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지신궁

한국어 : 메이지 신궁
일본어 : 明治神宮
영어  : Meiji shrine

파일:RrbeR1k.jpg

1 개요

일본 도쿄도 하라주쿠에 있는 신사, 아니 신궁. 이곳에서 받드는 신격은 그 유명한 메이지 덴노와 그의 정실인 쇼켄황후(昭憲皇后).[1][2]

메이지 덴노는 1912년(메이지 45년)[3] 7월 30일, 쇼켄황후는 1914년(다이쇼 3년) 4월 11일에 각각 사망했다.[4] 이후 지금 자리에 메이지 신궁을 지어, 1920년(다이쇼 9년) 11월 1일 낙성식을 겸하여 메이지 덴노 부부의 신위를 봉안했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본의 패전이 거의 눈앞으로 다가온 1945년 4월 14일에 미군의 공습으로 건물 대부분이 파괴됐다. 1946년 5월에 부지에 가건물을 짓고 축제를 열었다. 이후에 본격적으로 재건을 시작하여 1958년 11월에 다시 낙성하였다.

경내 부지만 약 20 헥타르, 전체 부지는 약 73 헥타르(22만평 남짓) 정도로, 일본 내 허다한 신사 중에서도 가장 큰 편에 속한다. 가는 방법은 JR 하라주쿠역이나 지하철 후쿠토신(부도심) 선 메이지 신궁 앞 역에서 도보로 1분 정도[5].

메이지 덴노는 재위기간이 너무 짧았던 다이쇼, 제2차 세계대전에 책임이 있는 쇼와와는 달리 메이지 유신을 통해 일본을 근대화시키고 부국강병을 이끈 덴노라는 이미지가 강해 일본 국민의 사랑을 받은 덴노였고, 그래서 그의 죽음을 슬퍼한 일본인들에 의해 이렇게 거대한 신사가 만들어질 수 있었던 것. 다만 역사적 입장에서는 제국주의 시기의 덴노였기 때문에 좋은 시선으로는 보기는 어렵다.

2 내부 시설

2.1 건축물

메이지 신궁 앞의 다리는 진구마에라고 하여 옛날 코스프레(그중에서도 고스로리계통)의 명소로 유명한 곳이지만, 현재는 코미케나 다른 행사에 밀려 많이 죽은 상태. 그외 길거리 밴드들이 가끔 거리공연을 하기도 한다. 그래도 평일에도 로리타메이드 복장을 한 코스플레이어를 항상 볼 수 있다.

일본에서 새해 첫 참배 스팟으로 유명한 곳으로, 하츠모데(初詣) 풍경 등이 뉴스에 나올 때는 항상 이곳이나 가마쿠라의 모습이 나온다. 새해 첫날 하루에만 300만명 정도가 찾아온다고 한다.

신궁 내 본당 건물의 기둥 따위를 보면 온통 패인 자국으로 가득한데, 이건 300만명이 몰려서 참배를 하고는 싶은데 안에 들어갈 수가 없으니까 들어가지 못한 사람들이 참배한답시고 안쪽으로 동전을 던져서 맞은 자국이다. 거의 천장 부근에도 패인 자국들이 가득한 것을 보면 정말 참배하기 힘든 듯.

건축물 자체는 그다지 특이할 것이 없지만, 지붕에 있는 푸른 기와는 구리로 만들어진 기와다. 붉은 빛의 새 구리 기와가 공기 중에서 물과 이산화탄소에 의해 산화되어 푸른 빛으로 변한 것인데, 녹청 피막이 형성되면 더 이상 녹슬지 않아 반영구적이다. 참고로 대한민국 국회의사당의 푸른 돔도 구리다.구리다는게 아니다

2.2 인공림, 토리이

참고로 주변은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는데, 인공림이다. 아무것도 없는 평지에 당시 일본식민지 등지에서 나무를 공수해와서 심은 것. 대략 10만 그루가 넘는다. 최초 구성 때는 장기적으로 100년이면 숲을 이룰 거라고 구상하고 심었는데, 50년 만에 지금과 같은 숲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맨 처음 사진의 거대한 토리이는 저것과 또 하나, 2개가 있는데 둘다 통나무로 이루어진 것. 대만에서 헌납(그들 말로는 그렇지만)을 받아서 만든 것. 그것도 하나는 벼락을 맞아 쓰러져서 다시 또 대만에서 헌납을 받아 만든 거라니, 대만은 무슨 원시림이라도 있는 나라인 것 같다.[6]

여하튼 위의 인공림과 더불어 당시 일본의 국력이 대단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대목. 인공림 덕분에 종교시설이라는 게 위화감 없을 정도로 공원기능(?)도 하는 탓에 외국인도 꽤 많이 보인다. 도심 번화가 한복판에 거대한 숲같은 느낌이라, 힐링으로 최적의 공간이긴 하다. 실제로 하라주쿠라는 초번화가에서 헤매다가, 잠시 메이지신궁에 들어오면 마치 어디 중국 무협 영화로 순간이동한 듯한 거대한 원시림을 마주하게 되며, 졸졸 흐르는 시냇물 소리라든지 새소리라든지 상당한 힐링이 된다.

2.3 술통

그리고 신사 내에는 와인과 청주가 가득 담긴 통들이 있다.

500px500px

청주는 신사 내의 행사 때 쓰려고 각 양조업체에서 기증한 것들(광고효과가 상당하다)이고, 와인은 생전에 와인을 좋아한 메이지 덴노를 추모하기 위해 외국[7]에서 기증받은 것들이다. 100년이 넘은 물건들이므로 뚜껑 따면 굉장하겠지만 아쉽게도 안은 텅 비어 있다. 언제 누가 먹었는지는 모르고(…). 아마도 신사에서 일하던 누군가가 먹지 않았겠냐는 도시괴담 같은 말이 정설로 굳어진 듯하다.

신궁 배전 내에서는 앉으면 안 된다. 신관이나 무녀가 와서 혼낸다.

일본 제국주의를 강성하게 만든 천황대마왕을 숭배하고 있는 신궁의 거대함과 웅장함을 보자면 당시 일본 제국이 얼마나 많은 공밀레를 시전하여 신궁을 건설하였였을지 눈이 아득해진다. 참배로 옆에 여러 사진과 함께 일본어, 영어, 중국어, 한국어 순서로 메이지 덴노의 일생에 대해 쓴 기다란 설명문이 있는데, 덴노 찬양 일색인데다가 이토 히로부미도 훌륭한 대신으로만 묘사해놔서, 읽다 보면 기분이 매우매우 골룸해진다.

전통 결혼식 혼례장으로도 꽤 쓰이고[8], 하여간 도쿄도내 일본인의 정신적인 집결지로 유명한 신궁. 관광지로도 유명한 곳. 하라주쿠에 올 기회가 있다면 오모테산도 힐스에만 가지 말고 한번 들러 보도록 하자.

3 권장되지 않는 행동

일반적인 관광이라면 모르지만 식민지배에 피해를 받은 입장이라면 이런 장소에서 참배나 에마 봉납[9] 등의 행위를 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일본인들 입장에서 보면 근대화, 부국강병의 상징이며, 청일전쟁, 러일전쟁 등을 승리로 이끈 인물일지는 몰라도, 한국의 입장에서는 상성이 안좋으니까. 관련기사

반대로, 바로 한글로 온갖 저주의 말을 써놓는 것또한 해서는 안될 행동이다.

일본침몰이라든지 지진나서 다 죽어라라든지, 더군다나 한글을 읽을 줄 아는 일본인이라면 혐한으로 만드는 술법이 될 수도 있다. 물론 한국언론에서는 그런 글들에는 별다른 말이 없으면서, 그냥 순수하게 소원을 빈 사람들의 글만 사진 찍어서 마치 인민재판하듯반일은 최고의 아이템 눈살이라는 식의 기사를 써놨는데, 정작 해외 관광객들에게는 저런 저주의 말이 눈살 찌푸리게 한다. 그야 어떤곳인지 생각안하니까 그나마도 한글로만 쓰면 다행이지, 심지어 일본어나 영어로 쓰인 경우도 종종 보인다.
이것은 애국행위가 아닌, 한국인들의 격을 낮추는 비매너적인 행위일 뿐이다.

아무리 반일언론이라지만, 매너를 지키며 순수하게 자신의 소원을 빈 사람들은 인민재판하듯 사진 찍어서 망신을 주고, 정작 비매너의 끝판왕인 저주의 글은[10]조용히 넘어가는 것은 언론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한다고 할 수 없을 것이다. 해외의 기독교인들도 한국이나 일본의 사찰,신사 등에서 저런 소원 빌곤 하는데, 원래 기독교에서 우상숭배는 엄금이지만 저런 것들은 그냥 관광가서 재미로 하는 거니까 봐주는 거고, 굳이 그 사람들에게 '그곳이 어떤 곳인 줄 아느냐'라며 윽박지르면서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하지만 순수하게 종교적 의미만 있는곳과 메이지 신궁같이 정치적 의미가 다분한 곳은 비교대상이 될수는 없다. 즉 모스크나 절이나 교회 성당같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순수하게 종교시설로서 받아들이기엔 많은 무리가 있는것도 사실이다.

정 일본문화를 느끼고 소원을 빌고 싶다면 다른 신사를 이용하도록 하자. 저곳에서 봉납을 하고 소원을 비는 행위는 모르고 했다고 해도, 무식하다는 소리, 알고 했다고 하면 무개념을 비롯한 각종 어그로를 잔뜩 끌수 있는, 이래나 저래나 영 좋지 않은 곳이다. 한국이나 외국의 모스크, 절, 교회, 성당같은 순수한 종교시설과는 다른 의미가 있는곳이다.

참고로 한국어, 중국어로 쓰인 에마는 정말 많은 편이다. 한국인보단 대만인들이 더 많이들 쓴다.대만인들도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았다는건 신경쓰지 말자

참고로 일제강점기대한민국에는 경성부 남산조선신궁이 세워져서 메이지 덴노를 받든 적이 있다. 8.15 광복 이후 조선에 세워진 다른 신사와는 다르게 일본인들이 직접 폐쇄행사를 했다. 다만 건물의 철거는 그보다 뒤에 우리 손으로 해야 했다. 1948년 1월 서울 남산 스키장이라는 사진에 제목이 붙어 있는데, 신사 계단에 눈을 깔아 스키장으로 썼다는 사진이 있다.

관련 포스트 남겨진 터에 세워진 것들이 남산식물원 등의 시설이었다. 지금은 그 자리에 남산공원안중근 의사 기념관이 세워졌다.

4 기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홈구장이 직선거리로 약 500m 1.5km 떨어진 곳에 존재한다. 구장 명칭 역시 이곳의 이름을 그대로 가져와 신궁과 약 2km 떨어진 메이지신궁 외원과 붙어있어서 메이지진구 구장이다. 낚이지 말자.
  1. 원명(原名)은 이치조 마사코(一条勝子). 1849년 (양력)5월 9일생. 1869년 (양력)2월 7일 메이지 덴노로부터 하루코(美子)라는 이름을 받아 개명했는데, 일본 덴노 가의 관례에 따라 성이 없어지고 이름만 있다. 사흘 뒤인 2월 9일에 메이지 덴노와 결혼하여 황후로서 궁궐에 들어갔다. 아이를 낳지 못해서, 메이지 덴노의 측실 야나기하라 나루코(柳原愛子)가 낳은 하루노미야 요시히토 친왕을 양자로 들였다. 시호는 쇼켄(昭憲). 소헌(昭憲)이란 한자를 일본식으로 읽어 쇼켄인데, 얄궂게도 조선 세종대왕의 정실이며 문종의 어머니인 심씨 또한 시호가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2. 메이지 신궁에서는 쇼켄 황태후란 이름으로 봉안했다. 쇼켄황후의 사망 당시에 다이쇼 덴노의 어머니, 즉 황태후였으므로 그런 것인데, 일본에서도 메이지 덴노의 비로서 신궁에 봉안할 경우에는 황태후보다는 황후로 칭하는 게 맞지 않냐는 의견이 많다.
  3. 메이지 덴노가 사망한 당일에 다이쇼(大正)란 연호를 공식적으로 시작했다. 그러므로 1912년 7월 30일은 메이지 45년이자 다이쇼 1년이다.
  4. 일본어 위키페디아나 한국어 위키페디아에서는 쇼켄황후의 사망일을 1914년 4월 9일로 제시한다. 하지만 메이지 신궁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사망일을 4월 11일로 설명한다. 또한 일본의 당시 신문들도, 4월 11일을 쇼켄황후의 사망일이라고 급전으로 보도했다. 일본어 위키피디아에 의하면, 실제 사망은 4월 9일이 맞으나, 당시 궁내성 대신이던 와타나베 치아키의 궁내성 내장두(內蔵頭) 시절 받았던 뇌물로 인해, 와타나베를 경질시키기 위해 여러 절차가 겹쳐서 이렇게 된 것이라고 한다.
  5. 입구까지만 도보로 1분 정도 본 신궁까지는 꽤 긴 참배로를 걸어들어 가야한다. 한 5~6분 정도
  6. 실제 원시림은 아니라도 원시림에 가까운 숲이 있기는 있다.
  7. 정확히는 부르고뉴
  8. 일요일 오전 10시 혹은 11시에 가면 전통혼례식의 시작 혹은 끝을 볼 수 있다.
  9. 신사에 흔히 보이는 나무판때기에 소원 적는 것.
  10. 입장 바꿔서 혐한 일본인이 한국 사찰에 저런 테러를 했다고 생각해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