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 |||||||
급행1 | 급행2 | 급행3 | 급행4 | 급행5 | 급행6 | 급행7 | 급행8 |
▲동명교통 급행7번 2665호 칠곡그린빌2차. 아래 과속주행영상에 나온 차량이 이 차량이다. 저작자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급행버스 급행7번 | |||||
기점 | 대구 북구 구암동 (칠곡그린빌2단지) | 종점 | 대구 달서구 대곡동 (남도버스)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25 | 막차 | 22:45 | ||
평일배차 | 23분 | 주말배차 | 26분 | ||
운수사명 | 동명교통 | 인가대수 | 7대 | ||
노선 (주요경유지) | 칠곡3지구 - 태전역 - 매천시장 - 와룡대교 - 서재리[1] - 계명문화대학 - 모다아울렛 - 대천교 - 남도버스 |
2 개요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신설된 동명교통의 급행버스 노선으로 대구광역시 북구 구암동에서 출발하여 달성군 방천리를 거쳐 달서구 대곡동까지 운행하는 대구시내버스다.
3 역사
- 2015년 8월 1일 신설된 급행버스로, 달서대로를 관통한다.
- 2015년 12월 8일부터 남도버스 차고지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 그러나 급행7번처럼 진천남네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남도차고지에 진입하는 성서2번과 달서5번은 교통사고 우려를 이유로 이 정류장에 안 선다.
뭐야? - 2016년 3월 18일부터 장태실마을 정류소에 양 방향으로 정차가 가능하도록 추가되었다. 따라서 장태실마을 정류소도 양 방향 정차한다.
4 특징
원래는 직행1번[2]으로 구상되었던 노선이나, 모종의 사유로 인해 급행버스로 전환되었다.
교통이 열악했던 금호지구를 경유하고 와룡대교를 건너 성서까지 빠르게 연결해 주는 효과가 있으며, 달서대로를 관통한다. 대구 강북 지역과 성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527번이 있지만, 팔달시장을 경유하는 관계로 한참 돌아서 간다는 단점이 있다. 대신 이 노선은 달서대로를 관통하므로 방천리와 서재리, 그리고 계대동문 및 성서산단 서편을 거쳐 칠곡과 대곡을 바로 잇는다. 방천리공영차고지를 유이하게 넘나드는 노선이지만[3] 정작 방천리공영차고지는 정류소로 지정되지 않았으며, 무정차 통과한 후 와룡대교 북쪽 끝의 수녀원에 정차한다.[4] 따라서 금호지구에서는 이쪽에서 약간 굴곡이 있으며, 아파트 단지가 수녀원 북쪽에 있는지라 상기한 장점과 달리 금호지구는 동편 끄트머리에 사실상 수박 겉 핥기로 지나간다. 금호지구에서 정차하는 정류장도 와룡대교 북단의 수녀원입구 정류장과 장태실마을뿐이며, 그 외에 북구4번이 중간에 진입시 비보호로 대기하는 굴곡 구간인 문주마을입구(남경LPG충전소)도 보란 듯이 쌩 통과해 버린다. 외곽 지역을 오가니까 다른 급행버스 노선들보다 수요가 적다고 생각했는지, 배차간격이 길고 아름답다.(...) 실제로 대부분 경유하는 곳이 주거지나 쇼핑몰같은 대수요처가 있는 게 아니라, 공단이나 그냥 도시 교외권이다. 칠곡에서 계대로 가는 통학 수요나[5] 성서산단 통근 또는 서재리에서 대부분의 수요가 발생하고 있다. 정차하는 정류장이 없지만 시내버스가 평소에 지나가지 않았던 대천교 이북 직진 구간으로도 다니며, 이 코스의 일부는 650번이 가스 충전을 하러 성산리 및 구라리에서 공차회송을 다니는 구간이다. 방천리공영차고지와 달리 대천동공영차고지에는 양쪽 모두 정차한다.[6]
실제로 계대 개강일인 9월 1일 이후 등하교 시간에 포화 상태로 기사가 뒷문으로 승차하라고까지 말할 정도로 엄청난 수요를 보이고 있다. 자연히 527번과 3호선의 수요는 분산된 듯. 당연하게도, 칠곡에서 527번을 타면 계대까지 1시간 30분 걸리던 것이 50분으로 단축됐다. 거기에다가 아침에 팔달교와 시내 정체를 생각하면, 절반 이상 단축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가히 신세계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놈의 배차간격 때문에 527번은 대구 버스 수요 5등이다. 즉, 분산 효과가 떨어진다는 것. 이로 인해 증차가 필요하다는 말이 꽤 많으나, 대곡차고지의 포화로 인해 당장 증차하기 어려운 상태다.
저녁에 타면 와룡대교의 아주 멋진 야경을 볼수가 있다.
2015년 12월말 시행한 시간표 단축으로 대곡에서 칠곡까지 시간을 정확히 한 시간만 준다. 급행7번 주행영상 이 영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대천교(대천동공영차고지)에서 세원정공(계명대역)까지 4.1km 구간을 4분 30초 만에 끊어 준다! (표정속도 53.3km/h. 신분당선 표정속도보다 빠르다) 그래서 누구 못 지 않게 스릴 넘친디
시간표 변경이 자주 일어나는 노선이다. 가끔 가다 꽤 혁신적인 시간표를 보여주기도 한다. 한때 칠곡방면 막차가 22시 51분(!)에 있었다. 시간표를 개정하면서 막차시간을 조정한 것인데, 중간종착 스킬을 이용해 대구과학대학 정류장에서 23시 30분에 끊는 방법으로 막차시간을 늦게 만든 것. 그런데 이렇게 하면 대곡에서 칠곡까지 운행시간이 겨우 39분밖에 안 된다. (남도버스에서 대구과학대학까지 거리는 21km. 표정속도는 32km/h(...). 대구 1호선 표정속도 보다 빠르다 막차시간이라 사람이 없긴 하지만 불가능하다.) 덕분에 종점에 5분 연착하는 일이 매일 일어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회사에서 운행시간표에 불만이 많았는지 22시 51분 발을 22시 45분 발로 수정했다. 따라서 막차시간 한정으로 배차간격이 15분이 되었고, 운행시간에 조금이나마 숨통이 트였다. 그럼 이 노선도 22시 30분 이후 막차를 돌려내라!
4.1 문제점
대천동공영차고지에서 대곡 방향으로 가는 급행7번에서 진천역 방향으로 가는 609번, 836번, 월배기지 방향으로 가는 달서1번, 급행6번과의 환승이 불편하다는 것. 이들은 유천동포스코더샵아파트 혹은 월배기지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급행7번에서 내린 그 자리에서 저 버스들과 환승은 불가능하고, 한 정류장 정도를 걸어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반대편 칠곡 방향으로 가는 버스의 경우 저 버스들에서 내린 자리, 즉 대천동공영차고지 건너편인 성서4차산단 정류장에서 바로 급행7번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2016년 3월 25일 대천차고지 출발 전용 정류장이 신설됐기 때문에 대천교에서 대천출발 정류장으로 가면 그만이므로, 이 불편은 어느 정도 해소될 듯.
무엇보다 가장 큰 단점은 그놈의 배차간격.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하면 수요가 없을 수밖에 없더라도, 출퇴근 시간대의 배차조차도 지나치게 길어 증차 민원이 꾸준하다.동명교통 : 하라는 증차는 안 하고
하지만 당장 급행7번을 증차하기가 어려운 게, 대곡차고지의 포화 때문이다. 안그래도 포화 상태에 이르고 있는 대곡차고지인데, 726번을 또 1대 증차하는 바람에 대곡차고지가 자꾸 좁아지고 있는 것도 급행7번을 증차하자니 크게 걸리적거리는 점이다.[7] 그나마 2016년 1월 5일에 왕복운행 시간을 단축해서 배차간격을 1분(..) 줄였다. 이 때문인지 527번은 3호선 개통은 물론이고 급행7번이 있어도 성서-칠곡 간 수요를 휩쓸고 다니고 있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대곡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계명대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매천역, 태전역, 칠곡운암역
- ↑ 서재금봉타운, 건영캐스빌
- ↑ 초안에서는 직행2번으로 구상되었다.
- ↑ 나머지 하나는 1일 5회 운행 중인 성서3번 팔달시장 지원운행 노선. 단, 성서3번도 방천리공영차고지에 정차하지 않으며, 상리동CNG충전소에 정차한다. 방천리공영차고지 시종착 노선들은 그 동안 서재리 방면 아니면 가르뱅이/비산염색산단 방면으로 가기만 했지, 차고지 경유 후 상대편 지역(북구)으로 넘어가는 노선은 이게 최초다.
- ↑ 방천차고지 정류장은 차고지착발 노선들만 승하차가 가능하다.
- ↑ 대곡 방면 통학 수요는
배차간격이 거의 비슷한성서2번 등에 밀려서 거의 없는 편. 의외로 월배에서 성서2번은 이용률이 높다. - ↑ 정확하게는 대천교(대곡방향)/성서4차산단(칠곡, 서재방향) 정류장이다.
- ↑ 실제로 남도버스가 7년 만에 새로 투입할 706번 저상버스 신차의 작업을 다 마쳤는데, 급행7번 차량 때문에 뒷유리창이 날아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