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하시중

門下侍中

아 ~ 문하시중 그까짓 거? 우리 아버지 바로 문상시대(門上侍大)인데... (하회별신굿탈놀이 중)

1 개요

고려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이다. 조선영의정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2 역사

성종 1년에 처음 도입하고, 문종 때 정원을 정하고 품계를 종1품으로 정했다.[1] 충렬왕은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이 첨의부가 될 때 이 관직을 '첨의중찬'으로 고치고 첨의좌중찬, 첨의우중찬으로 나누었다. 두 관직은 첨의좌·우시중으로[2] 바뀌는데, 충혜왕이 이를 첨의좌·우정승으로 바꾸었다. 첨의부가 문하부로 바뀌고 공민왕은 좌·우 정승을 문하시중과 수문하시중으로 고친다. 조선 초기에도 정종의정부가 설치되기 전까지 문하성의 문하좌, 우시중(좌시중, 우시중 2인)이란 이름의 정1품 벼슬로 남아있다가 사라진다.

조선시대 영의정과 비슷하게 관료 최고 실권자라는 이미지 보다도 조정의 영수(領袖)라는 차원에서 일인지하 만인지상에 해당하는 명예직에 가까웠다. 같은 정승이라도 6조를 감독하는 판사를 겸임한 좌의정, 우의정의 실질적 권한이 영의정보다 막강했듯이, 중서문하성을 실질적으로 지휘하는 정2품의 문하시랑(문하시랑평장사)이 문하시중보다 실질적 권한은 더 막강했다. 고려 후기 막강한 권력을 가졌던 이인임이 문하시중 다음인 수문하시중를 역임한 것과 조선 초기 정도전이 문하좌, 우시중 다음인 문하시랑찬성사와 삼사의 수장인 판삼사사를 겸임했던 이유가 그것.

3 주요 문하시중(수문하시중 포함) 역임자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시중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고려에서는 현직 관료로서 올라갈 수 있는 최고 품계는 종1품이었다. 정1품은 임금의 스승이나 불교대사가 임명되는 국사(國師)와 같이 명예직이 받는 품계였다.
  2. 혹은 도첨의시중. 충렬왕이 첨의부를 도첨의사사로 바꾸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