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945년 8월 14일에서 15일에 일어난 일본 제국 최후의 쿠데타이자, 도저히 거스를 수 없는 대세를 억지로 막고자 하던 극우 군인들의 최후의 발악.
2 배경
제2차 세계대전 막바지 1945년 8월에 이르러 일본은 그야말로 세기말이 55년 일찍 찾아온 분위기였다. 동맹국 나치독일은 몇 달 전에 무조건 항복, 일본과 함께 전쟁을 수행하는 나라라곤 아무런 도움도 안되는 이름뿐인 괴뢰국들이 전부였다. 세계 2~3위의 해군이라던 제국해군 연합함대는 44년의 필리핀 해 해전, 레이테 해전으로 박살나고 그 잔존세력조차 구레 군항 공습으로 소멸했다. 애초에 상대가 세계 1위 모든 해외점령지와의 통상은 단절되어 일본 본토는 식량을 포함한 모든 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였다.
이런 상황 속에 오키나와 전투는 일방적인 패배로 종결, 미국의 본토 침공이 현실화되고 있었으나 아직도 정신 못차린 일본 군부는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는 연합국의 포츠담 선언을 거부하고 조건부 항복의 의사를 타진하고 있었다. 연합국은 이에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와 만주 작전으로 화답했다.(…)
본토결전이니 1억[1]총옥쇄, 황국불멸같은 헛소리를 지껄이던 일본군 수뇌부는 들어본 적도 없는 신병기의 사용에 의한 도시 소멸과,[2][3], 소련[4]의 전면적 침공 앞에서 완전히 희망을 잃어버렸다. 결국 사면초가의 상황 속에서 히로히토 덴노 의 결단으로 포츠담 선언의 수용, 즉 무조건 항복이 결정되었다.
그러나 세상에는 구제불능의 바보들이 어디에나 있는 법. 바로 이 순간에도 최후의 1인까지 항전하여 덴노를 결사옹위하고 귀축영미를 몰아내자는 극우 군인들이 아직도 정신을 못차리고 항복을 결정한 정부의 결정에 반발하고 있었다.
3 항복 직전의 급박한 움직임
8월 12일에서 13일에 걸친 어전회의 및 군 수뇌부 회의에서는 수많은 갑론을박이 이어졌으나 일단 포츠담 선언을 받아들이고 항복 후 덴노제 유지 조건을 협상하자는 외무성쪽으로 대세가 기울고 있었고, 여기에 해군도 찬성하고 있었다. 육군은 육군장관 아나미 고레치카(阿南 惟幾)를 중심으로 사전에 준비한 결호작전을 토대로 결사항전할 것을 주장하고 있었으나 결사항전을 주장하는 세력은 이미 정부 및 군 내에서도 소수에 불과했다. 결국 13일 오후 각료회의에서 항복이 결정되었다.
이와 같은 분위기를 감지한 육군성 내 항전파 소장장교들은 회의를 끝내고 온 아나미 장관을 면담했다. 이들 소장파 장교들은 아나미 장관과 의형제라 불릴 정도로 친했던 하타나카 켄지(畑中 健二) 소좌[5]를 비롯하여 군사과장 아라오 오키카즈 대좌, 군사국원 이나바 마사오 중좌, 이다 마사다카 중좌, 군무국원 다케시다 마사히코 중좌, 군무국원 시이자키 지로 중좌로 이들은 아나미 장관에게 항복에 결사 반대할 것과, 비상시를 대비한 병력동원계획의 발동을 요청했다.
이들이 말한 병력동원계획은 사실상의 쿠데타 계획으로서, 수도 도쿄의 방어와 덴노의 보위를 목적으로 하는 근위 제1사단을 동원하여 주요 정부기관 및 군 중추를 모조리 장악하고, 항복파인 스즈키 간타로 수상, 키도 고이치 내무상, 전임 수상이기도 했던 요나이 미츠마사 해군상, 도고 시게노리 외상을 모조리 체포, 처형한다는 것이었다. 이 쿠데타를 성공시키고 끝까지 미국에 맞서 싸우자는 것이 소장파 장교들의 주장이었다.
아나미 육군상은 일단 이들의 제안에 대해 다른 인사, 특히 참모총장 우메즈 요시지로(梅津美治郞)에 먼저 설명하고 동의를 구해야한다며 돌려보냈다. 항복 당일 아나미가 자결했기에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이 시점부터 아나미는 항복에는 반대했지만 쿠데타 계획 역시 찬동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8월 14일, 아나미는 우메즈와 만나 소장파들이 제안한 쿠데타 계획을 설명했고 우메즈는 즉시 반대의사를 내비쳤으며 아나미 역시 이에 동의했다. 뒤이은 어전회의에서의 갑론을박 끝에 히로히토의 결정으로 무조건 항복이 선택되었으며 아나미는 덴노의 선택에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고 항복명령에 따랐다.
같은 시각, 하타나카 소좌는 동부군관구 사령관 다나카 시즈이치(田中 静壱) 대장에게 쿠데타 가담을 요청하나 일언지하에 거절당했다. 그러나 하타나카 등 쿠데타 주동자들은 동지들을 규합하며 쿠데타에 호응할 인물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었다.
같은 날 23시 30분, 덴노의 항복방송 녹음이 끝났다. 그리고 방송녹음을 위해 고쿄를 방문했다 막 퇴거하던 정보국 총재 및 방송사 관계자들이 하타나카의 동조자가 지휘하던 부대에게 걸려 체포되면서 쿠데타 세력도 항복결정 사실을 알게 된다.
8월 15일 새벽, 하타나카 소좌를 중심으로 한 쿠데타 세력은 근위 1사단 사령부를 방문하여 사단장 모리 다케시(森赳)에게 쿠데타 가담을 요청했다. 이를 받아들일 수 없었던 모리 사단장은 목욕재계 후 신궁에 가서 기도드리고 결정하겠다는 등의 답변으로 시간을 끌다가 하타나카의 분노를 사 동석해 있던 사단참모와 함께 참살당했다. 쿠데타의 시작이었다.
4 급조한 어설픈 쿠데타, 그리고 실패
모리 사단장을 죽인 하타나카 소좌는 1사단 참모로 자신의 동조자이기도 했던 고가 히데마사(高賀秀正) 소좌의 도움을 받아 근작명 갑 제584호라는 위조명령을 내려 1사단 병력을 동원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모리 사단장의 직인을 도용하여 명령을 발동, 고쿄의 모든 출입을 통제하고 NHK를 손아귀에 넣었다. 쿠데타군은 최우선적으로 항복방송을 저지한 후 다른 상급 지휘관들을 설득시켜 대세를 거스를 계획이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항복방송을 녹음한 레코드를 확보하는데 실패했고[6] 이들의 목표였던 항복파 대신들은 잽싸게 피신한 뒤였으며 이들의 쿠데타를 지원할 다른 상급 지휘관들의 지지를 받는데도 실패하고 있었다.
당장 도쿄 일대를 관할하는 동부군관구 사령관 다나카 대장은 노발대발하며 병력을 철수시키라고 아우성이었다. 거기에 하타나카 소좌가 자신의 의형으로서 쿠데타 계획을 지지해줄 거라 믿어 의심치 않던 육군성 장관 아나미는 자신을 설득하러 온 이다 마사다카 중좌를 역으로 설득(…)한뒤 뒤 한창 쿠데타가 진행중이던 새벽 4시에 패전의 책임을 통감한다는 유서를 남기고 할복 자살해 버렸다.
거기다 마침내 동부군관구가 병력을 동원하여 쿠데타를 진압할 준비를 시작했다. 또 비슷한 시각에 동부군관구와 1사단 예하 부대간에 통신이 연결되면서 1사단 각 부대들은 자신들의 사단장이 죽었고 자기들은 쿠데타군에게 놀아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쿠데타군 유일의 가용병력은 허망하게 날아가고 말았다.
이에 하타나카 소좌는 점령한 NHK 방송국을 통해 자신들의 의지를 표현하는 연설방송이라도 하고자 했으나 NHK 방송담당자인 다테오 아나운서가 아이고 님 지금은 전시라 전국방송하려면 육군하고 주파수 조율해야하고 어쩌고저쩌고 해서 시간이 오래 걸려요라는 뻥을 치고, 하타나카는 '이 씨X놈이 어디서 약을 팔어? 지금 저거 방송준비 끝나고 바로 스위치 올리고 아침방송 직전인 상태 아님? 내가 빙다리 핫바지로 보이냐 이 새끼야?' 하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하지만 다테오 아나운서는 지금 방송준비 끝난게 아니라는 거에 내 손모가지를 건다. 쫄리면 뒈지시든지.목숨을 걸고 개겼고[7] 끝내 방송은 무산되고 말았다.(…) 뒤이어 녹음방송 뒤 잠에 들었던 덴노가 새벽에 깨어나 쿠데타 소식을 듣고는 짐이 직접 병사들을 만나 이야기하겠다며 쿠데타 반대 의사를 명백히 하면서 쿠데타 세력은 걷잡을 수 없는 패배감에 빠져들었다.
이들은 최후의 발악으로 조잡한 삐라를 급히 만들어서 도쿄시내에서 시민들에게 뿌리며 항전의 정당성을 외쳤으나 아무도 관심을 주는 이 하나 없이 일부는 불쏘시개가 되고 일부는 쓰레기통 속으로 처박혔다.(…) 결국 8월 15일 오전 11시, 하타나카 소좌 등이 권총자살하는 것으로 쿠데타는 실패로 돌아갔고, 약 1시간 뒤 항복방송이 일본 전역에 울려퍼진다.
5 의의
항복 직전의 이 쿠데타가 일종의 막간극 취급을 받으며 형편없이 실패한 것은, 가장 전쟁에 적극적이던 군부마저도 대세를 거스를 수 없음을 알고 있었다는 의미였다. 아나미 육군장관이나 우메즈 육군참모총장은 물론, 다나카 동부군관구 사령관, 모리 1사단장 등 쿠데타 세력이 포섭하고자 했던 주요 지휘관들은 모조리 쿠데타 제의를 거부하고 항복명령에 따랐다. 쿠데타에 동원된 1사단 병력도 자신들이 속았다는 걸 알자마자 일제히 원대복귀했다. 실제로 쿠데타는 일부 좌관급/위관급 장교들만 참여했던 것이다.
군만이 아니라 쿠데타군에 협조를 거부한 NHK 방송기술자, 그리고 쿠데타군의 삐라를 무시한 도쿄 시민들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이미 패전을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는 것을 모르는 사람은 도쿄 내에는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다른 도시들은 물론이고 도쿄마저도 대공습을 당해 불타는 판에... 이러한 사실을 인정하기를 거부한 소수 극우소장파들의 쿠데타는 결국 실패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이 쿠데타는 실패했으면서도 주동자들이 처벌받지 않은[8] 매우 기묘한 쿠데타가 되었다. 쿠데타 직후 일본이 무조건 항복하면서 쿠데타 세력을 처벌할 수 있는 기관이 불분명했고, 쿠데타 세력을 최우선적으로 수사할 헌병대는 군 해체와 함께 사라졌으며, 일본을 점령한 미군들은 이런 바보들을 신경쓸 여유가 없었던 탓이다. 당시 일본 극우 입장에서는 그들의 애틋한(...)우웩 마음을 모르는건 아닐테니 미담으로 미화시키려 들 망정 질타하지는 않았을 것이고.
다만 이 이야기가 오늘날 까지 남아서 이 새끼들은 정말로 천황이 뭐라하건 관심도 없었던 정신병자들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어 천황에게 기묘한 형태로 쉴드를 쳐주는 사례로 남게 되었다. 일본의 가장 긴 하루라는 영화가 이 사건을 다루고 있다. 원작은 문예춘추에서 발간한 동명의 논픽션으로, 한국에서는 일본 패망 하루전이라는 제목으로 개봉.
- ↑ 1억이라는 숫자에는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등의 인구가 포함된 숫자이다.
- ↑ 일본군도 핵분열에 대해 알고 있었고, 무기화를 위한 연구도 진행중이었다. 그러나 연구과정에서 무수한 난관에 부딪히면서 핵무기 개발이 얼마나 어려운지, 얼마나 많은 개발비가 들어가야 하는지 체감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이 핵폭격을 하는것을 보고 완벽하게 좌절했을수도...
- ↑ 참고로 핵무기 개발조차도 육군과 해군이 완벽하게 따로 하고 있었다. 어떠한 자료공유도 없이...
- ↑ 이때까지만 해도 일본쪽에서는 소련을 통한 연합국(=미국)과의 협상을 도모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그 마지막 희망이 박살난 것.
- ↑ 구 일본군은 소령,중령,대령이 아닌 소좌,중좌,대좌라는 계급을 썼다. 그래서 좌관급.
- ↑ 쿠데타군에 잡힌 방송기술자가 역정보를 흘려 쿠데타군이 엉뚱한 곳만 수색하게끔 유도했고, 이에 쿠데타군이 낚여 헛다리를 짚는 바람에 옥음방송 녹음 레코드를 확보하지 못했다.
- ↑ 하타나카는 이 시점까지 모리 사단장부터 시작해서 이미 쿠데타에 동조하지 않는 여러 명을 살해했다.
- ↑ 어차피 주동자 중 대부분, 특히 하타나카 등은 항복 당일 오후 고쿄 앞에서 할복자살했다. 할복하려다 살아남은 사람은 이다 중좌 정도. 끝까지 남아서 개긴 쪽은 육군항공대 아쓰기 기지의 장교들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