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부산 도시철도의 역에 관한 것입니다. 대구선에 있었던 동명의 역에 대해서는 신평역(대구선)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부산 도시철도 | |||||
1호선 | |||||
시종착 | 1.6 km | 신 평 (101) | → 1.6 km | 노포 방면 하 단 | |
신평차량기지 인입선 | |||||
시종점 | 신 평 | → ? km | 신평차량사업소 |
신평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Sinpyeong |
한자 | 新平 |
일본어 | |
중국어 | |
역번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101 |
300px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크게보기 | |
300px 신평역사 크게보기 | |
300px 역안내도 크게보기 | |
주소 | |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40 (舊 신평동 646) | |
부산 도시철도 | |
운영기관 | " />?width=100 |
1호선 개업일 | 1994년 6월 23일 |
新平驛 / Sinpyeong Station
- 승강장 위치 : 지상 1층(대합실 지하 1층)
- 승강장 형태 : 2면 2선(상대식 승강장)
- 승강장 횡단여부 : 불가능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1 | 신 평 | ▷ | 남 포 | ||
2 | 없 음 | ||||
3 | 없 음 | ||||
4 | 없 음 |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01번.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신번영로 140(舊 신평동 646번지) 소재.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시종착역이며 다대포해수욕장역 방면으로의 연장공사가 진행중에 있다. 앞으로 연장선이 개통되면 종착역의 기능을 다대포해수욕장역에 넘길 예정이다.[1]
신평차량사업소와도 가까우며 그 때문에 승강장은 지상에 있지만 대합실이 반지하에 있는 구조로 만들어졌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의 역 중에서 그 규모가 매우 크고 아름답다.
이전 역과 공사 중인 다음 역 하단역, 동매역과는 역간거리가 상당히 긴 편이고[2] 거기에 더해 급곡선 구간으로 서행을 하느라 소요시간이 오래 걸리는 편이다.
2 승강장
종착역 | |||
하 | ㅣ | ㅣ | 상 |
↓ 하단 |
상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당역종착 |
하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부산역·서면·동래·노포 방면 |
3 역 주변 지역
역 서남쪽과 서쪽에는 신평공단이 들어서있으며 이 때문에 출퇴근시간에 북새통을 이룬다. 역 동쪽은 신익강변아파트 등 아파트가 밀집되어 있는데 역 동쪽으로 나가는 4, 6번 출구는 차량기지와 주차장 건너편에 있기 때문에 대합실에서 상당히 긴 통로를 지나야 한다.
사실 이 동네 형성 자체가 둑을 쌓아서 인공적으로 만든 동네고 1900년대쯤에 새로 생긴 땅이다. 장림에 둑을 쌓는 과정에서 바닷물이 빠져나가 사람이 살 수 있는 땅이 생겨버린 것. 그래서 당시 새벌, 새말, 신촌 등으로 불리다가 "새벌"로 지명이름이 확정되었고, 1904년에 "새벌"을 의미하는 新平이라는 한자지명을 부여받았다. 이후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면서 순우리말을 금지하자 "신평"으로 확정되었다고는 하나 이는 사실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다.
하단역·괴정역과 더불어 다대동·장림동 주민들에게는 중요한 환승지점이기도 하다. 계단을 지나 게이트를 빠져나오자마자 보이는 출구에는 마을버스와 사상 - 고현 / 장승포 간을 운행하는 시외버스만 정차하고(주로 장림-다대방향) 지하통로를 따라 좀 걸어가야 시내버스 타는 정류장이 나온다.
4 기타
대한민국의 도시철도역 중 가장 남쪽에 있는 역이다. 북위 35도 05분 42초로 같은 노선의 남포역이나 자갈치역,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과는 미세한 차이. 그러나 최남단 타이틀도 2016년 말이면 같은 노선의 연장구간 종점인 다대포해수욕장역에 넘어갈 예정이다.
참고로 최동단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 최서단은 인천국제공항철도와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의 용유역, 최북단은 의정부경전철 효자역이다. 광역철도 제외.
5 일평균 승차량
- 하차량은 포함하지 않는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11,345명 | 10,363명 | 9,555명 | 8,936명 | 7,800명 | 7,131명 | 7,777명 | 7,695명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8,245명 | 9,845명 | 9,583명 | 9,365명 | 9,346명 | 9,345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