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역대 왕세자빈 | ||||
양녕대군빈 숙빈 | ← | 세종빈 경빈 | → | 문종빈 휘빈 |
조선의 역대 왕비 | ||||
태종비 원경왕후 | ← | 세종비 소헌왕후 | → | 단종비 정순왕후 |
소헌왕후 (昭憲王后) | ||
시호 | 선인제성소헌왕후 (宣仁齊聖昭憲王后) | |
출생지 | 양주 사저 | |
사망지 | 수양대군 사저 | |
본관 | 청송(靑松) | |
배우자 | 세종대왕(世宗) | |
아버지 | 청천부원군 심온 | |
어머니 | 삼한국대부인 한씨 | |
생몰 기간 | 음력 | 1395년 9월 28일 ~ 1446년 3월 24일(향년 52세, 만 50세) |
양력 | 1395년 10월 12일 ~ 1446년 4월 19일 | |
재위 기간 | 1418년 ~ 1446년 |
1 소개
조선의 제4대 왕인 세종대왕의 왕비. 문종과 세조(수양대군), 안평대군의 어머니다. 본관은 청송 심씨로 청천부원군 심온의 딸이다. 태조의 딸 경선공주에게 시조카가 된다.
2 일생
세종보다는 2살 연상으로, 1408년 태종의 3남 충녕대군과 혼인을 하여[1] 경숙옹주에 봉해졌다가 1417년 삼한국대부인으로 다시 책봉되었다. 당시 세자이던 양녕대군의 망나니짓이 절정에 달하자 시아버지인 태종이 양녕대군을 내쫓고 충녕대군을 세자로 삼자, 덩달아 심씨도 세자빈이 되고[2] 곧 왕비가 되었다. 본래 세종이 즉위했을 때는 세종이 직접 '검비'(儉妃)라고 왕비의 호칭을 지어 주었으나 시아버지 태종은 아들의 네이밍 센스에 혀를 차며 발음이 고르지 않다는 이유로 '공비'(恭妃)라고 고쳐주었다고 한다.무장공비?! 그래서 세종실록 초반부에는 '공비'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덧붙여 이렇게 왕비에게 비호를 지어주는 것은 세종 8년 즈음에 사라진다(후궁 항목을 참고).
세종이 왕이 되고 세종의 장인이자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이 영의정이 되자[3] 외척을 경계하여 알레르기만큼 싫어하던 태종은 강상인의 옥에[4] 심온을 연루시켰고 사은사로 세종의 즉위를 명나라에 고하러 갔던 심온은 국경을 넘고 의주에서 결국 사약을 받았다.[5]외척을 죽입시다, 외척은 나의 원쑤 이때 역적의 딸이라 하며 소헌왕후를 폐비시켜야 한다고 하였으나 세종의 항의와 아들을 이미 3명이나 두었다 하여 왕비의 자리를 지켰다.[6][7] 태종 입장에서는 이미 심씨 가문의 숙청이 종료되었고 소헌왕후가 다른 외척들처럼 야심을 내보이거나 하는 행위를 하지 않아 굳이 중전까지 쫓아낼 필요성을 가지진 않은 듯 하다.[8]
이후로는 조용히 내명부를 통솔하다가 세자인 문종의 세자빈인 휘빈 김씨의 미신 사건, 순빈 봉씨의 레즈비언 사건이 연달아 터지자 두 세자빈을 질책하기도 하였다. 실록에는 자애로우면서도 기강이 엄정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세종 8년에 한양에 큰 불이 났을 때에는 당시 지방에 나가 있던 세종을 대신해서 화재 진압을 직접 진두지휘하기도 했는데, 이때 당시 후일의 금성대군을 가진 만삭의 몸으로 화재 진압을 지휘했다. 때로 여장부다운 소헌왕후의 일면을 볼 수 있다.
만년에는 병이 생겨서 자주 피접을 나갔다가 1446년 52세의 나이로 둘째 아들 수양대군의 사저에서 눈을 감았다. 그 패륜아적인 행동을 일삼은 수양대군, 즉 세조도 어머니인 소헌왕후에겐 갖은 효도를 다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세조의 정실인 정희왕후도 시어머니 소헌왕후의 총애를 받았다. 특히 정희왕후가 장남인 의경세자(도원군)를 출산할 시각이 가까워지자, 소헌왕후가 관례를 깨고 정희왕후를 궁으로 불러들여 궁궐 안에서 출산하였다고 한다.
3 평가
남편과 아들들을 상당히 잘둔 아내이자 어머니이다. 일단 남편은 세종대왕, 장남은 문종, 둘째는 세조, 셋째는 안평대군 등등 화려하다. 자세한 가족관계는 세종대왕/가족관계를 참조바람. 자주 회자되는 바로는 만약 소헌왕후가 더 오래 살아서 단종의 치세 때 왕실의 최고 어른인 대왕대비로 있었다면 계유정난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9]
세종이 조선시대에도 이상적인 군주의 롤모델로 꼽혔듯이 소헌왕후 역시 이상적인 왕비의 롤모델로 조선시대 내내 칭송받았다. 사실 그도 그럴 것이 소헌왕후가 이끌었던 내명부는 조선시대 통틀어도 가장 안정적이었기 때문. 세자빈들 사건이 있지 않았냐고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이후의 훨씬 버라이어티한 조선의 내명부 역사[10]를 생각하면 세종 때의 내명부는 상당히 안정적인 편이었다. 애당초 세자빈들의 사건도 소헌왕후가 잘못한 거라고 할 수도 없다. 세종 또한 이런 왕비를 극진히 대했으며 역대 조선의 왕비 중 왕과의 사이에서 2번째로 많은 자녀를 둔 왕비[11]이기도 하다.(총 8남 2녀) 이처럼 왕비가 낳은 자식이 많은 게 내명부가 안정적이었던 가장 큰 요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정통성 있는 대군이 8명이나 있으니, 한둘 정도 문제가 생기더라도 큰 문제가 없었던 것. 게다가 다들 똑똑하고 능력있기까지 했다. 그래서 사건이 있긴 했...
세종 다음으로 많은 소생을 둔 신빈 김씨와도 친밀하게 지냈다고 한다. 신빈은 소헌왕후가 안평대군을 낳은 직후에는 수양대군의 유모가 되기도 했으며 이후에는 세종과 소헌왕후의 막내아들인 영응대군의 유모가 되기도 했다. 그래서 신빈의 소생들은 수양대군과 친했으며 뒷날 세조는 신빈과 그 소생의 이복 아우들도 극진히 대해 주었다. 하지만 동복 형제와 조카에겐...
4 현대 매체에서
정희왕후나 인수대비, 문정왕후처럼 커리어우먼 스타일의 왕비라기보다는 조용히 남편을 뒷바라지하는 전통적인 여인상에 가까운 왕비라서인지, 현대 매체에서는 남편 세종이 조명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조명되는 편이다.
용의 눈물에서는 당시 17살의 도지영[12] 씨가 연기했다. 역사적 이미지 그대로 조용하고 순종적인 여인상을 잘 표현해냈다. 배우 스스로가 대단히 유약한 인상을 지니고 있었는데, 후반부 상왕 태종의 외척 제거 정책에 의해 친정이 작살나 그 정신적 충격에 몸져눕는 모습이 안타까울 정도로 어울렸던 것이 아이러니.
대왕 세종에서는 주역 중 하나로 이윤지가 연기했다.[13] 남편 세종과 갈등하는 장면도 나오고 친정이나 자식을 잃었을 때의 슬픔도 표현되는 등 인간적으로 조명되기도 했다. 후반부에는 조용히 세종을 내조하며 훈민정음 창제에도 어느 정도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런데 마지막회에서는 수양대군을 데리고 명나라까지 가서 정통제에게 의복을 전해주는 장면이 나오기도 했다.(…)
뿌리깊은 나무(드라마)에서는 장지은이 연기했다. 1,2화 초반부에 등장. 심온 집안 옥사와 관련해서 등장했으며 소이를 데려다 거둔 것도 소헌왕후.- ↑ 태종의 누나인 경선공주가 소헌왕후의 숙모인데, 경선공주가 충녕군의 배필로 추천했다고 한다.
- ↑ 경빈(敬嬪)으로 봉해졌다.
- ↑ 그런데 심온이 영의정에 부임한 건 태종 본인의 명으로 이루어진 것이었다. 이에 대해선 보통은 태종이 심온을 숙청하기 위한 사전 위장으로 해석하는 편이다.
- ↑ 강상인은 군사업무를 세종에게만 보고한 적이 있었는데, 이것에 대해 상왕 태종을 모욕했으며 왕명없이 함부로 군을 움직였다는 누명을 씌우고 여기에 심온을 연결시켰다.
- ↑ 이때 심온 숙청에는 심온과 정치적 라이벌인 박은이 실무적인 주도를 하였는데, 이 때문에 심온이 죽기 직전 자손들에게 '다시는 박씨 집안과 혼인하지 마라!'고 말했다는 야사가 있다. 또한 이 때 심온 뿐만 아니라 심온의 형제와 다른 자식들까지 귀양을 갔고, 그나마 처남을 숙청했던 것과 달리 심온의 아내와 딸들은 살아났지만 변방의 관노로 전락하는 등 가문이 완전히 풍비박산났다. 이들은 태종이 사망한 뒤에야 사면되었다.(참고로 심온의 아내, 즉 소헌왕후의 어머니가 죽은 것은 세종26(1444)년이다.)
- ↑ 여담으로 그때 소헌왕후는 또 임신 중이었다.(...) 당시 복중 태아는 바로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
- ↑ 사실 즉위식도 만삭의 몸으로 치뤘다. 안평대군이 즉위식 1달 후에 태어났다.
- ↑ 무엇보다 이때 한바탕 숙청한 이유가 왕비가 아닌, 외척을 없애기 위함이었다. 폐비시켰다간 다시 왕비를 간택해서 맞아들여야 하고, 법도상 조실부모한 규수는 간택 자격이 없으니 또다시 외척이 생기게 된다. 그러면 외척 컴플렉스 걸린 태종 입장에선 다시 칼바람 한바탕(...) 더군다나 소헌왕후는 이미 아들을 셋이나 낳았다. 만일 소헌왕후를 폐비하고 세종이 새로운 비를 맞아 또 아들을 본다면, 세종의 후계구도는 매우 복잡해진다. 이복동생이 세자가 되어 계모와 갈등을 빚고, 끝내 왕자의 난으로 정권을 탈취한 태종으로선 손자대에서 또 같은 역사가 반복되길 바라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일어났다... - ↑ 계유정난 자체가 어린 단종 대신 수렴청정할 왕실 어른이 아무도 없어 정승들이 주도하는 정국에 집현전 학사들과 종친들이 불만을 품고 분열된 틈을 노리고 들어가 성공한 정변이다. 소헌왕후가 살아있었다면 명분도 없고 단종 지지세력이 분열될 일도 없어, 세력이 가장 약한 축에 든 수양대군은 할 수 있는게 없어진다. 정치적 시각이 아닌 가족적 시각에서 보더라도, 어머니가 뻔히 살아있는 상황에서 같은 어머니에게 태어난 친동생들(안평대군, 금성대군)을 죽이고 조카의 왕위를 찬탈하고 끝내 죽이는 등의 패륜을 감히 벌이지 못했을 것이다.
- ↑ 특히 성종 때나 숙종 때를 보자
- ↑ 역대 조선의 왕비 중 가장 많은 자식을 둔 왕비는 아이러니하게도 남편과 사이가 상당히 안 좋았던 태종의 왕비이자 소헌왕후의 시어머니 원경왕후이다. 원경왕후가 태종과의 사이에서 4남 4녀를 낳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데, 사실은 양녕대군에 앞서 세 아들을 더 낳았다. 따라서 실제로는 7남 4녀를 낳았던 것이다. 이 내용은 상왕으로 물러 앉은 태종이 지난 날을 회상하면서 남긴 말로, 조선왕조실록 세종 원년(1419) 2월 3일 기사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 ↑ 본명은 도지원. 현재 예명 '임서연'으로 개명.
- ↑ 재미있는게 남편인 세종 역으로 등장한 김상경과 이윤지는 나이 차가 12살 차이로 띠동갑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