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 |||||
3호선 | |||||
대화 방면 학여울 | ← 0.9 km | 대 청 (347) | → 1.2 km | 오금 방면 일 원 |
Daecheong Station
대청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Daecheong |
한자 | 대청 |
중국어 | 大厅 |
일본어 | テチョン |
역번 | |
서울 지하철 3호선 | 347 |
300px 서울 지하철 3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지하 2 (舊 일원동 700-9) |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메트로 |
3호선 개업일 | 1993년 10월 30일 |
1 개요
서울 지하철 3호선 347번.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로 지하 2(舊 일원동 700-9번지) 소재.
2 역 정보
역 이름은 강남이 개발되기 전 이 곳에 위치한 자연부락인 대청마을에서 유래했다. 한자로 된 역명을 사용하지는 않지만, 마을 이름의 유래가 대청(大廳)마루니까 실제로는 한자 역명이 있는 셈이다(실제로 역 안에 한옥 마루같은 평상을 만들어 놓았다). 강남에 있는 대청중학교와는 관계가 없으며, 상당히 멀다(대청중학교는 도곡역 근처에 있다).
대청역에서 십자로 분당선이 지나가지만, 서울 지하철 3호선과 분당선의 지나친 환승 및 강남리 마을 전철로 인한 표정속도 감소때문에 결국 환승하지 않게 됐다. 대청역 밑 분당선 공사 때문에 10년 동안 3호선 열차가 대청역 주변을 지날 때는 서행을 했었다.
인근 주민들이 분당선과 크로스된다는 이유로 환승역으로 만들어달라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실제로 역사 공간 규모가 동네 역 치고는 상당한 편인데, 설계시 환승역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결국 분당선 환승기능을 하는 인근의 도곡역, 수서역이 너무 가깝다는 점과 환승역으로 재시공시 미칠듯한 추가비용이 들어갈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실제로 개조되지는 못한 듯. 다만 주민들의 요구에서 환승은 명목상의 이유고 실은 집값 상승을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주변 집값이 하수처리장 때문에 떨어진 전례가 있기도 하다. 다만 이것도 대청역 부근 '일부' 핌피정신이 넘치는 역세권 부근 아줌마들의 작품이지 대부분의 정상적인 일원동 거주자들은 '대모산입구역 까지 도보로 5분, 수서역까지 버스로 3분이면 가는데 뭐하러'라고 병림픽을 비판하기도 했다.
일원역과 마찬가지로 승강장 횡단이 안 된다(개통 초기에는 횡단이 가능했다). 승강장 횡단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특정 개찰구를 열어놓았으며, 버튼을 눌러서 직원을 호출한 후 잘 이야기하면 횡단이 가능하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역 구조상 어쩔 수 없이 배려 차원에서 설치해 놓은 장치를 악용해 무임승차를 하기도 한다. 이건 좀 까자
2.1 승강장
학여울 ↑ | |||
하 | ㅣ | ㅣ | 상 |
↓ 일원 |
상 | 수도권 전철 3호선 | 도곡·충무로·독립문·대화 방면 |
하 | 수도권 전철 3호선 | 일원·가락시장·오금 방면 |
3 역 주변 정보
역 서쪽으로 아파트가 조성되어 있다.
인근에 서울주택도시공사, 수서경찰서, 강남우체국, 탄천하수처리장 등이 있으며 대청역과 일원역 사이에는 삼성서울병원이 있다. 중동고등학교가 출구 코 앞에 있어서 학생들이 등하교시간에 우르르 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학교에서 삼성그룹 입사시험을 봐서 이 시험 끝날 때 사람들이 와르르 몰려오는 풍경을 볼 수 있다.
역과 버스의 연결성은 썩 좋지 않은 편이다. 3413번, 4412번 정도의 버스만이 역 부근과 시내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대청역에서 타 지역으로 이동하는 사람들의 수요는 대부분 삼성역 방면의 강남01번과 송파역 방면의 강남05번이 분담하고 있다. 과거에는 시내버스 3대가 다녔지만, 버스개편 이후 통합이 되었고, 막장 대기시간과 지하철과의 노선 겹침으로 인하여 사람이 점점 줄어들었다. 배차간격이 20분인 데다 3호선 지하철 라인과 노선이 겹치니 누가 탈까....
4 일평균 승차량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1,962명 | 12,372명 | 12,365명 | 11,705명 | 10,775명 | 10,790명 | 10,645명 | 10,451명 | 10,602명 | 10,696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11,678명 | 11,803명 | 11,706명 | 11,728명 | 11,575명 | 10,911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