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유니폼

목차

1 소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상징은 붉은색이라면 야구 대표팀의 유니폼은 흰색과 푸른색이 상징으로 남아 있다. 2006년 WBC 유니폼 이전까지는 남색과 붉은색, 흰색으로 이루어 져있으나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이후엔 밝은 파란색과 붉은색, 흰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흰색 바탕의 홈 유니폼과 푸른색 바탕의 원정 유니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습복과 야구 점버 또한 유니폼이 바뀔때마다 변경되는 것이 특징.

1998 방콕 아시안 게임부터 유니폼을 나이키 코리아에서 제작했으며[1][2]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유니폼의 경우엔 나이키 본사에서 직접 제작된 맞춤형 유니폼이라고 한다. 재질은 이전엔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으로 재작되었으며 2006년 WBC부터 디자인과 재질이 개선되기 시작했다.

2 킷 스폰서

연도킷 제작사
1954년 ~ 1981년없음
1982년 ~ 1997년
미즈노
1998년 ~ 2013년
나이키
2014년 ~ 2017년
데상트

초창기 킷 스폰서는 없었고, 최초로 유니폼 제작을 담당한 스폰서는 1982년 한국에서 열린 선수권대회 유니폼과 장비를 제공한 미즈노였다. 이후 1997까지 스폰서쉽을 이어 오다 1998년 방콕 아시안게임을 앞두고 나이키가 참여해 유니폼을 제작했다.

그리고 2014년 1월 3일에 대한야구협회는 보도자료를 통해 데상트와 4년간 20억 규모의 스폰서쉽을 체결했고, 2017년까지의 야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데상트에서 제작하기로 밝혔다.

3 유니폼 로고

3.1 1955~1962

3.2 1996

1996년 애틀란타 올림픽 참가 당시 제작된 유니폼에 사용된 로고.

3.3 1998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 당시 사용되었던 로고.

3.4 2006~2007

2006 WBC 당시 사용되었던 로고. 2006년 아시안게임때는 색만 빨간색으로 변형시켜서 사용되었다.

3.5 2008~2013, 2015~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니폼때 부터 처음으로 사용된 유니폼 로고로 나이키에서 제작했지만 2015년 제작사 데상트도 이 로고를 사용중이다. 야구 대표팀을 상징하는 로고로 잠깐 아래 로고로 바뀌었을때 반발이 심해서 다시 돌아온 로고이기도 하다.

3.6 2014

300px

2014 인천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킷 스폰서가 데상트로 바뀌면서 유니폼 로고도 변경되었다. 다만 반응이 좋지 못했고 1년만 사용된 비운의 로고.

4 성인 대표팀

4.1 1922년 : 조선야구단 - 미국 올스타 친선경기

500px
사진의 출처는 관련 기사

1922년 12월 8일 용산 마철구장에서 열린 전조선 야구단. 현재 국가대표팀의 전신이라고 볼수 있다. KYMC라는 가슴 글씨가 선명하게 보인다.


관련 기사 1,관련 기사 2

4.2 1954년 : 제 1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500px
500px
박현식장태영

대한민국 최초의 야구 대표팀 유니폼. 필리핀 라핀 경기장에서 찍은 국가대표팀의 단체사진이다. 국가대표였지만 유니폼은 서울클럽 유니폼을 사용했으며 이 때문에 모자와 가슴 엠블럼에 SC(Seoul Club)라는 마크가 선명하게 찍혀있다.

kt wiz의 통신 130주년 기념 유니폼 디자인을 바로 이 유니폼에서 따왔다. 자세히 보면 시카고 컵스의 옛날 유니폼이랑 비슷하게 닮았다.

4.3 1955년 : 제 2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500px

1회 대회때 입었던 유니폼은 서울 클럽 유니폼을 그대로 입고 간것에 불과했다면 이번엔 국가대표팀 답게 변했다. 국가대표팀 유니폼으로써 제작된 첫 유니폼인셈. 모자에 K, 가슴에 KOREA라는 무늬가 선명하게 보인다.

4.4 1958년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내한 친선경기

500px
김양중김영조

유니폼의 디자인은 그대로 인데 모자에 새겨진 글자가 K -> A로 바뀌었다.

4.5 1959년 : 제 3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500px
일본에서 열린 제 3회 아시아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재일교포들에게 환영회를 받는 국가대표팀.
3회 대회부터 재일교포 선수들도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었기 때문에 반응은 더욱 뜨거웠었다.

제 3회 대회 유니폼. 서울클럽 유니폼처럼 라인이 그려져 있고 모자에는 A라는 엠블럼이 박혀있다. 현재 고려대학교 야구부가 이와 비슷한 유니폼을 입고있다.

4.6 1962년 : 제 4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1962년 대만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 대회당시 대한민국 국가대표 야구팀. 유니폼의 디자인이 민무늬로 돌아간 것과 가슴의 글씨체등 1958년에 입었던 유니폼과 비슷하게 바뀌었다.

참고로 악수하는 이는 대만야구협회장이며 사진 오른쪽부터 백인천(2번), 장태영(9번), 김성근(21번), 김응룡(15번) 대만야구협회장 뒤로는 박현식, 그리고 주장 겸 코치 김영조 (12번) 이들은 먼 훗날 한국프로야구를 이끌어 갑니다.

4.7 1963년 : 제 5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500px
왼쪽부터 박현식,박영길,김금현
1963년 일본을 누르고 우승하자 박정희 전 대통령이 공관으로 초대했던 모습.

4.8 1969년 : 제 8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500px
앞부터 감독 김진영, 코치 박현식, 선수 김응용.

4.9 1971년 ~ 1975년 : 제 10회 아시아야구선수권 대회 ~ 제 14회 아시아야구선수권대회

250px330px
1971년 우승 트로피를 들고 있는 박영길타자는 박해종,맞아주는 인들은 앞에서부터 김우열,강병철,황성록(1975년)
500px
1975년

이전 유니폼엔 없던 옆선과 어께 선등이 새겨졌다. 얼핏보면 롯데 자이언츠지바 롯데 마린스의 올드 유니폼과 흡사하다.

4.10 1977년 : 슈퍼월드컵 세계야구대회

500px
아래 사진에서 행가레를 받고 있는 인물은 이선희

제 3회 슈우퍼워얼드컵 쟁탈대회슈퍼월드컵 세계야구대회 진출팀. 이 팀은 대한민국 야구대표팀 사상 처음으로 미국과 일본을 꺾고 아마야구 세계 정상을 밟아본 팀이다. 참조

4.11 1978년 : 슈퍼월드컵 세계야구대회

500px
500px

4.12 1980년 : 제 26회 세계야구선수권대회

500px
김재박
500px
500px
최동원

국가대표팀 유니폼 중에 유일하게 개나리색(?)이 들어간 유니폼이다. 단추형 유니폼이며 이 유니폼의 디자인은 2000년 시드니 올림픽때까지 이어진다. 왼쪽팔에 태극기가 부착되어 있다. 여담이지만 색상 선정이나 디자인이 모 팀의 유니폼을 연상시킨다...

4.13 1982년 : 제 27회 세계야구선수권대회

350px
홈 유니폼. 사진의 주인공은 한대화.

1980년 유니폼에 색깔만 바뀌었다. 단추가 없는 브이넥 유니폼이며 홈 유니폼 색은 흰색 바탕이지만 모자가 짙은 남색이다. 재질은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 합성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땀에 젖으면 몸에 달라붙고 신축성이 좋은 편도 아니었다고 한다. 키트 제작은 사진에서 보다시피 미즈노

4.14 1984년 : LA 올림픽

550px
선동렬김영신
사진출처:##

1984년, 올림픽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었을 당시 대한민국 야구 대표팀의 첫 올림픽 유니폼. 디자인은 1982년과 동일하지만 브이넥 유니폼에서 단추가 달린 유니폼으로 변경되었다.

4.15 1988년 : 서울 올림픽

파일:Fbf0Meh.jpg
원정 유니폼. 사진의 주인공은 박동희

4.16 1994년 :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4.17 1996년 : 애틀랜타 올림픽

원정 유니폼. 사진의 주인공은 조인성

1988년 유니폼과 비교해보았을때 가슴의 글자체가 변경되고 브이넥으로 돌아온 점을 제외하면 바뀐점이 없다. 1982년 유니폼과 거의 판박이. 유니폼 제조사는 미즈노.

4.18 1998년 : 방콕 아시안 게임

홈 유니폼
원정유니폼. 사진 주인공은 박찬호

단추가 없고브이넥 형태의 유니폼. 홈유니폼은 흰바탕에 붉은 글씨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정 유니폼은 짙은 남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원정 유니폼의 목과 어깨선은 빨강과 흰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나이키에서 제작된 첫 야구 국가대표팀 유니폼이기도 하다.

4.19 2000년 : 시드니 올림픽

홈 유니폼. 사진의 주인공은 구대성
원정 유니폼

98년 유니폼과 기본적인 틀은 같다. 단 원정 유니폼의 목과 어깨선은 홈 유니폼과 똑같은 남색, 흰색, 빨강색 3원색을 사용한다. 유니폼의 글씨체가 흘림체에서 고딕체로 변경.

4.20 2002년~2004년 : 부산 아시안 게임~아테네 올림픽

300px
송진우.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예선 당시 홈 유니폼 사진의 주인공은 조인성심수창 응?[3]
원정 유니폼

어께선이 제거된 대신 소매에 선이 추가되었고 가슴의 글씨체도 변경. 옷소매에 붙어져 있던 태극기가 가슴쪽에 부착되었고 소매에는 스폰서였던 KT의 CI가 붙어져 있다. 최초의 국가대표 스폰서가 붙은 대표팀이자 최초의 스폰서가 붙여진 유니폼이다.

2002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의 영광과 2004년 아테네 올림픽 예선 탈락이라는 극과 극을 함께했던 유니폼.

4.21 2006년 : 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사진은 이종범 무슨장면인지 말 안해도 알거같다

기존에 있던 남색을 쓰지 않고 흰색과 연파랑색으로 이루어졌다.

홈유니폼은 위의 사진과 같이 흰색 바탕에 파란색이 옆구리에 추가가 되었다. 전체적으로 밝아진 색깔이며 붉은색이 사용되지 않은 유니폼. 가슴의 글씨체는 고딕체가 사용 되었다. 원정 유니폼은 밝은 파란색 바탕에 흰색 선으로 제작되었다.

이때부터 유니폼에 기능성이 추가되어 통풍과 활동성, 디자인등이 개선되기 시작했다. 소재면에서도 이전 유니폼보다 월등히 좋아지기 시작했는데 이전까지 사용되었던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등의 소재에서 탈피해, 신축성 소재가 사용 되었다.

당시에는 촌스럽다며 엄청 까였지만 이 유니폼을 입고 WBC 4강까지 갔던 이상 이 유니폼에 대한 인식이 바뀌게 되었다. 이후 2008 베이징 올림픽 예선에서도 이 유니폼을 입기도 했는데 왼쪽 팔에는 KB 국민카드의 로고가 부착되었다.

본격적인 국가대표 유니폼이 제작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라고 볼수가 있다.

4.22 2006년 : 도하 아시안 게임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오뎅 장수에게 홈런을 맞고 고개숙인 오승환[4]

대한민국 야구 국대 유니폼 흑역사 No.1

충격과 공포의 도하의 참극때 유니폼. 기존의 흰색, 연파랑에 빨간색의 포인트를 줬다. 원정 유니폼 푸른 바탕에 흰 글씨체가 새겨져 있다.

그 대신 아시아청소년야구대회에 우승한 좋은 기억도 있다.

4.23 2008년 : 베이징 올림픽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베이징 올림픽 9전 전승 신화의 전설을 이루어 낸 유니폼.

홈 유니폼의 경우엔 흰 바탕에 파란 색 글씨로 korea가 흘림채로 새겨져 있으며 유니폼 곳곳에 붉은 색이 가미가 되어 있다.

결승전때 입어서 더욱 눈에 익는 원정 유니폼의 경우엔 태극문양을 형상화한 빨강과 파란, 흰색이 겨드랑이 사이에 들어갔고 소매에 빨간선이 추가 되었다. 등뒤로 이빨모양의 흰 선이 2줄로 나있으며 가슴의 영문명과 모자의 K 또한 흘림체로 처리했다.

201312150922774083_52acf81e0b859.jpg

태극기가 가슴팍에 부착되었으며 이때 사용된 영문 흘림체 이니셜은 국가대표 야구팀의 아이덴티티가 되었다.

4.24 2009년~2010년 :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광저우 아시안 게임

홈 유니폼
원정 유니폼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국가대표 유니폼. 임창용이 입고 있는 유니폼이 홈 유니폼이며 푸른 바탕이 원정 유니폼이다. 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과 광저우 아시안게임 금메달의 영광을 함께한 유니폼.

전체적인 디자인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때와 비슷하게 재작 되었다. 선수들의 불만사항이었던 목깃을 없앴으며 이전 유니폼에 비해서 신축성 소재를 사용했다. 하의에도 다리 옆선에 두꺼운 붉은색 대신 파란 선을 넣어 좀더 깔끔한 느낌을 주었다. 태극기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니폼과 달리 팔에 부착되었다.

또한 역대 유니폼중 가장 화려하다는 평가를 받는 유니폼. 홈 유니폼은 흰 바탕에 푸른선이 허리와 다리에 사용되었고 서브 컬러로 붉은 색이 사용되었다. 원정 유니폼은 그와 반대로 푸른 바탕에 붉은 선이 사용 되었으며 가슴의 글씨체가 희색으로 사용 되었다.

2009년 WBC에서 태극기가 팔에 부착되었던 것에서 다시 왼쪽 가슴에 부착이 되었다. 500벌 한정으로 제작되어 판매 되었다.

4.25 2013년 :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2013년 WBC 국가대표 유니폼.

대한민국 야구 국대 유니폼 흑역사 No.2
충격과공포다 그지깽깽이들아!

2006년 WBC 유니폼처럼 붉은색이 들어가지 않은 유니폼이다. 홈 유니폼은 흰색 바탕에 소매가 푸른색으로 되어 있으며 원정 유니폼은 허리의 흰선 제외하곤 모두 푸른색으로 제작 되었다. 가슴에 있던 태극기가 다시 오른쪽 소매에 부착된 것이 특징. 왼쪽 소매에는 대표팀 스폰서인 LG전자옵티머스 G의 로고가 부착되어 있다.이번 대회 부진의 원인

또한 단추가 사라지고 다시 브이넥 유니폼으로 돌아왔으며 나일론과 스판이 합쳐진 트윌 원단이 사용되어서 신축성이 좋아 활동성에도 부담이 없게 제작되었다. 땀이 많이나는 겨드랑이나 사타구니 부분엔 메쉬 소재를 이용, 통기성을 향상시켰으며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위해 레이저 커팅 기술이 적용 되었다. 이때문에 2009 WBC당시 유니폼보다 상의는 17%, 하의는 51% 가벼워 졌다고.

역대 유니폼 중 처음으로 나이키의 미국 본사에서 제작되었으며 상하의 한벌 가격이 무려 50만 원에 달한다고 한다.살..살 수가 없다!

하지만 이전 국대 유니폼과 비교를 당해 구리다면서 더욱 까이고 있는 중... 2006년 WBC 유니폼이 당시에는 많이 까였으나 최강팀인 미국을 이기고 숙적인 일본을 2번 이기고 4강까지 갔던 기적을 일으켰기 때문에 인식이 달라졌지만 이번에는 대표팀이 최약체라 평가되기 때문에 쉽지 않을 듯.[5]

결국 WBC 2013에서 8강 진출에 실패하면서 악성재고로 남아 돌았다. 나이키 아울렛에 홈, 원정 유니폼이 29,000원이라는 어마어마한 염가에 풀렸다.

4.26 2014년 : 인천 아시안 게임

500px
500px
20150610060607643.jpg

데상트가 제작하는 첫번째 야구 국가대표 유니폼이다. 첫 디자인이 공개되었을 때는 깔끔하고 괜찮은 디자인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 실제 모습이 공개되자 색도 짙고 폰트도 딱딱해보여서 있어서 촌스럽다는 평이 많다. 백투더 2006. 탈나이키의 나쁜 예. 게다가 헬멧 색이 흐리멍텅한 하늘색이 되면서 록맨같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6] 그리고 선수들 배팅장갑을 유심히 보면 데상트 제품이 아닌 경우도 볼 수 있는데, 원래 데상트 제품들로 지급되었으나 선수들 손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만드는 바람에 선수들이 쓰지 못하게 되었고 데상트 코리아 측에서도 "그보다 큰 사이즈의 제품은 없다."며 타사제품 장갑 사용을 허가를 해줘서 생긴 일이다.기사

그밖에 2008 베이징 올림픽때부터 나이키가 스폰서이던 시절 가슴에 들어가는 특유 폰트의 로고가 사라져서 아쉬워하는 사람들도 많다.

이 유니폼을 입고 인천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에서 금메달을 땄다.

4.27 2015년 : 프리미어 12

400px
홈 유니폼. 이대은

400px
원정 유니폼. 김광현

파일:/image/109/2015/11/21/201511212307770201 56507acec65a3 99 20151121231507.jpg
타자 유니폼.

파일:/image/076/2015/10/27/2015102701003154000216841 99 20151027142010.jpg
연습복.

파일:/image/410/2015/10/27/20151027 1445924885 99 20151027144911.jpg
야구잠바.

08년 로고의 귀환, 7년만에 국제대회에서 우승을 안겨준 유니폼

10월 29일 유니폼이 처음으로 공개 되었다. 특징으로는 나이키 스폰서 시절 특유 폰트의 K 로고가 다시 돌아온것을 볼 수 있고 성명 표기법이 K H KIM처럼 이름+성 이니셜로 바뀐게 특징. 팀 폰트만 바뀌어도 이렇게 멋진 유니폼이 나오거늘 그리고 이 유니폼을 입은 김인식호프리미어 12 초대 챔피언이라는 영광을 차지하게 되었다.

오른쪽 팔에는 프리미어 12 스폰서인 겅호 온라인 패치가, 왼쪽 팔에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공식 스폰서인 타이어 뱅크 패치가 붙어있다.

5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역대 유니폼 항목 참조.

6 기타

6.1 1979년 : 한미 대학 친선경기

500px
맨 왼쪽 선수가 김진영, 맨 오른쪽부터 강병철, 김동엽
  1. 하지만 나이키에서 제작한것이 아니라 나이키 로고만 부착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2. 하지만 1998년부터 제작했다는 기사도 존재.##. 정확한 정보 알고 있는 분은 수정바람
  3. 심수창은 조별예선 엔트리에 들었으나 최종 예선에선 조웅천이 들어오면서 빠졌다.그래도 안좋은 경험을 피한게 어디야.
  4. 사실 오뎅장수는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도하 참사항목 참조.
  5. 2006년 WBC의 경우 그때는 멤버가 초호화였었다.
  6. 다만 이 경우는 데상트에서는 헬멧을 제작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미즈노제 헬멧에 데상트 로고를 붙이기만 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기존의 미즈노 로고가 붙어있는 부분은 미즈노 로고가 보이지 않도록 태극기를 붙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