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번 지방도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은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출발하여 강원도 원주시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국가지원지방도이다. 상당히 긴 노선인데, 1994년에 49번 국도로 지정되려 하였으나 국도 승격이 되지 않은 대신 국가지원지방도가 되었다.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완주군 구이면 구간 등이 왕복 4차로로 확장되었다. 해남 ~ 영암 구간은 2014년 1월 10일 왕복 4차로 확장이 완료되었다.

2 노선

2.1 전라남도

2.1.1 해남군

  • 관광레저로
화원면에서 77번 국도와 만나며 출발한다. 바다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하자.
  • 금호갑문
  • 금호도
  • 달도갑문
  • 영암금호방조제, 영암갑문

2.1.2 영암군

  • 관광레저로
오른쪽으로 F1 자동차 경주장이 보인다. 삼호읍 삼포교차로에서 810번 지방도와 만난다.
삼호읍 난대교차로에서 810번 지방도와 만난다.
  • 녹색로
삼호읍 서호교차로에서 왕복 4차로로 포장된 2번 국도에 합류한다. 직진한 뒤 미암면 학산교차로에서 왕복 4차로로 포장된 819번 지방도로 갈아타야 한다. 819번 지방도의 금계교차로에서 49번 지방도가 분기되는데, 좌회전을 할 수 없다. 조금 더 가서 송정교차로에서 굴다리를 이용하여 되돌아나온 뒤 금계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49번 지방도로 빠지자. 다시 왕복 2차로 길이다.
  • 독천로
  • 망월천로
미암면채지리 사거리에서 819번 지방도와 만난다. 우회전하여 학산면으로 가자.
  • 영산로
남해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조금 더 직진하면 학산면 서포교차로에서 2번 국도와 연결된다. 네이버 지도에는 직진 방향이 49번 지방도라고 나와있는데, 직진하면 낚인다. 좌회전하여 2번 국도 진입로로 들어간 뒤 우회전하여 무안 쪽으로 가야 한다. 좌회전하면 남해고속도로 서영암 나들목이 나온다. 이후 2번 국도와 잠깐 중첩되어 무영대교를 건넌다.

2.1.3 무안군

  • 일로로
일로읍 청호교차로에서 2번 국도로부터 분기.
  • 일로중앙로
  • 삼일로
일로읍사무소 앞에서 우회전해야 한다.
  • 몽탄로
몽탄면 몽탄대교 앞에서 825번 지방도와 만난다. 이 825번 지방도는 끊겨 있는 도로이다.

2.1.4 나주시

  • 동강로
동강면 후동사거리에서 23번 국도에 합류한다. 직진하여 23번 국도를 타고 영산포공용버스터미널을 지나 외국어고앞까지 가자.
  • 영나로
전남외국어고등학교 앞에서 23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 금영로
금천면 금천사거리에서 우회전하자.
  • 영산로
왕복 4차로다. 조금 가다보면 커다란 교차로가 나타나는데 1번 국도와 만나는 곳이다. 좌회전하자.

2.2 광주광역시

남구를 잠깐 지나고 광산구로 들어간다.

  • 광산구 동곡동 본덕교차로에서 13번 국도와 교차한다.
  • 광산구 평동 연산교차로에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진출입할 수 있는 서광산 나들목 진입로가 연결되어 있다.
  • 광산구 지평동 지평교차로에서 22번 국도와 교차한다.
  • 용진터널

2.3 전라남도

2.3.1 장성군

  • 국지로
동화면 동화IC교차로에서 24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고 24번 국도를 따라간 뒤 장성교차로에서 좌회전하여 1번 국도로 들어가자. 1번 국도를 쭉 따라가다가 북하면 북하사거리에서 북하면소재지로 들어간 뒤 우회전하여 약수교를 건너지 말고 좌회전하여 작은 개울 옆으로 난 길을 따라가자.
  • 백양로
조금 가다보면 백양교라는 다리가 보이는데, 우회전하여 이 다리를 건너야 한다.
  • 단풍로
  • 감성굴재
고개 정상이 아니라 고개를 넘은 뒤 왕복 4차로가 시작되는 부분이 장성군과 순창군의 경계다.

2.4 전라북도

2.4.1 순창군

  • 백방로
2012년에 개통된 왕복 4차로다.
복흥면 반월리에서 792번 지방도와 만난다.
  • 복흥터널
쌍치면 신성교차로에서 29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2.4.2 정읍시

  • 칠보산로
내장상동 부전제삼거리에서 29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우회전하자.
  • 피오고개
  • 수청저수지
  • 칠보터널
칠보면 시산교차로에서 30번 국도와 교차한다.
  • 산외로
산외면 산외교차로에서 71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 엄재터널

2.4.3 완주군

  • 산외로
구이면 상용교차로에서 27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구이로
구이면 백여교차로에서 27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구이면 대덕삼거리에서 714번 지방도와 만난다.
구이면 염암삼거리에서 우회전.
  • 신덕평로
고개가 있다.[1] 완주군과 임실군의 경계이다.

2.4.4 임실군

  • 신덕평로
신덕면 외량삼거리, 삼길삼거리에서 749번 지방도와 만난다.
  • 야트막한 고개가 하나 있다.
신평면 원천리 원천교차로에서 74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신평면 관촌역 앞에서 17번 국도와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관진로
관촌면 병암삼거리에서 17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순천완주고속도로와 교차되나 연결되지 않는다.

2.4.5 진안군

  • 관진로
성수면 좌산리에서 721번 지방도와 만난다.
성수면 좌산리 좌산삼거리에서 721번 지방도와 만난다.
마령면 강정교차로 부근에서 745번 지방도와 만난다.
익산포항고속도로와 교차되나 연결되지 않는다.
진안읍 진안연장농공단지 앞에서 26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 귀상로
부귀면 부귀교차로에서 26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정천면 월평리에서 795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상전면 월포리를 잇는 금지터널이 2013년 11월 12일 개통되었다.
  • 석정터널
  • 진성로
상전면 연건교차로에서 30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죽도교 (금강을 건넌다)
상전면 죽도유원지 부근 고갯길에서 180도 커브길이 나타난다. 조심하자.
동향면 자산삼거리에서 13번 국도와 합류한다. 직진하자.
동향면 대야사거리에서 13번 국도로부터 분기된다. 좌회전하자.
동향면 학선삼거리에서 635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2.4.6 무주군

  • 진성로
안성면 상하삼거리에서 635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통영대전고속도로와 교차하나 연결되지 않는다.
  • 안성로
안성면 사전교차로에서 727번 지방도와 만나며 19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여 19번 국도를 타자.
  • 치마재로
적상면에서 19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치목터널
적상면 하조사거리에서 727번 지방도와 교차한다. 여담으로 상조 방향의 727번 지방도는 2013년 현재 끊겨 있다.
  • 구천동터널
설천면에서 37번 국도에 합류한다. 좌회전하자.
설쳔면 무항삼거리에서 37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2.5 충청북도

2.5.1 영동군

  • 민주지산로
용화면소재지에서 581번 지방도와 만난다.
도마령. 해발 800m이며 용화면과 상촌면의 경계이다. 매우 험한 고개이므로 주의해서 넘자. 도마령 정상에서 조금 더 올라가면 해발 840m 지점에 '상용정'이라고 하는 팔각정이 있다.
상촌면 상촌삼거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매곡면 매곡삼거리에서 906번 지방도와 만난다.
황간면 황간역 부근에서 4번 국도에 합류했다가 분기한다. 경부고속도로와 교차하며 경부고속도로는 4번 국도에 잇는 황간 나들목을 통해 진출입 가능하다. 황간면은 옛 황간군의 중심지이며 황간향교가 있다.
  • 황간동로
황간면 남성삼거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 솔티재

영동군과 상주시의 경계이다.

2.6 경상북도

2.6.1 상주시

  • 중화로
모동면 신천삼거리에서 68번 지방도와 만난다.
모서면 삼포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 삼포순환로
모서면 지산리에서 901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 중화로
화동면 신촌사거리에서 좌회전
화서면 신봉사거리에서 25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자. 25번 국도 구간에 당진영덕고속도로 화서 나들목이 있다.
  • 상곡로
화서면 수청거리삼거리에서 25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문장로
화남면과 화북면을 잇는 갈령은 터널화되었다.
화북면소재지에서 32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화북면 장암2리에서 997번 지방도와 만난다.
  • 장암리와 입석리 사이에 얕은 고개가 하나 있다.

2.7 충청북도

2.7.1 괴산군

  • 문장로
청천면 송면삼거리에서 32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 송문로
청천면 송정삼거리에서 922번 지방도와 만난다.
  • 치재터널
  • 괴산로
문광면 문광삼거리에서 19번 국도에 합류한다. 우회전하여 19번 국도로 갈아타자.
  • 읍내로

괴산읍 시계탑사거리에서 오른쪽 1시방향으로 19번 국도를 따라가자.

  • 괴강로

괴산읍 대덕사거리에서 34번 국도로 좌회전하여, 괴산교차로까지 직진하자.

  • 중부로

괴산읍 대덕교차로에서 직진하여 직결되어있는 37번 국도로 갈아타고, 옆동네인 음성군 원남면의 구안삼거리까지 직진하자.

2.7.2 음성군

  • 충도로
원남면 구안리 구안삼거리에서 37번 국도로부터 분기한다.
  • 한불로
소이면 석인리 충도삼거리에서 516번 지방도와 만난다. 우회전하자.
조금 더 가면 소이면 금고리인데, 여기부터 비산리까지 도로가 없다. 이 구간에 도로를 개설하기 위해 2013년에 주민설명회를 마쳤으며 2017년까지 공사한다는 계획이다. 일단은 516번 지방도로 가다가 대장교를 건너서 대장리의 599번 지방도 쪽으로 건너가고, 비산사거리에서 36번 국도로 갈아탄 다음 충주시 주덕읍 주덕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신중교차로를 이용하여 3번 국도를 타자. 그리고 충주시 신니면 용원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49번 지방도를 찾자.

2.7.3 충주시

  • 덕고개로
신니면에서 3번 국도와 만난다.
노은면에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교차하지만 연결되지 않는다.
노은면 노은삼거리에서 525번 지방도와 합류한다.
  • 감노로
노은면 노은사거리에서 525번 지방도와 분기한다.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고 싶다면 520번 지방도의 북충주 나들목으로 가자.
  • 하너미로
하남고개. 해발 340m 이며 노은면과 앙성면의 경계다.
앙성면에서 38번 국도와 교차되며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 앙암로
앙성면 단암삼거리에서 335번 지방도와 만난다.
남한강대교. 남한강을 건너며 충주시와 원주시의 경계다.

2.8 강원도

2.8.1 원주시

  • 앙암로
부론면소재지에서 531번 지방도와 만난다.
  • 부귀로
  • 견훤로
부론면 흥호리에서 84번 지방도와 만날 예정이다.
영동고속도로 옆을 따라간다.
문막읍 포진2리에서 404번 지방도와 만난다.
문막 나들목을 통해 영동고속도로에 진출입 가능하다.
문막읍 건등사거리에서 42번 국도에 합류한다. 이후 지정면, 흥업면, 호저면 구간은 42번 국도와 중첩되면서 49번 지방도 구간은 끝난다.
  1. 현재 직선화공사가 진행중이며 2016년 말에 개통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