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철도 경전선에 건설 중인 역의 명칭에 대해서는 가락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padding:12px;" {{{+1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 또는 노선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중이거나, 개통했지만 이 역을 지나는 다른 노선이 공사 중인 역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우만위키는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공정이 중단되면 틀:공사중단으로 바꿔 주시고, 공정이 완료되면 틀을 제거해 주십시오.
서울 지하철 | |||||
3호선 | |||||
대화 방면 수 서 | ← 1.4 km | 가락시장 (350) | → 0.8 km | 오금 방면 경찰병원 | |
8호선 | |||||
암사 방면 송 파 | ← 0.8 km | 가락시장 (817) | → 0.9 km | 모란 방면 문 정 | |
위례신사선 | |||||
가 락 | ← ? km | (미개통) | → ? km | 동남권유통단지 |
가락시장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Garak Market |
한자 | 可樂市場 |
중국어 | 可乐市场 |
일본어 | カラク·シジャン |
역번 | |
서울 지하철 3호선 | 350 |
서울 지하철 8호선 | 817 |
300px 서울 지하철 3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서울 지하철 8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서울 지하철 3호선 가락시장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지하 257 (舊 가락동 298) |
서울 지하철 8호선 가락시장역 |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지하 257 (舊 가락동 184-23) |
서울 지하철 | |
운영기관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3호선 개업일 | 2010년 2월 18일 |
8호선 개업일 | 1996년 11월 23일 |
可樂市場驛 / Garak Market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하 2층(8호선), 지하 4층(3호선)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공통)
1 개요
서울 지하철 3호선 350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지하 257(舊 가락동 298번지) 소재.
서울 지하철 8호선 817번.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대로 지하 257(舊 가락동 184-23번지) 소재.
2 역 정보
가락시장이 있어서 붙여졌다. 2010년 2월 18일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역~오금역 구간이 연장 개통하여 환승역이 되었으며, 3호선 역사까지 한꺼번에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에서 관리하게 되었다. 이는 까치산역과 같은 사례. 참고로 3호선 역사 공사는 2003년 12월 31일 시작했다.
2006년 12월 14일까지 수도권 지하철 역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배열했을 때 맨 처음에 오는 역 이름이었으나, 다음 날 의정부북부역이 가능역으로 바뀌면서 밀려났다.
이 역도 오금역과 마찬가지로 1996년 8호선 개통 당시부터 3호선과의 환승을 염두에 두어 환승 통로 부지가 미리 마련되어 있었고, 8호선 승강장 끄트머리에 안내표지판이 가려진채 공백 상태로 덩그러니 있었다. 막상 개통하고 나니 환승 통로가 꽤나 크고 아름다운 데다가 사방이 번쩍거려서 보는 이에게 위압감을 준다. 그래도 환승 난이도는 높지 않은 편이라, 표지판 따라 걷다 보면(3 → 8 기준 오르막 계단 2회) 1분만에 다른 승강장에 도착해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3호선 승강장은 기존 3호선과 일관성을 찾아볼 수 없는 서울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채용해서 거의 9호선과 똑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다른 점이라면 타일이 흰색이라는 것. 역명판도 9호선 스타일인데, 환승띠라고 당연히 있을 리가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9호선에서 앞뒤역 영어역명을 뺀 것이다.
8호선 승강장 벽면에는 지하철 환승 표지가 좀 미묘하게 붙어 있는데, 기존 역들처럼 환승띠를 쓰기는 했지만 다른 역과는 달리 환승띠가 연속되어 있지 않고, 드문드문 '3호선 방향'이라 되어 있는 부분만 붙어 있고 그 양 옆으로는 비어 있다. 서울시 디자인 정책을 따른 것 같기도 하고 안 따른 것같기도 하다.
참고로 8호선 가락시장역과 5호선 방이역 간에 연결 선로가 있다. 암사방면 열차를 탔을 때 진행방향 기준 오른쪽을 유심히 보면 선로가 분리되어 나가는데, 바로 이거다. 용도는 8호선 열차의 중검수를 위해 5호선 고덕기지로 이동할 때 쓰기 위한 것. 특히 이 선로는 1994년 5호선 열차 반입 때 유용하게 쓰였다. 탄천변 인근까지 뚫려 있던 3호선 선로까지 5호선 열차를 끌고 온 다음 도로에 구멍을 뚫고 크레인으로 열차를 한량씩 끄집어내서, 도로상에 임시로 만든 선로를 타고 8호선 가락시장역 구내로 끌고 들어가 연결 선로와 방이역을 거쳐 고덕차량기지까지 이동시킨 것이다. 당시 3호선은 수서까지만 개통되었으나, 사실은 수서~오금 연장 구간을 염두에 두고서 난공사 구간이었던 탄천 구간을 미리 건설해 뒀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모란행을 타고 가다 보면 진행방향 기준 우측에 유치선이 있는데, 사실 이게 저 당시 도로상의 임시 선로와도 연결되어 있었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연장 개통 이후 서울 지하철 8호선 쪽 승하차량이 물 흐르듯이 빠져나가 3호선 게이트로 옮겨갔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3호선 게이트가 있는 곳이 대단위 거주지인 올림픽훼미리아파트다. 원래 올림픽훼미리아파트와 8호선 가락시장역 사이에는 롯데마트가 있는 건물을 사이에 끼고 거리가 좀 있는 편이었는데, 3호선 가락시장역이 개통되면서 아예 아파트 쪽으로 출구를 만들어버렸다. 위의 역내 지도에서 보면 출구들이 몰려있는 곳이 가락시장역 사거리고, 혼자 따로 정반대 방향으로 뚫린 8번 출구가 올림픽훼미리아파트와 통하는 출구다. 어쨌건 8호선 게이트는 노답.
밤늦게까지 상인들이 오가는 곳이라 송파구 내에서도 상업 시설, 맛집, 유흥 시설 등이 늦게까지 성업하는 지역이다 보니 밤이 되면 이 역 근처에 택시가 굉장히 많이 모인다. 특히 자정 이후 2번 출구 라인에 성남 번호판이 달린 택시들이 거대한 줄을 만들고 서 있는 걸 목격할 수 있어서, 성남시 거주자는 여기서 서울 택시들을 타지 않고 성남시 택시를 타고 성남시로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동 시간대의 신촌 일대같이 시계외 + 야간할증 장사하러 오는 거라서, 택시비는 책임 못 진다. 반대로 서울 택시를 타고 싶다면 건너편 3번 출구쪽으로 가면 된다. 중앙버스정류장으로 가는 횡단보도에 줄지어서 기다리고 있다. 다만 동시에 이 역 근처에서 막차가 새벽 3시를 넘기는 9403번 버스를 탈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두면 편리하다. 비싸지만 빨리 갈 것인가 저렴하지만 천천히 갈 것인가는 순전히 승객의 선택. 같은 성남시라도 분당이 아닌 구성남이 목적지라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재 추진 중에 있는 위례신사선이 개통되면 이 역과 환승이 될 예정이다. 세곡동 주민은 수서역에서 환승하고,세곡동을 거쳐 위례신도시로 가는 노선을 주장하였으나, 사실상 가락시장 경유 노선으로 확정된 상태다.
2.1 승강장
2.1.1 서울 지하철 3호선
수서 ↑ | |||
하 | ㅣ | ㅣ | 상 |
↓ 경찰병원 |
상 | 서울 지하철 3호선 | 수서·양재·충무로·녹번·대화 방면 |
하 | 서울 지하철 3호선 | 경찰병원·오금 방면 |
2.1.2 서울 지하철 8호선
송파 ↑ | |||
하 | ㅣ | ㅣ | 상 |
↓ 문정 |
상 | 서울 지하철 8호선 | 잠실·강동구청·천호·암사 방면 |
하 | 서울 지하철 8호선 | 문정·남한산성입구·모란 방면 |
3 역 주변 정보
가락시장 외에도 송파구의 대단위 아파트단지 중 하나인 올림픽훼미리아파트와 롯데마트가 있다. 역 동쪽으로 소규모 고층아파트 및 가락관광호텔, 국립경찰병원 등이 있으며, 문정 로데오 거리가 문정역과 딱 중간지점에 위치해 있다.
4 일평균 승차량
서울 지하철 3호선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6,217명 | 8,075명 | 8,494명 | 8,817명 | 9,104명 | 8,914명 | ||||
서울 지하철 8호선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0,173명 | 11,657명 | 12,053명 | 12,199명 | 12,348명 | 11,905명 | 11,504명 | 11,036명 | 11,096명 | 10,869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8,006명 | 7,005명 | 6,785명 | 6,734명 | 6,778명 | 6,758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