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제서

중국의 정사서
흠정 24사
순서이름저자권수
1사기\[[[전한]]\] 사마천130
2한서\[[[후한]]\] 반고100
3후한서\[[[유송]]\] 범엽120
4삼국지\[[[서진]]\] 진수65
5진서\[[[당나라|당]]\] 방현령130
6송서\[[[양나라|양]]\] 심약100
7남제서\[[[양나라|양]]\] 소자현59
8양서\[[[당나라|당]]\] 요사렴56
9진서\[[[당나라|당]]\] 요사렴36
10위서\[[[북제]]\] 위수114
11북제서\[[[당나라|당]]\] 이백약 등50
12주서\[[[당나라|당]]\] 영호덕분 등50
13수서\[[[당나라|당]]\] 위징85
14남사\[[[당나라|당]]\] 이연수80
15북사\[[[당나라|당]]\] 이연수100
16구당서\[[[후진]]\] 장소원 등200
17신당서\[[[북송]]\] 구양수225
18구오대사\[[[북송]]\] 설거정 등150
19신오대사\[[[북송]]\] 구양수74
20송사\[[[원나라|원]]\] 탈탈496
21요사\[[[원나라|원]]\] 탈탈116
22금사\[[[원나라|원]]\] 탈탈135
23원사\[[[명나라|명]]\] 이선장210
24명사\[[[청나라|청]]\] 장정옥 등332
기타 정사서
-동관한기\[[[후한]]\] 유진 등22
-신원사\[[[중화민국]]\] 커사오민 등257
-청사고\[[[중화민국]]\] 자오얼쉰 등536


南齊書

1 개요

중국 정사 25사 중 하나이다. 『남제서』는 479년 고제 소도성(蕭道成)이 송 순제에게 선양을 받아 제나라를 건국한 후 502년 화제 소보융(蕭寶融)이 피살될 때까지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는데 양나라 때 이부상서를 지낸 소자현(蕭子顯)이 기전체 방식으로 편찬했다. 원래는 『제서(齊書)』라고 불렀으나 북송 때 『남제서』로 사용했다. 원본은 60권이었으나 「자서」한권이 산일되어 현재는 59권으로 남아있다.

2 편찬 과정

오균이 제사(齊史)를 편찬할 것을 황제에 올렸으나 거부당하고 소자현이 편찬을 스스로 맡았으니 『남제서』는 형식상은 사찬이나 관찬이나 마찬가지이다. 심약(沈約)과 위수(魏收)가 각각 『송서』, 『위서』를 스스로 편찬한 경우를 보듯 위진남북조시대에는 사관의 역할에 자발적으로 지원하는 자가 많았다. 따라서 당나라 때 형성되었다고 보는 설관수사(設官修史)가 이미 남북조시대 때 만들어졌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다. 소도성은 등극한 후 1년 뒤 480년에 사관을 두기 시작했다. 남제에 대한 사서로는 단초와 강엄이 편수한 『제사(齊史)』가 13권이 있었는데 이로서 이미 10지가 만들어졌다. 양나라 때 편찬된 소자현의 『남제서』와 더불어 심약의 『제기(齊紀)』 20권, 오균의 『제춘추(齊春秋)』 등은 모두 『제사』를 참조하였다.[1]

3 구성

본기(本紀) 8권, 지(志) 11권, 열전 40권으로 총 59권이다.

4 의의와 평가

『남제서』는 양나라 때 찬술된 까닭과 편찬자 소자현이 종실의 구성원이기 때문에 사서에 주관적인 입장이 내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예를 들어 할아버지 고제의 등극이 아름다운 선양 과정으로 미화되어 있는가 하면, 아버지 예장왕 소억(蕭?)의 활동이 극찬된 것은 소자현의 가치가 개입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 좋은 대목이다. 하지만, 양무제와 그의 부친 소순지의 이름을 냉정히 피휘(避諱) 한 점을 미루어 보아 소자현도 양의 신하로서 자세를 지키고 있다. 또한, 제나라 말기 동혼후(東昏侯)의 폭정, 사치, 살육 등의 묘사를 적나라하게 하여 제나라가 망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을 논찬에서 밝히고 있다. 이것은 어찌보면 남제의 멸망을 애석한 심정으로 집필한 것일 수도 있지만, 적어도 편협한 사고로 감정을 드러내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하다. 소자현은 동시대의 목격자로서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역사를 저술할 수 있었다. 그런 연유로 『남제서』는 사료가 비교적 충실한 편이며, 객관적인 인식과 가치판단을 고결한 문체로 잘 표현한 역사서이다.

심약과 소자현은 동시대 인물로 비슷한 삶을 살았기 때문에 이는 곧 『송서』와 『남제서』가 비교되곤 한다. 두 사람 모두 유사한 직업과 지위를 갖고 있었기에 남조의 문벌체제 호평이나 유불교를 함께 수용하는 종교 관념 등은 바로 이때문이었다. 지의 체례도 「식화지(食貨志)」와 「예문지(藝文志)」가 빠진 것을 제외하면 『송서』와 거의 똑같다. 단 서술 방식에서 차이가 드러나는데 『송서』는 예와 제도 등의 연원을 한나라, 위나라 시대 또는 진나라 시대까지 서술하는 경향이 있는가하면, 『남제서』는 철저히 제나라의 상황과 변화에만 초점을 두어 정리했는데, 두 사서 중 『남제서』가 더욱 치밀하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종족집단의 통치에 대해서 『송서』보다 세세하게 풀어썼다.

열전편에서는 『송서』와 극명하게 쌍방을 이룬다. 『남제서』는 똑같은 유형의 인물을 전(傳)으로 편제하는 유서법을 채택하고 있지만, 『송서』는 대서법을 택하여 이루어져 있다. 청의 고증학자 조익(趙翼)은 『이십이사차기』에서 『남제서』는 과학기술자나 의술인 혹은 수절(守節)로 유명한 사람 등 특수한 부류의 인물들은 한 열전에 나열하여 더 많은 인물들을 포함할 수 있게 되었다고 칭찬하고 있다. 이를테면, 「심문계전(沈文季傳)」에서 당우지의 반란을 상세하게 기록한 점이나 「경릉문선왕자량전(竟陵文宣王子良傳)」에서 조세와 부역의 포, 건설, 개간 등에 대한 내용이 방대한 점 등을 비추어 볼때 『남제서』는 사료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있다.
  1. 그 외에도 진나라 때 유척의 『제기(齊紀)』 10권, 왕일의 제전추 5권, 웅양의 『제전(齊典)』 10권 등이 편찬되었는데 지금은 모두 산일되어 현존하지 않고 오로지 『남제서』만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