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 일렉트로니카 프로젝트

이 문서는 우만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우만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의 내용을 꼭 숙지해 주세요.

1 프로젝트 목적

나무위키의 음악 관련 정보에 서술이 미비한 음악 관련 정보를 보강하고 이미 유명한 음악가 또는 음악의 설명을 더욱 깊이 있게 하고자 하는 나무위키 음악 프로젝트와 그 궤를 같이 합니다. 최근 대중적으로 가장 음악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장르임을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장르인 EDM을 포함한 일렉트로니카 장르에 관한 항목이 추가되어 다양한 정보를 쉽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신스팝과 EDM 또한 일렉트로니카 장르의 범주에 있으므로 두 장르 또한 이 프로젝트에 포함합니다.

2 참가자 서명

3 작성이 필요한 문서

3.1 장르

3.2 요소

  • 우블 베이스 - us 덥스텝 계열에서 사용되는 저음역대의 베이스. 사람이 울렁대는 소리와 유사하여 우블 베이스, 같은 맥락에서 yoi라고도 불리운다.

3.3 음악가

[[분류:일렉트로니카 뮤지션]] 분류를 개설하였습니다. 기존에 단순히 [[분류:DJ]]나 [[분류:록밴드]]로 분류하기 애매했던 뮤지션들은 [[분류:일렉트로니카 뮤지션]]으로 분류 부탁드립니다. 문서 최하단에 해당 분류를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물론 중복 분류도 가능합니다.

3.3.1 프로듀서/DJ

3.3.2 밴드

  • APNEA - 대한민국 출신 덥스텝 밴드
  • Dunderpatrullen - 스웨덴의 4인 일렉트로니카 밴드. 칩튠 위주의 사운드를 다룬다.[2]
  • Bossfight - 스웨덴의 2인 일렉트로니카 밴드. 칩튠 위주의 사운드를 다루며 세부장르는 위의 듄더패트룰렌과 같은 비트팝으로 오픈헥사곤의 대부분 공식 레벨팩의 곡을 담당했다.

3.4 음반사

3.5 관련 행사

4 편집 및 보강이 필요한 문서

현재 대부분의 프로듀서/DJ에 대한 문서는 단순히 발매한 싱글만 나열해 놓은 정도로 된 것이 많습니다. 아래 나열된 문서들 뿐만 아니라 다른 많은 문서들도 편집 및 보강이 필요한 상태이기 때문에 아래 나열된 문서를 제외한 다른 문서들에도 많은 기여 부탁드립니다.

또한 현재 대부분의 프로듀서/DJ에 대한 문서가 분류되어 있지 않습니다. 분류되지 않은 프로듀서/DJ에 대한 문서를 발견할 때마다 분류:DJ로 분류해주세요.

  • Cash Cash - 앨범과 멤버들에 대한 설명 없이 나열만 되어 있음.
  • Years & Years - 보강되긴 했지만 추가적인 보강이 필요함.
  • CHVRCHES - 멤버에 대한 한줄짜리 설명과 내한했던 정보뿐. 외 아무 정보 없음.
  • Au5 - 두 줄짜리 설명만 존재함.
  • Ultra Music Festival - 사진만 크게 있고 설명은 세줄뿐임. 또한 역사에 대한 풍부한 정보도 필요합니다.
  • 마크 론슨 - 기본적인 서술을 제외하고는 내용이 부족.
  • Global Gathering Korea - 2015년을 제외한 서술이 없음.
  • Tritonal - 설명이 빈약함.
  • Vicetone - 설명이 매우 빈약함.
  • R3hab - 설명이 매우 빈약함.
  • DVBBS - 설명이 빈약함.
  • W&W - 설명이 매우 빈약함.
  • Andrew Rayel - 단순히 작품을 나열한 것밖에 설명이 없음. 설명 빈약.
  • Galantis - 사진만 크게 첨부되어 있고 정작 중요한 설명은 빈약함.
  • Lucas & Steve - 설명이 빈약함.
  • Benny Benassi - 설명이 매우 빈약함.
  • DJ Chuckie - 설명이 매우 빈약함.
  • DubVision - 설명이 빈약.
  • Gareth Emery - 설명이 매우 빈약함.
  • Tobu - 프로그레시브 하우스와 멜로딕 하우스 프로듀서.
  • 하드스타일/아티스트 - 해당 문서에 나열된 하드스타일 아티스트 문서에 내용을 추가하여 독립시킬 필요 있음.
  • NoCopyrightSounds - 저작자의 원곡을 널리 알리기 위해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하에 출시하는 미국의 음악 단체
  • Proximity - 일렉트로니카 음악을 올려주는 유튜브 채널이다.
  • 하우스 룰즈 - 빈약한 설명 및 정보 갱신 없음.
  • 디플로 - 설명이 매우 빈약, 경력이 많은 프로듀서임에도 불구하고 디스코그래피조차 없음.
  • Don Diablo - 2015.10.30에 프로젝트 일환으로 작성된 문서지만 정보가 너무 부족해 토막글 상태.
  • Hudson Mohawke - 2015.12.09에 프로젝트 일환으로 작성된 문서지만 정보가 너무 부족해 토막글 상태.
  • Carl Cox-설명이 매우 빈약함
  • DJ BL3ND-설명이 매우 빈약함

5 프로젝트 성과

생성되었거나 보완된 문서는 날짜와 함께 아래에 적어 주세요.

5.1 프로젝트 시작 후 생성된 문서

  • Burial - 영국의 덥스텝 아티스트로 UK 덥스텝 열풍을 이끌어낸 장본인 중 하나. (2015.07.20)
  • Charli XCX - 영국 출신 신스팝 가수. (2015.08.02)
  • Years & Years - 영국의 신스팝 트리오. (2015.09.16)
  • OMFG - 글리치 장르를 작곡하는 아마추어 여성 프로듀서. (2015.09.17)
  • Major Lazer - 레게와 트랩을 결합한 뭄바톤 위주의 곡을 만드는 3인조 그룹. (2015.10.01)
  • DJ 소다 - DJ라기보다는 셀러브리티의 요소가 강하지만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더하기로 결정됨. (2015.10.01)
  • Kygo - 트로피칼 하우스 장르를 이끄는 프로듀서/DJ. (2015.10.06)
  • Robin Schulz - 펠릭스 잔과 함께 딥 하우스 장르를 이끄는 프로듀서/DJ. (2015.10.09)
  • KSHMR - 일렉트로 하우스와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프로듀서/DJ. (2015.10.17)
  • Bagagee Viphex13 - HEADLINER에 출연했던 한국의 테크노 프로듀서/DJ. (2015.10.20)
  • Oliver Heldens - 퓨처 하우스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도록 한 퓨처 하우스 프로듀서/DJ. (2015.10.21)
  • TheFatRat - SoundCloud에서 주로 활동중인 독일의 프로듀서/DJ. (2015.10.25)
  • Pegboard Nerds - 덥스텝과 글리치, 컴플렉스트로 등 여러 장르를 배합해 내는 프로듀서/DJ 듀오. (2015.10.29)
  • Paul Van Dyk - 동독 출신의 트랜스 프로듀서/DJ. (2015.11.01)
  • Imlay - 한국 출신의 퓨처 베이스 프로듀서/DJ. (2015.12.13)
  •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일렉트로 하우스, 딥 하우스 - 하우스의 하위 장르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장르 셋. (2015.12.17)
  • Angerfist - DJ MAG TOP 100 37위, 메인스트림 개버 씬에서 인지도가 매우 높은 프로듀서/DJ. (2015.12.17)
  • Shawn Wasabi - 미국의 미디파이터 프로듀서 (2016.01.02)
  • - Major Lazer의 3집 리드 싱글 'Lean On'을 피쳐링한 것으로 유명한 덴마크의 싱어송라이터. (2015.01.03)
  • 퓨쳐 베이스 (2016. 2.12)
  • Juventa - 네덜란드 출신의 트랜스 프로듀서. (2016.02.16)
  • 3LAU - 미국 출신의 매쉬업, 프로그레시브 하우스를 주로 하는 프로듀서/DJ (2016.02.17)
  • NIGHTKilla - 뉴그라운즈, 사운드클라우드에서 활동중인 덥스텝 작곡가. (2016.03.14)
  • Mako - 미국의 프로그레시브 장르 음악 프로듀서 (2016.03.28)
  • Rustie - 영국의 트랩, 퓨처 베이스 장르 음악 프로듀서 (2016.06.15)
  • Tchami - 프랑스 출신의 퓨처 하우스 프로듀서 (2016.06.19) - 보완 필요
  • DJ Snake - 프랑스 출신의 트랩 프로듀서 (2016.06.19) - 보완 필요
  • 레드푸 - LMFAO출신. 보완 필요
  • F-777 - 캐나다 출신의 일렉트로니카 (2016.8.9)
  • DJVI - 핀란드 출신의 일렉트로니카 (2016.8.28) - 보완 필요

5.2 프로젝트 시작 후 보완된 문서

  • Lindsey Stirling - 덥스텝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유튜버 겸 작곡가. (2015.10.10)
  • DJ MAG TOP 100 - 2015년 투표 결과 및 분석및 수정테러이 추가됨. (2015.10.18)
  • 리믹스 - 대체로 많은 보완이 이루어졌지만 아직 상당히 모자람. (2016.01.05)
  • The Chainsmokers - (2016.01.06)
  • Lemaitre - 각종 틀 디자인과 설명이 추가되었지만 아직 부족함. (2016.01.21)
  • 퓨처 베이스 - 내용 부족하여 보완함 (2016.02.27)
  • Hudson Mohawke - 내용 추가 (2016.4.13)
  • Proximity - 내용 추가 (2016.07.15)
  • xkito - 내용 추가,그러나 이미지 업로드 필요 (2016.7.27)
  1. 하위 장르인 트로피칼 하우스와 퓨처 하우스 포함
  2. 공식 장르 이름은 비트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