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 |||
급행버스 | 순환버스 | 간선버스 | 지선버스 |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 |||||||
급행1 | 급행2 | 급행3 | 급행4 | 급행5 | 급행6 | 급행7 | 급행8 |
1 개요
2006년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도시철도가 다니지 않는 외곽과 시내 중심부 혹은 다른 외각을 빠르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버스는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고 100% 좌석버스로 이루어져 있다. 간선버스, 순환버스, 지선버스와 달리 요금이 조금 비싸며 다른 노선에서 내려 급행버스로 환승하면 추가 요금이 차감된다.[1]
2 특성
노선명에 급행이 적힌 모든 노선으로 대구의 한쪽 끝에서 도심을 경유해서 반대 끝을 급행으로 운행하는 버스이다. 일반, 좌석 통합요금제로 좌석간선이 사라진 지금 현재 유일한 좌석버스로 한 노선 당 승차장은 20개 내외로 러시아워나 상습 정체구역이 아니라면 확실히 빨리 간다. 해당 정류소만 정차가 가능하다. 요금이 일반 버스보다 비싸니(현금 1600원, 카드 1450원) 주의해야 한다. 2006년 급행버스 도입 때는 급행전용노선안내판을 따로 설치했으나, 2009년경 모두 철거되었다.
준공영제를 실시하고 시간이 지난 후에도 급행 노선을 5개나 신설한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달리 2006년 개편 이후 급행노선 신설이 없다가 2012년 10월 20일 급행4번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급행 노선이 적은 관계로 좌석버스 신차의 경우 상당히 적은 편이다. 그런데 외곽지역이 점점 개발되면서 급행노선의 중요성이 커지자 도리어 일반버스 차량을 좌석버스로 개조하고 급행노선에 투입하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2015년 개편으로 1개의 간선노선이 급행으로 형간전환되고 3개의 신설노선이 생기면서 좌석버스의 비중이 지금보다 늘어났다. 현재까지 대구시의 급행노선은 급행1부터 급행8까지 8개이다.
또한 급행 노선이 늘어남에 따라 기존에 급행버스를 운행하지 않던 세운버스, 광남자동차, 신진자동차, 우진교통, 경북교통이 급행 노선을 가지게 된다. 이중 신진자동차와 우진교통은 기존 노선에 참가하는 방식으로 급행을 운행하게 되었다.[2][3]
거기다 차종은 고급차량 팍팍 넣어주는 부산과는 달리 여기는 그런것도 없다. 고급차량이라곤 아예 없는 수준. 전차량 도시형버스 좌석형을 넣는다. 특히 대우차는 좌석간격이 매우 좁은지라 더욱 최악. 여기가 생각나는 것은 기분 탓인가...[4]
2.1 요금
유형 | 현금 | 교통카드 |
일반(19세 이상) | 1600원 | 1450원 |
청소년(13~18세) | 1200원 | 1010원 |
어린이(6~12세) | 800원 | 650원 |
하지만 2006년 이후로 급행버스가 필요한 지역이 많은데도 더 이상 신설하지 않고 있다가[5] 2012년 10월 20일 개편으로 급행4번이 신설되었다. 필요한 지역이 많아져서 2015년 8월 대개편 이후로는 급행8번까지 급행노선이 신설되었고 급행3번은 처형을 유예받았다.
3 목록
번호 | 기점 | 경유지 | 종점 | 배차(분) | ||
평일 | 휴일 | |||||
급행1 | 동화사 | 이시아폴리스 · 아양교역 · 2.28공원 · 서구청 · 대구의료원 · 계대동문 | 다사 | 13분 | 13분 | |
급행2 | 대일리 | 수성못오거리 · 반월당 · 무태네거리 · 북구구민운동장 · 칠곡그린빌2단지 | 칠곡경대병원 | 11분 | 12분 | |
급행3 | 범물동 | 법원 · 대구중앙고 · 2.28공원 · 서문시장 · 북구청역 · 팔달시장 · 태전삼거리 | 동명 | 11분 | 12분 | |
급행4 | 달성2차산단 | 대구과학관 · 유가면사무소 · 성요셉요양병원 · 북리 · 상리공단 · 논공읍 · 화원고 | 대곡역 | 15분 | 19분 | |
급행5 | 성서산단 | 대구의료원 · 중구청 · 망우당공원 · 반야월시장 · 안심역 · 대가대 | 대구대 | 11분 | 12분 | |
급행6 | 대천동 | 본리네거리 · 성당못역 · 반고개 · 시청 · 경대북문 · 이시아폴리스 | 봉무동 | 11분 | 15분 | |
급행7 | 칠곡3지구 | 대구과학대 · 태전역 · 해랑교 · 계대동문 · 모다아울렛 | 대곡지구 | 22분 | 25분 | |
급행8 | 유곡리 | 유곡사거리 · 용봉공단 · 대구과학관 · 진아리채 · 삼성레미안 | 대곡역 | 20분 | 20분 |
- ↑ 예를 들어 성인 1명이 간선버스 706번를 타고 중앙로역에서 급행버스를 제외한 다른 종류의 버스로 환승했을 경우에는 추가 요금이 발생하지 않으나, 급행2번을 탔을 경우 추가 요금 350원이 차감되는 것이다. 물론 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당연히 환승혜택이 적용되지 않는다..
- ↑ 이들이 새로 맡은 급행1, 3은 각각 신흥버스, 동명교통 대신에 참여하는 것. 동명의 급행3은 단독 배차였지만 공차거리를 줄이고자 참여한다.
- ↑ 참고로 2006년 개편 계획안에서는 당시 모든 회사가 가지고 있던 좌석버스 차량을 처리할 방법이 없자 급행노선에 한해 공동배차를 유지하는 방안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당시에는 좌석버스 출신 간선노선을 좌석간선으로 구분하기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그런데 그 좌석간선은 개편후 8달만에 전부 일반간선으로 변경된다.
- ↑ 다만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의 급행버스가 차급은 좋은 대신 요금이 대구보다 더 비싸다는 점은 감안해야 한다. 차량 출고시 좌석 간격만 조정하면 될 듯하다.
- ↑ 안심(혁신도시) 지역, 월배(앞산터널 구간) 지역, 대구테크노폴리스 지역 등이 필요한 케이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