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목록
- 하위 문서 : 대구 버스 서구1/논란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번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공영차고지, 경신교통)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공영차고지, 경신교통)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15(휴일 22:19) | 막차 | 22:15(휴일 22:19) | ||
평일배차 | 15분 | 주말배차 | 17분 | ||
운수사명 | 경신교통 | 인가대수 | 10대 | ||
노선 (주요경유지) | 방천리 - 중리네거리 - 북부정류장 - 평리1동주민센터 - 이월드후문 - 서부정류장 - 죽전네거리 - 방천리 |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서구1-1번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공영차고지, 경신교통)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공영차고지, 경신교통)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15 | 막차 | 22:15 | ||
평일배차 | 15분 | 주말배차 | 19분 | ||
운수사명 | 신흥버스 | 인가대수 | 10대 | ||
노선 (주요경유지) | 방천리 - 죽전네거리 - 서부정류장 - 이월드후문 - 비산초교정문 - 북부정류장 - 중리네거리 - 방천리 |
2 개요
대구광역시의 순환형 지선버스.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를 출발해 서구 내당동 내당역네거리를 경유, 다시 달성군 방천리공영차고지로 순환한다.
업체는 경신교통이 서구1번을, 신흥버스가 서구1-1을 운행한다.[5]
3 역사
- 2015년 8월 1일 부로 시행되는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됐다.
- 2016년 2월 13일부로 서구1, 서구1-1 각자 1대씩 감차되어 다른 노선에 증차됐다.
- 2016년 3월 21일 부로 가르뱅이(상리동종점)에서 방천리공영차고지(경신교통)로 연장했다. 운행 방식은 234번과 동일하다. 관련 게시물
4 특징
가르뱅이 종점은 상리동 종점의 순 우리말이다.
대구광역시의 지선버스 중 서구에서는 최초로 만들어졌다.
노선의 선형을 보면 알겠지만 452번[6], 805번[7], 202(-1)번[8], 400(-1)번[9], 420(-1)번[10], 달서4(-1)번[11] 등 노선 개편으로 폐지되거나 운행 구간을 맞바꾼 노선들의 경로를 서로 짜집기하여 운행하고 있다. 개편 때에는 452번의 서구 구간 대체노선으로 명기했다.[12] 따라서 서구1, 서구1-1 둘 다 대구 버스 역사상 버스가 최초로 다니는 경로나 자신만의 고유 구간은 거의 없다.
서대구공단에서 와룡로, 죽전역을 빠르게 연결해 주는 노선이고, 성당시장과 파도고개로, 내당역에서 평리동과 비산동을 연결해 주는 유일한 노선이다.[13] 그리고 비산동/원대동에서 3공단으로의 출퇴근 셔틀버스 및 순환3(-1)번의 백업 역할, 장기지구~안지랑역 구간 구 805번 구간의 백업 역할을 한다.
비산동우체국 앞 삼거리에는 교통섬과 중앙분리대가 있어 452번이 그러했듯 평리2동주민센터~북비산네거리 구간에서 서구1번은 비산동우체국에서 문화로(비산6동주민센터)로 우회전하고, 서구1-1번은 비산초등학교 정문으로 편도 운행하여 세븐일레븐이 있는 곳에서 우회전한 후 북비산네거리로 간다.[14] 서구1-1번의 평리1동주민센터네거리 - 비산초교 정문 구간은 옛 마을버스 2번의 구간이기도 하다.
서구1번은 저상버스로 파도고개를 올라가는 위엄을 보여 주고 있다. 이 곳의 경사는 상당히 가파른 편이어서 개편 전에는 내리막길(성당시장 → 내당역 방향)에 주로 저상버스를 투입했는데, 웃긴 건 정작 파도고개 내리막길로 다니는 서구1-1번은 425번 출신의 2007년식 구형 저상버스 딸랑 1대만 들어간다.(...) 무엇인가 뒤바뀐 것 같다.
5 문제점
워낙 문제점의 항목이 많아 하위 문서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이런 임팩트가 큰 문제점들로 인해, 서구1(-1)번은 수요를 비교할 때 늘상 비교 대상으로 오르며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는 상태다.
대구 버스 서구1/논란 문서를 참조.
6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성당못역, 대명역, 안지랑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죽전역[15], 내당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만평역[16], 원대역[17]
- ↑ 친절 기사로 유명한 사람이 운전하는 차량이라고 한다. 시청 전자 민원 게시판에 감사의 글이 올라왔는데, 담당 공무원의 답변에도 신흥버스 내에서 해당 기사는 매우 모범적인 기사라고 안내받았다고 했다. 덤으로 사진 속의 차량은 서구1-1번 차량 중에서도 연식이 비교적 최신인 차량. 이 차량을 포함해 1~2대가 2014년식 이후 차량이다.
- ↑ 234번과 동일한 방식.
- ↑ 일부 정류소의 노선 안내도에는 서구1, 서구1-1 각자 처음이나 끝부분에 가르뱅이가 생략돼 있지만, 234번과 마찬가지로 가르뱅이를 필히 경유하므로 안심해도 좋다.
- ↑ 알아차렸겠지만 보다시피 편도운행 노선이다. 비산동우체국 앞 삼거리 형태 때문.
- ↑ 저상버스는 서구1번에 무려 7대 있다. 서구1-1번은 2007년식 딸랑 1대(...)
- ↑ 북비산네거리~성당시장 구간
- ↑ 안지랑역~죽전네거리 구간
- ↑ 가르뱅이~중리네거리, 평리네거리~원대시장 구간
- ↑ 중리네거리~죽전네거리 구간
- ↑ 중리네거리~신평리네거리 구간
- ↑ 성당시장~안지랑네거리 구간
- ↑ 때문에 가끔 가다가 승객 수가 많아 보이는 서구1(-1)번을 보고 수요가 많은 노선이라고 판단하면 안 된다. 모두 이전 노선들의 수요 폭증 및 주력 구간이었기 때문에, 온전히 서구1(-1)번의 구간이 아니다. 메인으로 올린 452번도 구간 수요가 주력이었다.
- ↑ 실제로 파도고개로 일대에는 이게 없으면 달서4(-1)번밖에 다니지 않는다. 게다가 달서4(-1)번은 20분에 1대 온다. 물론 도보 10~20분 거리에 다른 버스 정류소(반고개, 굿모닝병원, 현대해상, 구남보건고, 성당시장 등)와 도시철도 2호선이 있긴 하다.
- ↑ 경찰청에서는 시에서 원할 경우 얼마든지 교통섬과 분리대를 철거해서 왕복 운행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하는데, 버스운영과는 의지가 없어서 안하는 중(...)
- ↑ 환승 환경이 그닥 좋지 않다. 죽전네거리에서 내려서 걷고 신호 기다리는데 5분 넘게 잡아먹을 때가 있다. 게다가 출구가 시내 방향에만 있다.
- ↑ 다른 노선들을 포함한 3호선 환승역으로는 가장 안습한 위치.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앞이니...... - ↑ 정류소와 역간의 거리 차이가 270~330m 정도인데, 이 거리는 막장환승 거리다. 게다가 원대오거리의 보행자 신호 텀이 매우 길어 반발이 많다. 그래서 북비산네거리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