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氣, Force

파일:Attachment/기/기를 모아야 합니다.jpg
모아야 하는 것
동아시아철학의 핵심적인 개념 중 하나.

오리지널한 의미는 숨, 바람, 증기였지만, 대략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면서 우주를 이루는 원질과 같은 의미가 되었다. 참고로 기의 다섯 가지 패턴이 오행(화수목금토). 그러니까 사람이나 짱돌이나 태양이나 우주의 모든 것이 기로 이루어져 있다는 뜻이다. 그 조합방식(?)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는 식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서양철학과 차이점을 비교하면, 수천년간 서양철학은 정신과 물질, 영혼과 육체, 이념(이데아)와 현상... 등의 이원론을 당연한 것으로 전제하면서, 대체로 이들 중에서 후자에 속하는 물질, 육체, 현상, 질료(material).. 등을 열등하고 오염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으로 자리잡아 왔다. 그러다가 철학사적으로는 극히 최근이라 할 만한 근대철학 중~후기 무렵부터 "정신 vs 물질"의 이분법을 회의하는 시각이 제기되었고, 이 둘이 실은 하나의 근원에서 나왔으며 하나의 원리로 이 둘 모두를 설명할 수 있다는 일원론, 그 중에서도 특히 물질 쪽에 우위를 두며 정신이 물질에서 파생되어 나왔다고 주장하는 유물론이 급격히 설득력을 얻어 현대 서양철학의 주류로 자리잡았다.

동양철학의 경우는 서양 고전철학의 패러다임인 "정신 vs 물질의 이원론" 자체를 상정한 적이 없다. 고대의 동양철학은 정신과 물질이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생각이 나타난 적이 없으며, 굳이 정신과 물질이라는 표현을 쓰자면, 이 둘을 모두를 아우르는 기(氣)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그런데 불교가 중국에 들어오면서 큰 변화가 일어나는데, 불교 안에 이원론적인 인도철학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1] 인도철학에서도 정신과 물질, 본체와 현상 등의 이원론이 나타난다. 불교경전을 보면 진여문과 생멸문, 이(理)와 사(事)가 대립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나중에 불교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성리학이 불교의 이(理)라는 개념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주자의 글을 보면 이(理)가 기(氣)의 내부에 내재하는 법칙일 뿐이라고 논할 때도 있고, 이(理)가 기(氣)를 초월하는 불변의 원리인 것처럼 논할 때가 있다.

동양에서는 원래 정신과 물질이라는 용어 자체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유심론, 유물론 같은 생각도 나타나지 않는다.

한의학에서 치료하는 하는 방식은 사람 몸의 다섯가지 기(화수목금토)의 밸런스를 조절하는 방식이며, 침이나 뜸 같은 것도 기의 밸런스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미 말했지만, 사람 몸에 기가 따로 들어있는 게 아니라, 사람 몸이 기로 이루어져 있다는 거다. 쉽게 말해서 사람 몸을 이루고 있는 기의 밸런스가 깨지면 병에 걸리는 거고, 그걸 바로잡는 게 치료라는 것.

그런데 보통 기라고 하면 드래곤볼이나 타이의 대모험 같은 만화나 여러 소설 등의 볼 수 있듯이, 인체에서 나오는 에너지마나 같은 것으로 표현될 때가 많다. 차크라, , 영력, 패기, 투기, 포스, 파문 등과 별 차이가 없게 표현된다.

물론 이런 왜곡은 아주 근거없는 왜곡이 아니라, 도가 계열 도사들이 비밀스러운 수련방식을 통해서 기를 단련한다는 둥 하는 행위에서 비롯된 왜곡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다 나중에는 단(丹), 한의학 따위도 모두 섞여서 무협소설에 나오는 기공 (氣功) 같은 이야기가 생긴 것. 도올 김용옥이 강의한 내용에 따르면 도가 내부의 기 개념도 형성 초기에는 "단련이 가능하다"는 식의 초능력 같은 것과는 거리가 멀었으며 여느 제자백가에서 논하는 기 개념과 전혀 차이가 없었다. 그러다가 남북조시대를 거쳐 불교가 융성하여 기존의 도교와 애증 비슷한 관계가 되고 인도의 차크라 개념이 수입되면서 이런 형태의 왜곡이 발생했다고 본다.[2]

그러나 기(氣)의 정의를 왜곡하는 데 가장 큰 공헌을 한 것은 바로 무협지....
보통 현대물 장르에서는 기가 희박해졌다거나 천문이 닫혔다거나 하는식으로 현대에 기공을 쓰지 못하는 변명짓거리를 한다. 당연히 앞뒤가 안맞는것이 실제 역사에서는 기를 이용해서 뭘 해본적이 없으니...[3]

일부 학자들은 혈관과 림프관 외에도 제3의 물리적 순환체계(일명 봉한관)가 생명체 내에 존재하고 있다 주장하며, 이것이 경락과 기의 실체를 밝힐 단서가 아닌가 하는 학설이 제기되었다. 하지만 대다수 학자들은 "재검불가능한 실험결과에 의지하는" 일부 학자들의 정신나간 가치없는 주장 정도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관해서는 봉한학설을 참조.

판타지 소설 등에서는 예전에는 기와 마나를 별개의 개념으로 놓는 경우가 자주 있었는데 요즘은 분류하기 귀찮은건지 하나로 통합하는 경우도 있다. 사실 분류하기가 귀찮다기 보다는 무협에서 판타지로 넘어온 주인공이 마법과 검 양쪽을 모두 사용하는 퓨전계열 먼치킨 작품이 늘어나면서 자연의 기운이라는 비슷한 개념을 가졌던 마나와 기를 통합시키는 현상이 대세가 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런 것들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해석할 만한 소양을 갖춘 작가들이 거의 없다 애초에 그럴 필요도 없으므로 괜히 양판소 쓰는 애들을 비하하고 우월감 느낄 필요도 없다

대전액션게임에서는 초필살기를 쓰기 위해 필요한 게이지를 통칭 "기"라고도 일컫는다. KOF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를 모으는 것이다

슈퍼전대 시리즈에서는 기를 사용해 메카도 만들어낼 수도 있다.(!)[4]

영기(靈氣; reiki)라는 개념에 대해서는 해당 항목을 참고.

1.1 기와 관련된 캐릭터 및 작품 일람

1.2 관련문서

2 旗, Flag

깃발을 의미하는 1음절 한자어.

국기의 이름 중에서도 '기'로 끝나는 이름을 가진 국기가 있다. (예: 태극기)

3 機, Machine

기계를 의미하는 1음절 한자어.

예 : 자판기

4 期, 깃수를 뜻하는 말

1기, 2기 등의 기가. 이것이다.

흔히 시즌을 한국식으로 말할 때 주로 사용되었다.

5 중국 기나라

해당 문서로.

6

십간

'몸 기'자로, 자기 자신을 의미하는 글자다.

십간(十干)의 여섯번째 글자이기도 하다. ex) 기묘사화
중국어로는 탄소가 6개인 화합물을 뜻하기도 한다. ex) 己烷

7

기(성씨) 문서로.

8

화학용어다. 작용기라든지..
히드록시기 R-OH, 카르보닐기 R-CO-R, 에테르기 R-O-R, 카르복시기 R-COOH, 포르밀기 R-COH, 에스테르기 R-COO-R ..하는 식이다.

9

Shan_Hai_Jing_Kui.jpg
중국의 전설 속의 동물
동해의 유파산(流波山)에 산다고한다. 생김새가 소와 비슷했으나 뿔이 없었고 청회색 몸에 발은 단 하나였다고한다.
자유자재로 바닷속을 드나들었는데 이 동물이 물 속을 드나들 때 마다 큰 폭풍우를 동반하였다. 또, 눈으로는 햇빛이나 달빛 같은 빛을 바하였으며 동시에 입을 크게 벌려 소리질렀는데 그 소리가 마치 천둥소리와 같았다고 한다.
발 하나 달린 이런 괴상한 짐승은 월(越)나라 사람들이 산소(山蔬)라고 했는데 사람의 얼굴에 원숭이 몸을 하였으며 사람 말을 할 줄 알았다고 한다. 이런 묘사의 차이는 설들이 서로 달랐기 때문이다.
황제와 치우가 싸울때 황제는 이 동물의 가죽을 벗겨 그 가죽을 말려서 북을 만들고, 뇌신의 뼈를 북채로 만들어서 치우의 군대를 혼비백산하게 했다고 한다.

왜란종결자에서도 마수로 등장했는데 은동에 의해 순살.

10

말탈 기, 기병이나 기사에서의 '기'가 바로 이 단어이다.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일본에서는 일종의 군사력을 나타내는 단위로도 사용되었다. 사무라이 1명당 대여섯명 정도의 수행원 및 사병들이 따라붙는 것을 '1기'로 쳐서 300기, 500기 이런 식으로. 이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도 이 기의 개념은 이어진다. 중세 유럽의 말 탄 기사 1명과 그에 따라붙는 종자의 구조와 비슷하다. 대하드라마 타이라노 키요모리등에서 이 기에 대한 묘사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11 에로게 혁염의 인가노크의 주인공 기

기(혁염의 인가노크)항목 참조.

12 풍래의 시렌 시리즈의 시스템

技라고 쓴다. 기(풍래의 시렌) 참고.
  1. 물론 불교의 불성이나 법신불 사상, 인도 우파니샤드 철학의 아트만-브라만(둘은 궁극적으로는 하나이다) 개념은 일원론적인 측면도 있다.
  2. 다만 김용옥은 인도철학에 굉장히 비판적인 사람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3. 대부분의 무협지 명작가들이 동양이 서양에 자근자근 밟힌 이후를 배경으로 쓰지 않는 이유를 제대로 고찰해본 적이 없다는 뜻이다. 이런걸 제대로 생각하는 작가는 아예 기가 있더라도 파워 인플레가 크지 않거나 하는 식으로 알아서 조절한다.
  4. 게키렌쟈 이전 작품인 광전대 마스크맨오성전대 다이렌쟈 역시 기의 비중이 큰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