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C 국가 영향 평가 여론조사

1 개요

BBC에서 한 여론조사. 어떤 나라가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에 대해 세계의 시민들에게 물어본 설문조사다.

주의할 것은 이 조사결과가 그 나라에 대한 응답자의 호오를 표시하는 게 아니란 것으로, 예를 들어 응답자가 미국을 개인적으로는 좋아하지만 미국이 세계에 환경오염 등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이라고 간주하고 응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항목에서는 부정적인 것만을 순위대로 적어 놓았다.[1]

2010년 버전과 2013년 버전이 있다.

1.1 한국(2013년)

2013년
순위[2]국명대체로 부정적참고 : 대체로 긍정적
1독일65%17%
2프랑스47%37%
3멕시코45%24%
4캐나다41%38%
5영국40%41%
5터키40%30%
7브라질38%30%
8미국37%47%
9호주36%45%
10그리스33%18%
11나이지리아32%48%
-세계평균31%35%
12폴란드29%31%
13중국28%44%
13일본28%19%
15이집트27%20%
16칠레26%40%
17페루25%31%
18러시아24%34%
19대한민국22%64%
20스페인21%43%
20케냐21%34%
20파키스탄21%29%
23인도19%19%
24인도네시아17%58%
25가나15%55%

1.2 한국(2010년)

2010년[3][4]
순위국명한국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1태국[5]58%
2독일53%
3이탈리아46%
3스페인46%
5프랑스45%
6브라질43%
7이집트37%
7나이지리아37%
9케냐34%
10영국33%
11캐나다30%
11터키30%
13미국28%
14중앙 아메리카27%
14포르투갈27%
16호주26%
17인도네시아24%
18멕시코23%
18러시아23%
18필리핀23%
21인도21%
22중국20%
23가나19%
23대한민국19%
25아제르바이잔17%
25파키스탄17%
27칠레16%
28일본9%
  • 황당하게도 태국이 가장 높은데 깜짝 놀란 주태국 한국대사관의 조사에 따르면, 태국에서 설문조사를 담당하던 BBC 현지 대행사가 한국을 북한으로 잘못 번역해서 생긴 일이라고 밝힌 바 있다. 아무튼 별달리 직접적인 관계도 없는 태국에서 북한을 매우 싫어하는데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 태국도 공산주의를 견제해왔고 무엇보다 과거 북한이 태국에서 마약밀매 관련일에 연루되었던 적도 있어서 태국 언론이 북한을 엄청 까며 보도했고 심지어 북한 사람이 악당으로 나온 영화까지도 나온 적도 있다.
  • 2010년의 통계를 보면 생각했던 것보다 일본이 순위가 매우 낮은 게 보인다. 심지어 한국보다 낮았다! 당시 일본 내에서 한국을 싫어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고 한다. 다른 나라들과 다르게 남한을 북한과 헷갈려 할 가능성도 매우 낮을 테니 나름 신뢰성 있는 결과였을 수도 있다. 2012년의 조사(링크)에서도 긍정적 입장이 34%, 부정적 입장이 16%로 긍정적인 평가가 높은 게 꾸준히 지속된다.
그러나 2013년부터 상황이 반전되어서 긍정 19%, 부정 28%, 중립적인 입장은 전년도에 비해 3% 상승한다. 2012년 이명박 대통령 일왕 사과 발언과 일본 정부의 우익적 경향에 영향을 받은 것 같다. 다만 2013년의 반전에도 불구하고 다른 국가들에 비하면 부정적인 입장은 '평범한 수준'(중국과 동률, 미국과 영국 보다 10% 낮음)이다. 단, 긍정적인 입장은 타국과 비교해도 낮다. 영어 위키피디아의 '반한 감정'링크 항목을 보면 통계를 위에서부터 정리해 볼 수 있으니 참조 바람.
  • 이외 독일 등 서구권 국가들의 한국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높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데, 로스엔젤레스 흑인 폭동과 관련된 이유 등도 있지만 역시 북한이 가장 큰 원인. 아무래도 뉴스에서는 북한의 나쁜 점이 자주 보도되다보니,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괜히 있는게 아니다. 그리고 이 설문조사는 어디까지나 국가가 끼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보니, 남북분단의 상황을 잘 모르는 사람은 그냥 남한하고 북한하고 싸우는 것으로 생각하지 북한이 남한을 일방적으로 도발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라크 전쟁의 내막을 잘 모르는 사람이 언뜻 나쁜 이라크를 미국이 혼내주는 것으로 착각하기 쉽듯.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북한이든 남한이든)이 세계평화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 것일수도 있다. 독일: 우리는 평화적으로 통일했는데 왜 쟤네는 아직도 싸우면서 평화를 위협하는 걸까 사실 상식적으로 특정 두 국가가 전쟁을 벌였을 정도로 사이가 안 좋다면, 보통은 양쪽 다 과실이 크다고 생각하는 게 일반적이다. 북한이 상식을 뛰어넘었을 뿐
  • 여담이겠지만 원래부터 반한국가이면서도 북한과 친밀한 관계를 맺어왔던 쿠바, 시리아 등은 모두 북한 단독수교국이기 때문에 남한보다는 북한의 입장을 지지하였던 편이었다. 특히 쿠바북한을 우호국으로 자임하면서 김일성 부자(父子)가 죽었을 때는 조기(弔旗)까지 게양할 정도였으며 반면에 남한에 대해서는 반한감정이 짙어서 국제사회에서도 남한미국의 식민지라고 규정하고 남한에서 열렸던 국제대회에도 잇따라 불참하는 등 반한감정이 깊었다.[6][7]
  • 한국에 관한 통계에는 북한남한과의 개념적 혼동이 반영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한국이 콩고 공화국콩고 민주 공화국 간의 구분을 잘 알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듯이 외국인들 중에도 남한과 북한을 구분하기 힘들어하는 사람들도 꽤 된다. 불행히도 두 국가 다 영문명에 Korea가 들어가며, 북한측이 이러저러한 악의 행위들로 인해 대한민국보다 외신 뉴스를 더 자주 타는 탓에 북한측 인지도가 대한민국 측 인지도보다 다소 앞서는것이 사실이다. 물론 젊은 세대들은 높은 확률로 제대로 구분하지만, 중장년층으로 갈수록, 그리고 국민들의 평균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이러한 혼동이 심해진다. 따라서, 여론 조사시에 '한국'이란 이름을 듣고 '아, 그 핵갖고 있는 나쁜 나라?'라고 생각하고 여론에 참여한 사람이 있을 가능성도 일부 존재한다. 실제로 일부 설문 조사에서 북한의 이미지 조사에서 일부 응답자들이 'K-Pop, 싸이, 강남스타일, 여성 대통령'이 튀어 나오는 등 남북을 헷갈려 하는 현상이 있다. 이는 언론인이나 전문가도 마찬가지 여서 러시아 언론이 혼동하거나 인도가 북한에서 첨단 전자제품을 수입했다고 UN에 보고(...)하거나 스페인 통관 심사관이 남북한을 혼동하는 등의 사례도 많다. 그러니 한국에 대한 결과를 절대적으로 신용하기에는 조금 곤란하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물론 소위 일빠들이나 혐한들은 그런거 없이 한국을 까기 위한 절대적인 성전으로 떠받들어 모신다.

1.3 일본(2010년)

2010년[8][9]
순위국명일본이 세계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1중국47%
2프랑스37%
3터키35%
4독일34%
5이탈리아31%
6대한민국29%
6스페인29%
8멕시코23%
9호주22%
10인도20%
10태국20%
12아제르바이잔19%
12브라질19%
14이집트18%
15나이지리아16%
15포르투갈16%
15영국16%
18케냐15%
18파키스탄15%
20칠레14%
21러시아13%
22가나12%
22인도네시아12%
24캐나다11%
24미국11%
26필리핀10%
27일본7%

2 관련 항목

  1. 나중에 긍정적 입장을 추가하면 이 부분은 삭제해주시기 바랍니다.
  2. 부정적인 응답이 높은 순이다.
  3. http://en.wikipedia.org/wiki/Anti-Korean_sentiment
  4. http://www.worldpublicopinion.org/pipa/pipa/pdf/apr10/BBCViews_Apr10_rpt.pdfttp://www.worldpublicopinion.org/pipa/pipa/pdf/apr10/BBCViews_Apr10_rpt.pdf
  5. 표 아래를 참조
  6.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때는 공식 참가한 적이 있었다.
  7. 사실 카스트로 공산정권 수립 이전까지는 6.25 전쟁UN의 대한지원 결의에 따라 물자를 지원하였던 적이 있었다. 이 때까지는 남한과도 수교 가능성이 있어보였으나 카스트로의 공산혁명으로 인해 현재까지 수교를 맺지 못하고 있다.
  8. http://en.wikipedia.org/wiki/Anti-Japanese_sentiment#cite_note-1
  9. http://www.worldpublicopinion.org/pipa/pipa/pdf/apr10/BBCViews_Apr10_rpt.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