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버스 234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101(-1)156204234240300304306309323(-1)
349356401403405410(-1)413425449503
509518523524527564600609618623
649650651653655706708719724726
730750805808814836840849(-1)909937
939980
† : 경산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를 하는 노선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234번
기점대구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
(방천리공영차고지, 경신교통)
종점대구 수성구 황금1동
(경북고등학교종점)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0
막차22:16막차22:05
평일배차16분주말배차20분
운수사명대일버스인가대수14대
노선
(주요경유지)
방천리 공영차고지 - 가르뱅이[1] - 서평초교 - 북부정류장 - 달성초교 - 2.28공원- 건들바위역 - 국립대구박물관 - 경북고교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공영차고지(2)에서 북구 고성동3가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3)[2]을 지나 수성구 황금1동 경북고등학교 동편(4)까지 운행하는 대구광역시 간선버스.노선 번호가 유일하게 연속된 번호 순이다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2015년 8월 1일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신설된 노선이다.
  • 2016년 2월 13일 부로 1대 감차됐다.

4 특징

폐지된 202(-1)번의 구간(가르뱅이~태평네거리)과 427번의 구간(북부정류장~경북고등학교)을 운행한다. 물론 다른 점도 존재하는데, 427번의 선형을 이어받긴 했지만 202(-1)번의 일부 구간을 합치면서 시민야구장 - 서성네거리 직통으로 변경되어 동산네거리로 운행하지 않으며, 427번의 대봉도서관(상행) 편도구간도 없애고 양방향 모두 건들바위역으로 통합했다.

두 노선의 폐지된 노선들의 구간을 이어받았으나 선형의 다수가 3호선과 상당히 겹치는 점은 여전하고, 202(-1)번의 구간은 가르뱅이(상리동)~태평네거리까지라 234번은 사실상 427번이다.[3] 물론 칠곡 구간과 북부정류장 환승센터 양방향 경유는 730번에게 이관하는 등[4] 다른 점도 있긴 하지만 수성구 구간에서는 기존 427번과 선형이 100% 일치하며, 이러한 이유로 폐지시킨 402번을 생각하면 3호선과 중복도가 상당한데 조절을 안 하는 걸 보면 대구시 버스운영과는 무슨 꿍꿍이혹은 꼼수인지 도무지 알 수 없다.[5]

즉, 234번은 3호선과의 중복도가 급행3번과 마찬가지로 제법 높고 수요보다는 북구와 강북 지역 구석구석을 훑던 427번을 번호와 경로만 변경한 노선이다.

번호 체계에 따르면 534번이 맞겠지만, 본래 이번에 생긴 서구 권역 기점 노선들은 회차지만 방천리일 뿐, 가르뱅이를 비롯한 상리동이 사실상 정식 출발 지점이기 때문에 번호가 2로 시작한다.[6] 회차지가 방천리인 이유는 서구 부근에 마땅한 회차 시설이 없고[7] 그나마 가까운 곳이 서구 상리동과 달성군 다사읍의 경계 근처에 있는 방천리공영차고지이기 때문이다.

새로 생긴 서구 기점 노선들 중 가르뱅이 회차지를 양방향 다 경유하지만, 427번의 고성로(수정맨션) 구간으로 다니기 때문에 3공단을 202(-1)번처럼 경유하지 않아 반발 민원이 상당하다. 3공단 구간은 서구1(-1)번이 이어받았으나, 알다시피 서구1(-1)번은 상중이동, 용산/장기/본리/성당동 주민들에게 최악의 노선으로 완전히 찍혀 버린 상태다. 이로 인해 234번이 3공단 및 오봉로에 진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꽤 있다. 이 경우 2015년 개편으로 버스 진입이 아예 없어진 봉덕119안전센터 및 유림한의원같은 곳처럼 고성로 구간을 아예 포기해야 한다는 점이 있지만, 수정맨션에서는 도보로 10여분 이내 팔달시장역과 연계되고 시내버스 노선도 나름 풍부한 역세권 지역인 만큼 경유를 안 하는 쪽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는 주장이 강한 힘을 갖고 있다. 거기에 서구1(-1)번의 문제점에 있듯이 3공단 - 시내 노선이 없어져 버렸기 때문이다.[8]

또한 서쪽 기점인 노선들 중, 터미널을 경유하는 노선들 중에서는 유일하게 시외터미널(정류장) 곳을 지나다닌다.[9]

운행 업체는 대일버스가 단독으로 배정받았는데, 노선의 운행 거리나 수요를 생각해 보더라도 최소한 자사 차고지가 기점인 경신교통과, 관음동에 위치한 우주교통, 갈산동에 위치한 신흥버스, 하빈면 봉촌리에 위치한 우진교통 중 한 곳은 같이 운행해야 함이 맞지만 651번과 동일한 사유[10]공동 배차가 어려운 모양이다.

운행 경로 중 427번과 동일하게 경북고등학교 방면으로는 수정맨션을, 방천리공영차고지 방면으로는 원대오거리를 경유하는 등 편도 운행을 한다.[11] 보조 행선판을 잘 보고 이용하자.[12]

하지만 이용률이 생각보다 낮았는지,[13] 503번에 1대가 이동됐다.

그나마 캐슬골드파크 일대 주민들의 수요로 버티고 있다. 이유는 이쪽에서 동대구역으로 갈 때 234번 + 814번 조합으로 많이 이용하기 때문이다. 수성4번이 원샷으로 가지만, 814번이 알다시피 빗자루질하는 노선이고 수성4번은 중동네거리로 돌기 때문에 이쪽에서 동대구역으로 갈 때 수성4번을 아예 안 타기 때문이다.

일부 승객들이 420(-1)번의 북비산로 루트[14]를 좀더 추가하고자 시청을 경유해서 오면 안 되냐는 주장을 하지만, 시청 앞의 공평로가 헬게이트라서 절대로 조정할 수 없다.[15] 또한 북비산로 일부 주민들이 대구역 정문과 동대구역으로 갈 때 팔달시장역에서 234번 + 708번 환승 조합으로, 대구역 북편(지하철대구역)과 동대구역으로 갈 때 팔달시장역에서 234번 + 북구3번 환승 조합으로 이용한다.

5 연계 철도역

  1. 양방향 경유
  2. 그러나 내부 행선판에는 대백프라자로 표기되어 있다.
  3. 다른 점이 있다면 방천리공영차고지 방면으로만 북부정류장 환승센터를 경유한다. 그리고 배차간격이 참담한 건 덤
  4. 이 때문에 730번은 동명 연장과 동시에 증차됐지만, 승객 수가 굉장히 불어나 불편하다는 민원이 많다. 게다가 매천지구 투어 후 북부정류장 환승센터를 떠맡게 되어 택배근성화됐다.
  5. 3호선의 백업으로 보기에는 급행3번이 막강한 존재로 버티고 있다.
  6. 다른점이 있다면, 240번과 달리 가르뱅이종점을 경유한다.
  7. 가르뱅이(상리동 종점)에 서구1(-1)번, 234번이 모두 들어가는 건 도저히 어렵다. 그리고 서구1(-1)번도 2016년 3월 21일부터 방천리 공영차고지로 기종점을 이전했다.
  8. 원대오거리(북편)에서 원대역까지 270~330m 정도인데, 이 거리는 막장환승 거리다. 홍대입구역이 355m, 서울역 공철 - 1호선 260m, 공철 - 4호선 362m다.
  9. 북부정류장남부정류장
  10. 대구 시내버스 회사들 차고지가 서쪽보다 동쪽에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너무 많이 편중되어 있는 바람에 공배할 만한 회사와 차량이 마땅히 없다고 하지만, 대일버스 차고지가 몇 년 뒤에 이전할 예정이라 대체할 만한 차고지 부지를 찾고 있다고 한다.
  11. 이 방법은 2006년 개편 전의 903번이 운영했었다.
  12. 대부분 차량은 보조 행선판이 없는 경우가 있는 듯하니 민원을 넣어 보자.
  13. 427번의 주요 수요가 칠곡에서 나왔는데 경유를 안 하니 당연한 결과이기도 하지만, 202(-1)번의 선형을 이어받지 못한 것도 수요 부족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서구1(-1)번이 받은 만평네거리-3공단-오봉로-원대네거리 구간의 선형만 살렸어도 감차 크리는 없었을 지도...
  14. 정확하게는 "서부중학교 ~ 대구역" 구간을 포함한 구간
  15. RH 때 시청에 가 보면 이해된다. 주말에도 헬게이트가 기본인지라 자차 타고 공평로로 우회할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