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죽

(단팥죽에서 넘어옴)

800px-Korean_red_bean_porridge-Patjuk-01.jpg
(위의 이미지는 부산시장에서 파는 팥죽)

1 개요

badger
호랑이님이 극혐합니다.
을 주재료로 해서 만든 .
비단 한국 뿐만 아니라 옆나라 일본과 중국, 심지어 베트남에서도 만들어 먹으며, 쩨(chè)라는 팥죽 비슷한 것이 존재한다. 국어적으로 단팥+죽인줄 알지만 단+팥죽이다. 단팥으로 만든 죽이아니라 팥죽이 달다는 뜻인셈. 동짓날 귀신과 액운을 쫓아내기 위해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우리나라 번역의 구약 성서의 창세기에서는 야곱의 형인 에서가 자신의 장자권을 이 팥죽 한 그릇과 빵 한 조각에 야곱에게 팔아버렸다는 대목이 있다. 다만, 영문 성서에서는 팥죽이 아니라 lentil stew(NIV), pottage of lentiles(KJV). 즉 렌즈콩 스튜라고 되어 있다. 팥죽이 된건 중국을 거치면서 중역된 초기 번역의 흔적이다.

2 한국의 팥죽

동지 섣달 먹는 한국의 전통음식으로 찹쌀을 동그랗게 빚어 만든 새알이 들어갈 때도 있다.[1] 옹심이, 옹시래미라고도 하는데 이는 경기 방언이다. 새알심이라고도 하며 나이수에 맞는 개수를 한개당 나이수에 맞게 씹어야 복이 잘 온다고 한다.100살이면 100개를 100번씩 10,000번 씹어야한다

흔히 달달한 단팥죽을 떠올리지만 팥죽을 달게 먹는 것은 우리 식문화가 아니다. 전통적으로 한국의 팥죽은 안 달게, 소금간을 해 배추김치, 물김치를 곁들어 식사 대용으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구한 말부터 일본인 거류민들이 많았던 군산이나 부산 지역에서 유행하던 일본식 팥죽이 단맛을 좋아하는 젊은 세대의 입맛에 맞아 현대에는 전통 팥죽을 대체한 것이 지금의 팥죽[2]. 아직도 경북 내륙 지방에선 윗 세대로 갈수록 동짓날이면 짠 팥죽을 먹는 경향이 더 두드러지며[3] 개항을 통해 일찍부터 설탕이 풍족했던 군산을 비롯한 전북 서부 지역은 단팥죽을 많이 먹는다. 물론 과거에도 을 넣어 단팥죽을 만들기도 했다.

바리에이션으로는 일반 팥죽보다 달짝해서 간식으로 치는 단팥죽과 새알대신 이 들어간 밤팥죽, 쌀대신 국수를 넣은 팥칼국수 등이 있다. 팥죽을 먹을때는 항상 새알심파, 칼국수파, 밥알파가 대립하곤 한다.

조리법은 거의 유사하지만 단팥죽은 설탕을 넣어 간을 하고, 그냥 팥죽은 소금으로 간을 한다. 이 과정에서 단팥죽은 더욱 되어지고[4], 그냥 팥죽은 더욱 질어진다.[5] 사실 간을 하는 방법으로는 소금을 넣으면 본연의 단 맛을 부각시키기 때문에 덜 질리고 더 간간한 맛이 나지만 간식용으로는 아무래도 단팥죽이 맛있다. 그 외에도 단팥죽에는 팥껍질을 걸러내고 그냥 팥죽에는 껍질도 갈아넣는 등의 마이너한 차이가 있다. 일본에서는 주로 단팥죽을 먹고, 중국에서는 경우에 따라 2가지 형태를 다 먹지만 다른 잡곡과 섞여 식사용으로 납팔죽 처럼 먹을 때는 그냥 팥죽의 형태로, 디저트로 먹을 때는 단팥죽의 형태로 먹는다.

동지 섣달에 팥죽을 먹는 이유는 팥이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힘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6] 옛날에 죽 뿐 아니라 팥을 뿌리기도 하였다. 그 때문에 각종 동양권 매체에서 귀신을 잡을때 팥을 뿌리기도 한다. 아무래도 소금보다 효력이 좋은지, 비전문가는 안 던지고 전문가들이 자주 쓴다.

그 기원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처용가에서 유래한다. '술 먹고 집에오니 사람모양 다리가 4개 있는데 두 다리는 내것인데 두 다리는 누구꺼임?' 하는 그거 맞다. 역귀(본래는 질병을 일으키는 귀신이나 당시 정황 상 아라비아 상인으로 추정된다.)가 처용이 나간 사이에 집에 은근슬쩍 들어와 아내와 검열삭제중에 처용에게 들키자 용서를 구하는데 처용의 얼굴과 자신이 두려워하는 팥죽을 보면 그곳에 얼씬도 하지 않겠다고 맹세한다. 여기서 나온 유래가 동지날에 팥죽이고 이 때부터 '귀신은 팥을 무서워한다' 라는 이야기가 나왔다고 한다. 정황상 그 아라비아 상인이 입맞에 맞지않는 팥을 무서워 한 것이겠지만...

그 외에도 어느 한 아들이 죽어서 역병 귀신이 되자, 그 아들의 아버지가 아들이 생전에 팥죽을 싫어했으니 문 앞에 팥죽을 뿌리라고 조언해서 귀신을 쫓아낸 이야기가 있다.

참고로 동지가 음력 11월 초순에 들어가면 애동지(아기동지/오동지)라 하는데 애동지에는 어린아이가 있는 집은 팥죽을 쑤지 않고 팥을 넣고 시루떡을 해 먹는다고 한다.

도깨비는 팥죽을 싫어한다는 이야기가 만화 꼬비꼬비 때문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는데[7] 사실은 지역마다 달라서 팥죽을 좋아하는 도깨비도 존재한다. 반대로 도깨비를 회유하는 음식이 필요하면 메밀묵이라고 작중 소개되고 있다.

죽 계열이 늘 그렇듯 조리 중 잘 젓지않으면 눌어붙고 눌은 냄새가 배기 마련인데, 학교 급식의 경우 종종 너무 깊은 솥으로 인해 눌어붙음이 발생한데다가 레시피가 괴상해지면 담배냄새 비슷한 냄새가 남곤 한다. 연성

광해군이 좋아하던 음식이라 카더라

2.1 조리법

팥죽/요리법 참조

3 일본의 팥죽

800px-Oshiruko_with_genmai_mochi.jpg

일본에서는 '시루코(汁粉, しるこ)'라는 팥죽이 존재하며, 팥을 으깨어 죽을 달게 끓인 뒤, 안에 떡을 넣어서 담아낸다. 떡 외에도 밤조림이나 찹쌀만두 등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시루코의 조리법은 팥을 가공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종류로 나뉘며, 주로 팥을 완전히 으깨거나, 성기게 으깨어 최대한 팥의 원형을 남기는 방식으로 조리한다. (쯔부, 코시으로 구분된다.)

시루코와 비슷한 음식으로, 시루코보다 물기가 적은 '젠자이(善哉, ぜんざい)가 있다. 서부지방에서는 팥죽의 사투리로 여기지만, 오키나와에서 젠자이란 간 얼음에 설탕에 졸인 강낭콩을 올리고 모치와 연유 등을 얹은 팥빙수와 비슷한 음식을 의미한다.

한국과 마찬가지로 겨울에 주로 많이 먹으며, 일본의 경우는 보통 우메보시(매실장아찌)나 시오콤부(소금 뿌린 다시마) 같이 시고 짠 반찬과 같이 제공되는데, 그 이유는 일본의 시루코는 한국의 팥죽과 달리, 굉장히 달다. 그 때문에 쉽게 질리게 되므로 이를 막기 위해 시고 짠 음식으로 미리 입가심을 해두는 것이다.

4 중국의 팥죽

800px-Redbeansoupdessert.jpg

중국에는 '홍두죽(紅豆粥 hóngdòuzhōu)'이라는 것이 존재하며, '당수(糖水, tángshuǐ)'라는 따뜻하고 달콤한 죽 요리의 한 종류로 분류된다. 보통은 겨울에 따뜻하게 해서 먹지만, 여름에는 일본의 젠자이처럼 차갑게 해서 먹거나, 남은 팥죽을 얼렸다가 아이스크림처럼 먹기도 한다.

중화요리 중 광동 요리 음식점에서는 저녁식사 후 주로 먹는 디저트로 나오며, 대부분 별다른 첨가물 없이 제공하지만, 간혹 야자수나무 열매에서 녹말을 뽑아 만든 '사고'라는 것과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홍두죽에 주로 넣는 감미료로는 편당(片糖) 또는 돌설탕(rock sugar)을 사용해서 만든다. 또한 이나 오렌지의 껍질을 얇게 잘라서 넣고 같이 끓이기도 하는데 의외로 상큼한 시트러스 향이 달달한 팥죽과 무척 잘 어울려서 맛있다.

5 관련 문서

  1. 호불호가 갈린다.
  2. 물론 한국식 단팥죽을 일본 단팥죽으로 볼 순 없다. 새알이 있는 기존 한국 팥죽에 간만 달게한 것이 한국 단팥죽으로 나름 퓨전 스타일인 셈.
  3. 어린 시절 할머니가 쑤어주신 팥죽의 짠맛과 텁텁함에 질색했던 위키러들도 많을 것이다.
  4. 좀 더 팥앙금처럼 깔깔하게 느껴진다.
  5. 의 풀기가 다 풀어지도록 넣으면 아예 팥국 비스무레 하게 된다(...)
  6. 정확하게는 팥이 붉은 색이기 때문에 쓰인 것이다. 도깨비가 붉은 색을 두려워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7. 심리적으로 무서워하는게 아니고 묘사를 보면 팥죽이 거의 방사능 폐기물 수준정도로 도깨비를 약하게 만들어서 무서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