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장수IC

(남장수 IC에서 넘어옴)

틀:지정해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88올림픽선(동남원IC 접속도로)
동남원 방면
동남원IC 
18
남장수IC
폐쇄[1]

南長水交叉路 / South Jangsu Interchange

남장수나들목
다국어 표기
영어South Jangsu Interchange
한자南長水交叉路
번호
88올림픽고속도로18
관리기관한국도로공사
광주전남본부 남원도로관리소
88올림픽선 개통일1984년 6월 27일
88올림픽선 해제일2015년 11월 12일
접속도로
19번 국도(장수로), 743번 지방도

1 개요

파일:Attachment/namjangsu samgeori.png
둘 중에 도대체 무엇이 고속도로인가[2][3]

88올림픽고속도로의 18번 나들목이였으며, 명칭은 소재지인 장수군에서 유래하였다. 과거 개통당시에는, 장수 나들목이었으나 익산포항고속도로 장수 나들목 개통 과정에서 명칭이 현재의 남장수 나들목으로 변경되었다.

광주대구고속도로 나들목 문서 중에서 가장 먼저 작성되었고 나무위키의 고속도로 나들목 문서 중에서 두번째로 작성되었다. 첫번째는 덕천IC.

2 평면 교차로


남장수IC를 빠져나가는 장면. 이제는 이것도 추억이 됐다. 통행요금은 2500원이에요. 비싸요

시종점을 제외한 전국 최후의 고속도로 평면 교차로였다. 평면 교차로라는 말은 고속도로에서 신호등도 없이 눈치를 보며 좌회전을 한다는 말이다. 엄밀히 말하면 고속도로 진입부, 그리고 고속도로 본선 중 나들목을 앞둔 전방에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긴 했다. 물론 둘 다 적색, 녹색 대신 황색만 점멸하는 것들. 대신 본선 삼거리 상에는 신호등이 없다. 물론 고속도로 기종점도 아닌 본선 상에 신호등이 있다는 것 자체도 하나의 코미디이긴 하다. 다만 실제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계양IC, 중동IC 등의 경우 엄청난 교통량 때문에 진입조절을 위한 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다. 과거 2002년 이전 영동고속도로가 2차선이던 시절 대관령 넘자마자 바로 아래의 성산교차로(여기도 삼거리다)에도 신호등이 있긴 했었다. 해당 구간이 456번 지방도로 격하되면서도 그 구간은 그대로 남아있다.[4]

파일:Attachment/88올림픽고속도로/88flatic.jpg
대구방향 나들목 표시도 왼쪽으로 되어 있다. 사진에선 차들이 거의 없지만, 실제로는 톨게이트에 진입하려면 수많은 차량행렬이 끝나기만을 기다려야만 하고, 워낙 추월구간이 없다가 갑자기 나들목에서 차선이 늘어난것을 보고 흥분한 운전자가 진입차선으로 추월하다 진입을 기다리는 차와 서로 후방추돌 하는 경우도 있다. 현재 대구방향 도로는 폐쇄되었고, 대구방향 표지판의 직진 표시는 막혀 있다.

파일:Attachment/88올림픽고속도로/88-Namjang.jpg
광주방향

88올림픽고속도로 건설 당시에만 해도 정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연선의 인구가 적거나 수요가 적다고 예측되는 지역은 왕복 2차선 고속도로로 건설하였다. 왕복 2차선 고속도로 구간 중에서도 교통량이 많지 않은 구간에는 건설비 절감을 명분으로 간이 나들목을 평면 교차로 형태로 많이 만들었다. 이러한 평면 교차로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많았다. 호남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구 구마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등에 평면 교차로가 있었다. 1970년대에 건설한 영동고속도로에는 이목정 교차로라 해서 고속도로에 '대놓고' 십자형 평면교차시설(사거리)도 있었고, 동해고속도로도 확장 전의 나들목이 강릉IC를 제외하고는 죄다 삼거리 혹은 사거리였다. 이건 현재 남아있는 구 동해고속도로 구간을 이용해 보면 안다. 진출입로가 그대로 다 남아있으니까. 호남고속도로에는 1990년대 중반까지 비포장도로(실은 국도구간으로, 1980년대는 시골지역 도로 포장률이 낮았다.)와 교차하는 IC도 있었고 구마고속도로는 평지 구간도 불량한 선형에 사거리도 더 흔했다. 게다가, 구마고속도로 구지 교차로(현 현풍JC)는 4색신호등에 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횡단보도까지 있었다. 지금은 지방도, 국도, 일반도로로 격하되거나, 폐도 처리 또는 철거되었지만 2015년 9월까지도 남장수IC만 개량이 아직 되지 못했다. 같은 88올림픽고속도로 구간인 가조 나들목도 평면 교차로였으나, 그나마 이쪽은 한 번 시설개량을 하여 출구를 양방향으로 뚫어놓았고, 2015년 7월 온전한 트럼펫형 나들목으로 이설을 완료하였다.

이 나들목의 앞뒤로는 난코스의 연속인 구간이기도 하다. 대구 방향으로 요천을 건너 사치재를 넘는데, 급경사와 언덕길이 기다리고 있다. 사치재 정상 부근에는 선형 개량 공사로 교통상황이 나쁘므로 안전운전을 하자. 광주 방향으로는 그나마 평화롭지만 5km 정도 가면 나들목 공사로 급격한 언덕길이 있으며, 노면 상태가 좋지 못하다.

3 이설

2015년 11월 10일 새로 생기는 동남원IC로 이설이 예정되었다. 그러나 공사 문제(...)로 연기되었다가 마침내 11월 12일, 정오에 국내 최후의 고속도로 평면교차로인 남장수IC가 19번 국도의 교차로로 변경되면서 남장수IC의 명칭 역시 논실삼거리로 변경되었다. 이후 광주대구고속도로의 18번 나들목은 광주방향으로 옮겨져 Y자형의 동남원IC로 재개통되었다. 요금소는 기존선 구간을 활용하여 공사를 했으며 확장공사 후 나머지 기존선 구간은 743번 지방도로 격하되었다. 2015년 12월 22일 광주대구고속도로로 새로 확장개통한 구간은 기존선 상에 위치한 삼거리를 거치지 않고 광주에서 대구방향으로 가다가 보이는 번암교라는 크고 아름다운 교량을 지난다. 현재 옛 남장수IC 톨게이트는 철거되었으며, 남장수IC에서 대구 방향은 막혀 있는 상태다. 그리고 언제 그랬냐는 듯이 옛 요금소와 구도로 주변은 파란색의 국도 안내번호 표지판이 깔리는 등 그냥 일반국도처럼 변했다.

4 유사 시설

여주국도대체우회도로(37번 국도42번 국도 중첩)에는 월송교차로라는 사람을 낚는 교차로가 있다. 축척을 작게 하면 입체교차로처럼 보이지만 잘 보면 평면교차하는 사거리이다. 충청남도 공주시 월송동에도 월송교차로가 있지만 진짜 입체교차로다.

열도에는 남장수IC의 분기점버전인 비조기 분기점이 있다.

29번 국도에는 남장수IC 국도버전인 쌍봉교차로가 있었다. 국도에는 널린게 삼거리 아닌가[5] 특히나 보성 방향으로 주행중이라면 삼거리 직전에 내리막이 계속되기 때문에 더욱 과속하기 쉬웠다. 그 와중에 신호까지 걸리기 때문에 사고나기 딱 좋은 입지. 그리하여 개선 요구가 끊이지가 않았으며, 결국 좌회전이 금지되었다.

5 접속 노선

  1. 추후 743번 지방도로 편입될 예정이다.
  2. 모르는 사람을 위해 알려두자면 아래가 고속도로이다(...)
  3. 사실 눈썰미가 좀 있는 사람이라면 바로 찾을 수 있다. 고속도로에 민가나 농기계 창고가 붙어있을 리는 없으니...
  4. Daum 지도 참조
  5. 사실 왜 그러냐면, 화순에서 보성까지, 속칭 화보로 구간은 거의 자동차전용도로급의 스펙을 가지고 있으며, 화순, 능주, 석정, 이양, 송정IC 등 거의 입체교차 시설을 지어놓았는데, 어째선지 이 빌어먹을 쌍봉교차로만 삼거리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