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남역

이 문서는 대구 도시철도 신남역에 대해 설명합니다. 과거 역명이 신남역이였던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역에 대해서는 김유정역 문서를, 이 역의 과거 역명에 대해서는 서문시장역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 방면
반고개

0.9 km
신 남
(229)

1.0 km
영남대 방면
반월당
신남역 - 명덕역 연결선
기점신 남 명덕 방면
명 덕
3호선
칠곡경대병원 방면
서문시장

0.7 km
신 남
(329)

0.8 km
용지 방면
남 산
신남역

다국어 표기
영어Sinnam
한자新南
중국어新南
일본어新南
역번
대구 도시철도 2호선229
대구 도시철도 3호선329
300px
2호선 역 안내도 크게보기
300px
3호선 역 조감도 크게보기
300px
3호선 역 안내도 크게보기
주소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신남역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지하 2000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신남역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로 80
대구 도시철도
운영기관100px
대구 2호선 개업일2005년 10월 18일
대구 3호선 개업일2015년 4월 23일

新南驛 / Sinnam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상 3층(3호선), 지하 4층(2호선)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3호선), 1면 2선(섬식 승강장, 2호선)
  • 반대편 횡단 : 가능

깊고 높은
대구판 당산역
신나는 역이 아니다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2호선3호선환승역이며, 신남네거리에 있다.

원래 역명은 서문시장역이었고 부역명은 계명대 동산병원이었지만, 3호선 328번 역이 이 역보다 서문시장과 동산병원에 가까워서 서문시장역(동산병원)으로 정해지는 바람에 역명과 부역명을 3호선에 빼앗겼다. 하지만 2014년 3월 기준 '신남(계명대 동산병원)'으로 표기되어 부역명은 잠시 유지되었다. 이는 동산병원 바로 앞에 있는 3호선 서문시장역이 아직 개통되지 않았기 때문이지만, 3호선 서문시장역이 개통되면 부역명도 그쪽으로 옮길 예정이었다. 결국 2015년 3월 현재 '신남(계명대 동산병원)'에서 부역명인 계명대 동산병원이 삭제되었다. 2014년 2월 28일자로 신남역으로 역명 변경이 확정됐으며, 하루 전날인 2월 27일에 역명판이 신남역으로 교체되고 안내방송도 변경됐다. 서문시장역이던 신남역이 환승역이지만, 시장/병원 바로 앞에 3호선 역이 생겨서 그런지 서문시장이나 동산병원 측의 반발은 없었다.

참고로 계명대학교 동산병원은 서문시장 맞은편에 있다. 이 역은 신남네거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때문에 역명 변경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남산그린타운 방향으로 언덕길이 있어서, 지하에 있는 2호선 역은 깊은 편이다.

역명의 유래는 대동(大洞)과 산동(山洞) 사이에 있는 신남네거리에 역이 있는 것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네거리 이름의 유래도 같다. 사실 동산동도 걸쳐 있지만, 서문시장, 동산병원과 아주 가까운 동산네거리가 있기 때문에 상관없다.

공교롭게도 2호선, 3호선 두 역의 역번호가 모두 '29'인데, 약수역, 삼각지역, 오금역, 상봉역, 회룡역, 검암역, 서면역, 반월당역과 같은 케이스. 다만 다른 사례들과 달리 신남역의 경우 반월당역처럼 대구도시철도공사 쪽에서 일부러 숫자를 맞춘 것이다. 실제로 2호선의 기점인 문양역은 216번, 3호선의 기점인 칠곡경대병원역 역시 312번으로 두 노선 모두 기점역이 1번이나 10번으로 시작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위적으로 번호를 맞춘 것임을 알 수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제3관리역이다. 팔달시장역, 원대역, 북구청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신남역을 관리한다.

2 역 정보

2호선의 경우 지하 역사에 섬식 승강장이고, 3호선 지상역사는 상대식 승강장이다. 2호선 지하역사는 2016년 6월 현재 현대로템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고,[1]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16년 9월 현재 3호선 역사의 확장 공사를 진행 중이다.

2.1 신나는 막장환승

width=55%

신남역과 반월당역, 명덕역이 남산동에서 삼각형 구도를 이루며 대구 도시철도의 중심역으로 도약할 것으로 보인다. 남산동에는 도시철도 3개 노선이 모두 통과하게 된다.

문제는 3호선이 지상 3층 높이에 지어지는 모노레일인데 비해 언덕길에 있는 2호선 신남역은 지하 4층(심도 26.5m)에 있기 때문에 막장환승이 될 가능성이 크다. 노답. 아마 엘리베이터를 많이 만들어야겠지. 3호선 건설로 인해 역 남북의 달성로가 왕복 6차선 도로로 확장되었다.

3번 출구 쪽에서 2호선 신남역을 향해 지하로 내려가는 환승 통로가 보이는데(역에서 엘리베이터까지 이어지는 육교를 보면 답이 없다) 칠곡지구를 포함한 북구 지역 출퇴근 인구가 명덕역, 신남역에 한 번에 몰린다는 걸 생각해 보면 RH에는 헬게이트 확정! 덤으로 비가 올 때 바닥이 미끄러워지면 뛰어가다가 대형 참사가...

환승 통로는 남산초등학교 방향의 3번 출구 앞에 설치되어 있다.

TBC의 한 프로그램에서 대구 도시철도 3호선 5공구 관계자들을 인터뷰한 적이 있는데, 인터뷰에 따르면 이 역에 전국에서 가장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된다고 한다. 에스컬레이터의 수직 거리는 약 35m, 수평 거리는 약 56m에 달한다. 이 역의 일부 구간이 터널 벽면으로 되어 있는 것도 그 깊이를 증명하는데, 2호선 승강장이 깊은 곳에 있기 때문에 환승 거리가 상당하다.[2] 3호선 출구로 보이는 계단 뒷쪽에 지하 연결 환승용으로 보이는 에스컬레이터도 보인다. 그리고 예상대로 전국에서 가장 긴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며 대구판 당산역이 탄생했다.[3] 현대엘리베이터에서 나온 모델로, 지하 3층에서 지상 2층, 총 57m 구간을 논 스톱으로 이어 준다고. 따라서 기존의 최장 기록인 당산역(48m)의 기록을 9m나 경신하여 국내 최장 에스컬레이터의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다만 에스컬레이터가 고장을 일으켜 승객들이 엘리베이터를 타거나 역을 빠져나가 반대편 노선의 역으로 환승하는 문제가 종종 생긴다. 이는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속도가 다른 역사와 동일하여(국내 법상 에스컬레이터의 운행 속도는 제한되어 있다.) 이를 답답하게 여기는 사람들이 뛰어서 오르내리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이므로 신남역에서 환승할 땐 가급적 에스컬레이터 위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자. 이 때문에 신남역에선 사회복무요원들이 2호선에서 3호선으로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 앞에 서서 승객들에게 움직이지 말라고 메가폰으로 승객들에게 당부하고 있다. 지상으로 올라가는 사람 외에도 내려오는 사람까지 당부한다. 긴 에스컬레이터의 특성상 윗쪽에 있는 승객들에게 육성이 제대로 전달될 리 없기 때문이다.

환승 에스컬레이터가 지상을 넘어서는 구간부터 천장이 통유리가 되는데, 한여름에 이곳을 지나가면 진짜 무지막지하게 덥다. 안그래도 극서지인 대구의 여름은 더운 것을 넘어 핫한 편인데, 통풍이 안 되어서 바깥보다 더 더워진다. 여기에 사람까지 빽뺵하다면 진정한 지옥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2호선 신남역과 반월당역 사이에 건넘선과 연결선이 설치되어 있다. 문양차량기지사업소가 경검수만 가능한 관계로, 2호선 전동열차는 이 역에서 반월당역 진입 직전에 갈라지는 연결 선로를 통해 월배차량기지사업소로 이동하여 중검수를 받는다. 이 선로는 명덕역과 직결되어 있다.대구판 가락시장방이 연결선

3호선 공사로 인해 남산초등학교 쪽으로 나와 있던 3번 출구, 5번 출구 건너편에 있었던 4번 출구가 한때 폐쇄됐으며, 3번 출구 옆에 있던 2호선용 엘리베이터도 3호선 공사로 인해 철거됐다. 옛 3번 출구 자리에는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설치됐고, 2호선용 엘리베이터도 환승용 엘리베이터 옆에 붙여 놓은 형태로 재설치했다. 그 옆에 지하-지상 환승 통로(에스컬레이터)가 올라갔다. 그리고 바깥에서 볼 때 엘리베이터와 3호선 역 사이를 직각으로 연결해 놨다. (고소공포증...) 2014년 11월경 구 3번과 4번 출구(두 출구는 3호선 개통으로 7번과 8번 출구로 각각 바뀜)가 재개방되었으며, 3호선이 완공되면서 출구 4개가 더 늘어나 총 9개가 되었다.

환승용 에스컬레이터 옆에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있는데, 3호선 대합실 쪽에 있는 환승 통로와 완전히 이격되어 있다. 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했다면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환승 통로를 지난 후, 방향별로 양 끝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를 한 번 더 타야 한다.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3호선 대합실과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환승용 엘리베이터가 고장났다면 사실상 엘리베이터 전용 환승통로에 완전히 갇히게 된다. 승강장 - 환승통로 방향별 엘리베이터는 서문시장 방향의 양쪽 끄트머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엘리베이터를 3호선에서 2호선 환승시 이용하고 싶으면 용지 방면은 제일 뒷칸/칠곡 방면은 제일 앞칸에서 내려야 한다.

가장 빠른 환승은 문양방면 2-4 출입문 or 3-1 출입문, 영대방면 6-4 출입문이 가장 빠르다. 특히 문양방면 2-4 출입문으로 내리면 바로 환승 통로와 연결된 계단이 나온다. 하지만 이 출입문과 정반대편에 내렸다면 그야말로 막장환승 오브 막장환승이다.

백문이 불여일견. 직접 보자.

2.2 승강장

2.2.1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반월당
반고개
대구 도시철도 2호선반월당·만촌·범어·영남대 방면
대구 도시철도 2호선두류·용산·계명대·문양 방면

2.2.2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남산
서문시장
대구 도시철도 3호선명덕·대봉교·수성못·용지 방면
대구 도시철도 3호선달성공원·만평·칠곡운암·칠곡경대병원 방면

3 역 주변 정보

역 인근에 서문시장이 있다. 서문시장은 1번 출구로 나와 이 역에서 북쪽 도로 혹은 양말집이 많은 대신동 양말골목(계성초등학교 옆길)으로 400m 가량을 걷다 보면 나온다.

3호선의 4, 5번 출구에 가까운 달성로 쪽에는 남산초등학교, 대구은행 덕산지점, 남산4동우체국이 있다.

서문시장역이 생기기 전에는 이 역에서 서문시장으로 갈 때 대신동 양말골목 입구 앞에 있는 1번 출구로 나와서 양말골목을 통해 계성초등학교 쪽으로 가는 게 그나마 가까웠다. 현재는 3호선 서문시장역이 서문시장 바로 앞에 생겼으므로, 쾌적하게 이용하려면 3호선 서문시장역까지 이용하고 거기서 내리는 것이 더 낫다. 그리고 승강장에 바로타용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어 있다. 물론 환승하기가 귀찮다면 여기서 내려서 걸어가도 되긴 하지만, 보도가 좁고 사람들이 미어터지기 때문에 보도 환경은 그리 좋지 않다. 뭐 운동삼아 걷겠다면 상관은 없지만.....

서문시장에 가는 사람들 외에도 서문시장 맞은편에 있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을 찾는 사람도 많다.(9번 출구) 하지만 이 역시 바로 앞에 서문시장역이 있기에 9번 출구에서 내리는 거보다 3호선 서문시장역까지 이용할 것을 추천한다. 인근에 주거지역 및 학교가 있으나, 시장에 근접한 역인 만큼 노인 승객들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고 에스컬레이터 사고가 빈번히 일어난다.

남산동과 대신동 일대의 재개발로 인해 이 역 주변으로 남산휴먼시아, 남산그린타운(대구도시공사의 시영아파트), 대신센트럴GS자이아파트, 대신동태왕아너스, 남산동극동스타클래스 등 아파트가 많이 생겼다. 대신센트럴GS자이아파트 입주 후 남산그린타운 입구에 신호등이 새로 깔렸다. 또한 신남역 주위에 남산4-5지구(자이),남산2-2(롯데캐슬), 남산재마루(삼호이편한세상), 대신2-3지구(삼호이편한세상) 등 재개발 또는 재건축 예정된 곳들이 많다.

3호선 개통 이후 2호선 측 출구인 1번 출구에 에스컬레이터 설치로 인해 1번 출구가 잠시 폐쇄됐으나, 현재는 재개방됐다.

4 사건사고

2000년 1월 22일 신남네거리 2호선 공사장 복공판이 무너지면서 동명교통 소속의 601번 좌석버스가 30m 아래로 추락해 승객 3명이 매몰사한 사고가 있었다.[4]

5 환승 가능한 시내버스

정류소시내버스
신남역(1번출구)323, 909, 성서2, 250(성주)
신남역(2번출구)323-1
신남역(8번출구)405, 323-1, 609
남산초등학교앞300, 609, 651, 836
남산초등학교건너300, 609, 651, 808, 836, 606(고령)

개판같은 2015년 8월 노선 개편에 따라 남산휴먼시아 정류장은 305번의 폐지, 600번의 단축으로 정류장이 말소됐다. 이유는 급행6번성주 250번이 신남네거리에서 동산병원으로 좌회전하면서 305번처럼 달구벌대로를 타고 동쪽으로 가는 버스가 전멸했기 때문이며, 급행6번은 양쪽으로 신남역을 무정차 통과해 버린다. 노선 개편을 많은 반발에도 강행한 대구시 버스운영과는 남산동이 1, 2, 3호선이 모두 모이는 곳이니 도시철도를 강제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예상대로 남산그린타운, 남산휴먼시아, 대신센트럴GS자이 주민들은 동편으로 직진하는 버스 노선을 한 개도 안 남기고 모조리 날린 반면 1호선과 중복되는 노선들은 대거 살아남고 2호선의 담티역 이후 구간의 노선 정리가 전혀 안 된 병크를 두고 매우 격노했으며,죄송하지만 그건 대구시청 대신 경산버스에다가 따지시죠? 이에 따라 버스 동호인들과 시민들은 805번에게 남산동 구간을 맡겨 신 노선 203번을 개통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5]

2016년 2월 개편으로 323-1번909번서문시장5지구 구간을 맞바꾸면서, 말소되었던 '남산휴먼시아'정류장이 '신남역(2번출구)'라는 이름으로 부활해 323-1번이 정차한다. 그러나 323-1번은 달구벌대로로 직진하지 않고, 매일신문사로 좌회전하여 CGV대구한일 방면으로 운행한다. 때문에 좌회전 차로변경 관계로 '엘디스리젠트호텔건너' 정류소에는 정차하지 못하며, 대신 서편에 신설된 '신남역(8번출구)' 정류소에서 승하차를 받고 있다.

6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
4,553명5,614명5,866명5,874명6,377명6,527명6,776명6,927명
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7,363명7,395명6,723명
대구 도시철도 3호선
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1,437명
  1. 2016년 8월 현재 시험 가동 중.
  2. 「118번째 직업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리얼인터뷰 通, 2015-06-27, TBC
  3. 「현대엘리베이터, 57m 국내 최장 에스컬레이터 설치·운행」, 2015-04-28, 이데일리
  4. 「대구 지하철공사장 붕괴. 버스 추락, 3명 사망추정」, 2000-01-22, 문화방송.
  5. 203번은 도시철도마저 거리가 먼 서구 상중이동, 달서구 용산1동 주민들이 202(-1)번이 폐지되자 남산동 이상으로 불편해져 202(-1)번을 대체하고 남산동에서는 305번, 420(-1)번(남산2동)를 대체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간선버스 노선으로, 가르뱅이에서 성당시장까지 202(-1)번의 경로로 가다가 파도고개로 진입한 후 남산동, 기존 805번 경로, 경북대 셔틀 주차장까지 운행하며 이를 위해 문제덩어리인 서구1(-1)번을 폐지하고 북구(3공단)는 234번에게, 죽전네거리와 서대구산단을 관통하는 선형의 연결은 240번에게 대체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경북대 본관의 학생 복지를 위한 긍정적인 자세와 지역주민, 경북대 학생들의 간절한 요구, 민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경대 본관은 시내버스 진입을 차단하는 입장이라 좋은 대안이 되지 못하며, 현재도 경대 본관은 묵묵부답인 상태. 서구1(-1)번은 단독구간 때문에 조정이 어려운지라 대구시청은 서구1(-1)번의 폐지에 대해 그런 거 없다는 입장이며, 지금도 서구1(-1)번은 멀쩡히 잘 다닌다. 오히려 시민들의 의견과 달리 240번은 무려 3대 감차해 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