 발을 탑재할 자리에 4발을 탑재할 수 있다. 9M96계열 미사일은 액티브 레이더 시커를 탑재하여 이 미사일을 사용할 경우 화기관제레이더는 기존 미사일보다 훨씬 적은 부담으로 다수의 표적과 교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추력모터를 탑재하여 매우 강력한 자세제어능력을 갖고 있으며, 측추력모터와 정밀 액티브 레이더 시커의 조합으로 이 미사일은 Hit-to-Kill[13] 요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각종 특징은 여러 모로 보아 패트리어트의 PAC-3 ERINT 미사일과 비견된다.) 9M96 미사일에 사용된 몇 가지 기술은 한국의 KM-SAM(천궁 대공미사일) 개발에도 원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9M96계열 미사일은 저고도 침투 하는 전투기나 순항미사일과 같은 고기동목표를 요격하기 위한 미사일로 소형 고속표적에 대한 요격능력이 높고 즉응성과 기동성이 뛰어나다.
사거리는 9M96E가 40km, 9M96E2가 120km이다.[14]
2.4 레이더
이름(나토명) | 종류 | 밴드 | 탐색/추적 범위 |
MR-750 (Top Steer) | 목표 포착 레이더 | D/E band | 300 km |
(Top Pair) | 목표 포착 레이더 | C/D band | 200 km |
3R41 Volna(Top Dome) | 목표 추적 레이더 | I/J band | 100 km |
S-300과 비견되는 미국의 패트리어트가 사실상 MPQ-53 레이더 하나에 모든 기능을 의존하는 것과 달리, S-300P 시스템은 사용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레이더를 조합하고 있다.
3 S-300V
이 도표 한 장으로 설명되는 우월한 러시아 대공미사일[15]
S-300V는 S-300P와는 별개의 시스템으로서, 육군 야전방공부대의 요구사항에 맞춰 개발된 체계이다. S-300V는 S-300P에 비해 훨씬 기술적으로 어려운 능력이 요구되었기 때문에, S-300P에 비해 개발이 지연되었다. 최초의 S-300V는 (S-300P 보다 5년 늦게) 1983년에야 배치되었다.
70년대말~80년대초 소련의 육군야전방공부대는 다양한 위협에 직면해 있었는데, 소련의 전선 사령부와 물자집적소, 대규모 전투근무지원부대 및 야전항공기지는 점증하는 미국의 중거리 공격전력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었다. 미국은 랜스 단거리 핵탄도미사일, 퍼싱1/2 중거리 핵탄도미사일, FB-111(에 탑재된 SRAM), 토마호크 GLCM 등을 배치해 소련 육군의 작전술급 목표를 위협했다.[16] S-300V는 이러한 위협에 대응해야 했으며 S-300P와 달리 처음부터 항공기 요격능력에 더하여 강력한 탄도탄 방어능력을 갖추도록 설계되었다.
이에 따라 S-300V는 항공기/순항미사일/단거리 탄도탄 요격용의 소형 9M83(나토 코드 "글래디에이터") 미사일과 중거리 탄도탄 및 장거리 스탠드오프 항공기(전자전기, 조기경보기 등) 요격용의 대형 9M82(나토 코드 "자이언트")미사일의 2원화된 체계를 갖춘다.
S-300V의 포대. 좌측은 9M83(글래디에이터)용 TELAR, 우측은 9M82(자이언트)용이다자이언트의 위ㅋ엄ㅋ. 중앙의 것은 일루미네이터가 삭제된 슬레이브 TEL이다.[17]
레이더, 지휘통제소, 미사일 발사대는 모두 T-80 전차 차체에서 파생된 MT-T 계열 궤도형 차체에 탑재되어 높은 야전기동성을 갖고 있으며 시스템의 즉응성(방열 속도)도 우수하다. 이동상태에서 레이더 등 포대 주요 구성요소를 방열하는 데 1분 정도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는 포대의 생존성을 매우 높여준다.
90년대에 개량형인 S-300VM이 등장하였고 이는 안톄이-2500이라는 이름으로 수출이 제안되었으나, S-300V(M)은 S-300P계열보다 훨씬 비싸고 복잡하고 강력한 시스템이었던 관계로 수출은 (테스트용으로 도입한 미국을 제외하면) 이루어지지 못했다.
S-300VM은 현존하는 야전방공시스템으로는 가장 강력한 탄도탄 방어능력을 갖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PAC-3은 물론 S-400도 능가한다.[18] 미국은 S-300VM을 테스트용으로 도입한 바 있다.
현재 러시아의 양대 방공미사일 개발사인 안톄이와 알마즈는 하나의 회사로 합병된 상태이며, 러시아군은 방공군을 폐지하고 지상 방공망을 일원화하려는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S-300V 계열 시스템은 차츰 S-300P계열의 최신 개량형인 S-400M으로 대체될 예정이다.내가 고자라니! 그런데 사실 S-400M은 S-300VM의 9M82M(자이언트)의 개량형 미사일을 그대로 사용한다. 다시 말해 S-400M이란 것 자체가 S-300V의 개량형 포대를 S-400으로도 관제할 수 있도록 개량한 존재인 셈.
3.1 관련 문서
(영어 위키백과)S-300 (missile)- ↑ 소련의 방공군은 육군과도 공군과도 별개인 군대로서, 요격기와 고사포, 방공미사일을 운용하는 군대였다.
- ↑ 방공군은 미공군 전략폭격기에 대한 방어능력을 중시한 반면 육군방공부대는 중/단거리 핵미사일에 대한 방어능력과 야전기동성을 중시했다.
- ↑ P는 국가방공군ProvitoVozdushnaya Oborona Strany에서 따옴
- ↑ V는 지상군Voyska에서 따옴
- ↑ F-111 및 B-1A 폭격기로 대표되는
- ↑ 나토 코드 'Clam Shell'이며 FMCW 방식으로 저고도 탐지능력은 좋았으나 정확도는 별로였다...
- ↑ 나토 코드 Flap Lid
- ↑ 시리아는 S-300PMU1을 믿고 북한 기술자들의 도움으로 핵물질 생산용 원자로를 건설하는 등 이스라엘에게 시비를 걸었다가 이스라엘 전폭기들이 기습 침투하여 원자로를 날려버리자 데꿀멍했던 흑역사가 있다. 역시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사놓아도 굴리는 놈의 대가리의 질이 가장 중요한듯.
- ↑ 정작 구체적으로 따져보면 양자 가운데 어느 쪽도 완전히 닮지는 않았다. 자체개발이니 당연한 결과겠지만. 정확한 내용은 KN-06 검색바람.
- ↑ 단 이건 러시아의 도로 상황이 영 좋지 않은 걸 감안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사진에서 눈이 쌓인 걸로 봐서 라스푸티차 즈음으로 여겨지는데, 이 시기는 전차도 제대로 다니기 힘들만큼 도로가 개판이 되어버리는 때이기 때문.
- ↑ 90년대 이후 48N6을 통해 TVM유도기술이 개발되자 과거 대량으로 배치했던 5V55계열 구형 미사일은 TVM 유도장치를 장착하는 근대화 개장을 받았다.
- ↑ 스탠드오프로 작전하는 폭격기, 조인트 스타즈, 조기경보기 등을 사냥하기 위한 미사일이며 러시아 방공군용 S-400에 사용된다. 수출된 적은 없으며 러시아가 수출용으로 내 놓은 적도 없다. 기존의 48N6계열에 비해 상당히 대형화되었을 것이 예상되며 2단 로켓이라는 추정도 존재한다.
- ↑ 폭풍파편탄두로 표적을 요격하는 것이 아닌, 미사일에 직격하는 방식으로 고속 표적이나 탄도탄의 요격에 효과적이다.
- ↑ 9M96E2는 9M96E에 비해 로켓 자체도 길어졌고, 중간유도 알고리즘이 개량되었다.
- ↑ 12시부터 시계방향으로 최대요격거리, 최대탄도미사일요격거리, 요격가능최대탄도미사일사거리, 최대요격고도, 커버리지, 표적최고속도, 탐지가능 최소RCS, 방열시간
- ↑ 사족으로 이런 미국의 위협이 가중된 건 소련이 핵을 보유한 서유럽 나토동맹국에 대한 패리티 전력으로 SS-20 중거리 탄도탄을 대량으로 배치하자 미국이 이 위협에 대응했기 때문이다. 장군멍군 -_-
- ↑ S-300V는 독특하게도 미사일 발사대 TEL에 일루미네이터가 부착된 TELAR을 운용한다. 물론 비용문제상 모든 TEL에 일루미네이터가 있는 것은 아니다.
- ↑ S-400과는 달리 최초 개발단계부터 탄도탄 방어능력이 요구되었으니 당연한 것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