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매역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orange; padding: 12px;"
{{{+1 개통하지 않은 구간이 있거나 미개통 노선입니다.}}}

*노선명 : @노선명@
*공사구간 : @공사구간@ 구간
*진행상황 : @공사진행상황@
*개통 : @노선개통예정일@   [br]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구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공사가 중단될 경우 틀:공사 중단함께 넣어주시고, 공사가 무산되거나 계획이 취소될 시 틀:계획취소로 바꿔주시기 바랍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방면
장 림

1.5 km
동 매
(100?)

(미개통)

1.6 km
노포 방면
신 평
동매역

다국어 표기
영어Dongmae
한자東매[1]
일본어トンメ
중국어东山[2]
역번
부산 도시철도 1호선미정
주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사하소방서교차로
부산 도시철도
운영기관 " />?width=100
1호선 개업일2017년 4월 예정

동매驛 / Dongmae Station

동래역과는 바탕부터가 다르다!

1 개요

부산광역시 사하구 신평동 사하소방서교차로 소재. 부산교통공사에서 운영 예정이다. 공사 역번호는 100번이다. 역 명은 역과 인접한 산(山) 동매산[3]에서 따왔다. 근처에 배고개가 있는데 배고개는 1호선 다대연장이 아직 개통하지 않은 2016년 기준으로 다대, 장림, 신평1동 등에서 서면 등으로 나가는 지름길과 같은 곳이다.[4]

역명에 관해서 사실 '신평'이라고 하면 지금의 신평역 인근보다는 더 옛날에 개발된 이 역 인근 신평1동 쪽을 주로 말하는 것이다. 현지 주민들은 이 역 근처를 신평, 신평시장, 신평놀이터, 신평배고개 등으로 부르고 신평역 쪽은 '새신평'이라고 부른다. 만약 신평역과 이 역이 같은 시기에 개통했다면 십중팔구 둘 중 이 역이 신평역이 되었을 것이다. 현지 사정에 맞추자면 원래 신평역을 다른 이름으로 바꾸고 이 역을 신평역으로 해야 맞겠으나[5] 이미 20년 넘게 존재한 역 이름을 바꾸면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동래역과 발음이 너무 비슷한 관계로 개통 초기에는 많은 혼동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 같은 1호선 상에 있는 역이며, 영문명도 m과 n 빼고는 모두 동일해서 아주 혼동하기 쉽다.

2 역 정보

현대건설이 턴키입찰을 받아 이 역을 건설하고 있으며, 2016년 9월 30일 기준으로 공정률은 99.50%로, 도로복구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참조.

3 역 주변 정보

역은 신평장림산업단지 북단으로 출구 바로 앞은 널찍널찍한 공단지역이라 휑한데 신평시장, 신평배고개 등 시가지는 북동쪽으로 좀 올라가야 나온다. 신평배고개랑 가장 가까이 있는 역이다 보니 연선 주민들이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1. 이동 '매'는 '메', '뫼'와 같이 '산'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2. 이동 역 명의 유래가 된 동매산이 독뫼(獨山)산이란 이명을 가지고 있어 独山가 될 수도 있다.
  3. 이동 東每가 아니다. 순 우리말이다. 동매는 동쪽의 산()라는 뜻이다.
  4. 이동 교통지옥 하단교차로를 지나지 않고 바로 사하역 인근으로 우회하기 때문이다. 이 곳을 지나는 대표적인 노선들는 103번113번이랑 138번, 520번, 1000번 등이 있다. 이 중 113번과 520번은 서로 반대로 편도순환한다.
  5. 이동 비슷하게 처리한 사례로 대구 도시철도서문시장역이 있다. 원래 신남역이 서문시장역이었는데 3호선이 개통하기 전에는 실제로 서문시장에서 가장 가까운 역이기도 했다. 그러다 3호선이 개통하면서 실제 서문시장에 거리가 좀 더 가까운 역이 새로 생겨서 그 역에 서문시장역 이름을 주고 원래 있던 역이 이름을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