魏略, (영어)Weilüe (3세기 경)
1 개요
중국 삼국시대의 역사서. 지은이는 위나라 시대 사람인 어환(魚豢)이다. 당나라 때 유실되었으나 청나라 시대에 들어와 역사가 왕인준(王仁俊), 장붕일(張鵬一)이 각각 흩어진 기록들을 한 데 모아 집본(輯本)을 편찬하였는데, 이 중 장붕일의 집본을 제일로 친다. 총 25권에 보유(補遺)편 6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내용
≪위략≫은 삼국이 통일되기 전의 시기를 다룬 역사서이며, 제목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저자가 위나라 사람이라 주로 위나라 시대를 중심으로 편찬되었다. 현재는 사라진 책이지만 ≪정사 삼국지≫에는 배송지의 주석을 통해 그 내용이 일부 기록되어 있다. 특징은 위나라, 진나라 시대 중요 인물들의 이름을 적을 때 전혀 피휘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당대 1차사료이므로 가치가 대단히 높으며, 진수의 ≪삼국지≫ㆍ<위서> 부분에선 왕침의 ≪위서(魏書)≫와 함께 주요한 참고 문헌이다.
저자 어환은 위나라시대 낭중(郎中)을 지냈고 ≪위략≫과 또 다른 역사서 ≪전략(典略)≫의 저자라는 것 말고는 전해지는 기록이 없으며, 이 두 역사서 모두 전해지지 않는다. 또한 전체 분량에 대한 기록이 전혀 일치하지 않는데, 각각 ≪구당서≫에서는 38권, ≪신당서≫에서는 50권이라는 기록이 전해진다. 편찬 시기로는 대략 위나라 말기부터 진(晉)나라 초기일 것으로 추정되나 분명하지는 않다. 구체적으로는 서진 사마염(司马炎)의 제위 기간인 태강(太康) 연간(280년 ~ 289년)에 지었다고 전해지기도 하나, 그 외에 여러가지 다른 주장들이 있다. 당나라의 유지기(劉知幾)는 조예 시대 까지 기록되었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그 시기 이후의 기록도 존재한다. 가장 마지막의 기록이라고 여기지는 것이 ≪삼국지≫ㆍ<가규전(賈逵傳)>의 주석에 인용된, 조모의 제위 시기인 감로(甘露) 2년(257년)의 기록이므로, 그 이후에 책이 완성되었거나 중단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삼국이 통일되기 전에 서술된 역사서라서 적국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에, 촉이나 오등에 대해서는 뻘글급의 기사를 쏟아낼 때가 있다. 교차검증하지 않고 맹목적으로 받아들이면 위험한 기록이다. 대표적인 뻘글로는 제갈량이 유비를 만난 삼고초려와 기록이 전혀 다른 대목, 유선이 어릴 때 노예로 팔렸다가 유비가 입촉한 후에 다시 만나서 태자가 되었다는 '유선 벤허설'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유선에 관한 기록은 촉한의 기록과는 도저히 일치하지 않는다. 어쩌면 유선의 정통성에 흠집을 내기 위한 기록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어환이 위ㆍ진의 인물이었다는 점 때문에 '동시대 적국에 대해 세세한 기록을 남길 수 없다'며 염행의 마초 폭행설이나 위연의 자오곡계책 등이 비판받기도 한다.
그러나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위략≫은 거의 대부분 배송지가 주석으로 인용한 부분들이고, 일단 그의 감수를 한 번 거친 상태이기 때문에 무턱대고 의심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유선 벤허설'같은 경우는 '괴이한 망설(妄說)'이라며 대차게 비판했고, 제갈량이 먼저 유비를 찾아갔다는 내용도 '괴이하다'며 의문을 표했다. 아예 말도 안되는 얘기같으면 배송지가 이를 인용하되 반박 역시 준비한다는 얘기다. 따라서 위략의 기록이라도 배송지가 별다른 이견을 보이지 않는다면 다른 사료와의 교차 검증을 통해 오류가 없을 경우 받아들이는 편이 맞을 것이다. 또한 뻘글들이라도 당시 위나라 관점에서 본 시선을 알려주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어느 정도의 가치는 있다.
몇몇 이야기들이 지나치게 허황돼서 그렇지 전체적으로는 신뢰성있는 기록들이 더 많다. 당나라의 유지기(劉知幾)도 신뢰성을 기록의 문제삼기보다는, 사건의 자초지종을 전부 세세하게 기록하는 바람에 내용이 번잡하다고 비판하고 있다. 다만 오히려 그 덕분에 이민족과 관련되 진귀한 기록들도 많이 전해지게 되었다. 대표적으로는 고조선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어 현재까지도 한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심지어 대진국(大秦國), 즉 로마 제국에 대한 기록까지 존재할 정도인데 이는 중국 측에서 현존하는 문헌으로서는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이다.
3 한국사와 위략
한국사에서는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전 2세기 초까지 고조선에 대해 남긴 위략의 기록이 ≪삼국지≫ㆍ<위서>ㆍ<동이전>의 한 조(條)에 인용되어 남아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다. 기자조선설에 따른 윤색 기록 등이 일부 보이기는 하나 ≪사기≫ㆍ<조선열전>에서도 기원전 2세기 전의 상황은 전하지 않기 때문에 ≪위략≫의 기록을 배제하면 고조선 역사 절반은 추측만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이외에도 삼한 및 낙랑군 등에 관련하여 전하는 기록도 중요하다. 애초에 한국 고대사는 사료 자체가 원체 귀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둔황 석굴에서 발견된 돈황문서(敦煌文書) 중 하나인 7세기 경의 ≪토원책부(兔園策府)≫에서 ≪위략≫의 인용문이 새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동예의 풍속으로 알려진 무천은 고조선의 풍속이며, 부여의 제사 풍속으로 알려진 소 발굽을 이용한 점도 고조선의 풍속이었다고 한다. 링크 사실이라면 고조선 연구에 새로운 가설 몇 개쯤은 세울 수 있는 자료이다.
4 그 외
사승(謝承)의 ≪후한서≫와 어환의 ≪위략≫이 고려에 존재했다는 주장이 인터넷에 퍼져 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이자의(李資義) 등이 송나라에서 귀국해, '송나라 황제가 우리나라 서적 가운데 선본(善本)이 많다는 말을 듣더니 관반(舘伴)[1]을 시켜 필요로 하는 서적 목록을 주면서 비록 완질이 아니더라도 필히 베껴서 부쳐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고려사 선종 8년(1091) 신미년 6월 병오일) 이 말은 그 서적들이 고려에 있다는 뜻이 아니라 혹시라도 있으면 보내달라는 의미다. 실제로 그 목록 중에 송나라로 보낸 책이 하나가 있는데, 바로 유향(劉向)이 지은 책인 ≪설원(說苑)≫만 고려가 송나라에 보낸 기록이 있다.[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