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불교에서 나온 사자성어
- 상위 문서 : 고사성어
고사성어 | ||||||
萬 | 流 | 歸 | 宗 | |||
만 만 | 흐를 류 | 돌아갈 귀 | 마루 종 |
1.1 뜻
모든 물줄기와 수없이 많은 물결 그리고 흐름이 결국 바다에 가서 하나가 된다는 말이다.
1.2 유래
처음에 이를 소개할 때는 불교종파간의 다툼을 줄이기 위해서인 것으로 연각이든 대승이든 결국 그 끝은 열반이라는 소리다. 또한 이는 불교에서도 중요한 화두로 선이란 무엇이냐는 것에 대한 답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1.3 여담
동양철학에서 도를 깨달으면 '결국' 모든 것의 근본이 같다는 말을 흔히 하는데 이것이 소설 등으로 옮겨진 케이스.
사실 깨달아도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라지만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등으로 인해 정말로 모든 것의 근본이 하나로 가고 있다.[1]
얼핏 보면 좋은 말 같이 느껴지지만 다원주의자들은 다양성을 무화(無化)시킨다는 점 때문에 이러한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많다. 진실이 하나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있어 만류귀종보다는 백화제방이 더욱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2 무협소설 및 판타지 소설의 만류귀종
일반적으로 무협소설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으로, 정파의 신공에서 시작해서 극에 이르면 사파나 마도의 극에 이르는 것과 같다거나 혹은 마공의 극에 이른 마인이 정파 신공으로 극을 이룬 것과 같다는 식으로 나온다. 물론 종종 만류귀종을 부정하는 무협소설도 있으나, 만류귀종을 전긍정하는 예가 많다. 물론 이건 정공(正功)의 고수나 마공(魔功)의 고수, 혹은 정공(靜功)의 고수나 동공(動功)의 고수나 끝까지 익히면 그 차이가 없어진다는 뜻이지, 정공을 끝까지 익히면 마공도 쓸 수 있다는 식의 뜻이 아니다.하지만 주인공은 쓴다
양판소에서는 모든 건 하나로 통하니 검을 잘 쓰면 마법도 잘 쓴다, 고로 주인공은 소드 마스터가 되면 마법을 조금만 배워도 금세 원리를 터특해 9서클이 되는 게 당연하다는 식으로 나온다. 그러나 이건 진짜 만류귀종의 의미와는 백만광년 떨어져있다. 당랑거철 처럼 원래 의미를 이상하게 해석하는 격이라는 것이다. 현실로 대입하자면 입식타격의 고수가 종합격투기에서도 좋은 성적을 낸다던가 서버 프로그래머가 클라이언트 방면에서도 발군의 능력을 보인다던가 하는 느낌에 가깝다.
그나마 그럴싸해 보이기 위해서 무공과 마법, 정령술의 경우는 자연에 대한 이해, 혹은 기(마나)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 수록 성취도가 높다는 설정을 짜곤 하지만 이것 역시 만류귀종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
특히 농사나 요리에서 도를 깨쳐 소드 마스터가 됐다거나, 소드 마스터니까 무기제련술이 만렙이라거나 하는 경우는 답이 없다. 구두수선만 50년, 그가 만든 차세대 OS를 소개합니다.
- ↑ 글에는 이렇게 나와 있지만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을 통합해서 설명하려는 노력 가운데서 등장한 것이 초끈이론으로 사실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다. 그 이전에는 아인슈타인이 통일장 이론을 제시하면서 비슷한 시도를 했지만 그의 당대에는 실패했고 오늘날도 여전히 그러하다.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