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절/한국
上院寺
1 개요
강원도 평창군에 있는 오대산의 사찰이다. 조계종 소속이이며 근처에 있는 월정사의 말사이다. 세조와 관련된 일화가 많으며, 상원사 동종 등 유명한 문화재들이 있는 절이지만 요즘은 그 무엇보다 고양이석상으로 냥덕들에게 지지를 받고 있다.
2 역사
신라 성덕왕 때 지어진 '진여원'이라는 절이 있었는데, 그 것은 고려 말에 사라지고, 진여원 위에 절을 지었다고 상원사가 되었다. 진여원이 있던 곳은 상원사의 입구에 있는 부도탑자리다.
이후 영산각을 제외한 나머지 건물들은 1946년 화재로 인해 전소되었다가 1947년에 다시 중창된 것이 지금의 상원사다.
상원사는 월정사와 달리 한국전쟁 중에도 피해를 입지 않은 절로 유명하다.[1] 1.4 후퇴 당시에 국군은 월정사 등을 태우면서 후퇴하였는데, 이 상원사에도 국군이 오게 되었다. 그러나 이 절의 주지인 승려 한암이 자기까지 같이 태우라고 고집을 부렸고, 그것을 본 국군 장교가 상원사의 문짝을 떼서 태워 연기만 낸 후 돌아갔다는 훈훈한 일화가 있다.
다행스럽게 상원사는 살아 남았지만, 월정사를 비롯한 다른 유서 깊은 절들은 잿더미가 되었으니 국군의 흑역사라고 할 수 있겠다. 다만 요즘 돈을 좀 벌었는지 여러번 증축해서 새 건물이 많아졌다. 이 때문에 오래된 절이라는 분위기는 좀 덜하다. 대웅전격인 문수전에는 청기와도 올리는 등 작은 절이 화려하게 변하고 있다.
3 가람
3.1 고양이상
요즘 상원사의 주력 관광 상품. 상원사 문수전 아래 계단 옆에 쌍으로 있다. 원래는 걍 석상만 굴러다니는 것을 돌판 위에 올려놓더니, 어느새 조각된 기단위에 올라가더니, 전용 조명도 설치되고, 꽃밭도 생기고, 조명도 더 깔끔한 것으로 바뀌었다. 대체 어디까지 가는거냐. 좀 있으면 전각도 생길지도 모른다.
600px
猫石像
세조와 얽힌 이야기가 있는데, 이 고양이들이 상원사에 들른 세조 임금의 바지자락을 물며 법당으로 못 가게 막아섰다. 의심도 많은 세조가 그 것을 이상하게 여겨 법당 안을 뒤져보니 그 안에 재수도 더럽게 없던 자객이 있었다는 이야기. 이리하여 이 고양이들은 고양이 전용 밭을 하사 받고(!) 석상까지 만들어져 후세에 전해지게 되었다.[2] 이와 비슷한 일화를 가지고 있는 절이 또 하나 있는데, 금강산의 정양사(正陽寺)가 있다.[3]
한 석상은 목이 좀 긴데, 사실은 목이 아니라 얼굴이 달아 없어진 것이고 위에는 관(冠)을 쓰고 있던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확인바람
참고로 강화 전등사 대웅보전 추녀밑에는 벌거벗은 여자상(裸女像)[4]이 있고, 순천의 송광사 일주문 계단의 소맷돌에도 원숭이상이 있다. 그런데 이 쪽은 존재감이 없다. 고양이만 사랑받는 더러운 세상.
3.2 문수보살상
대한민국의 국보 National Treasures Of Korea | ||
공식명칭 | 한글 |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
한자 |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像 | |
영어 | ||
분류번호 | 국보 221호 | |
소재지 |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 |
분류 | 유물 / 불교조각/ 목조/ 불상 | |
시설 | 1구 | |
지정연도 | 1984년 10월 15일 | |
제작시기 | 조선, 1466년 |
법당에는 고양이 못지는 않아도 나름대로 유명한 문수보살상이 있다. 이 역시 세조랑 관련이 있다. 국보 제221호. 나름대로가 아닐텐데
세조는 피부병인 욕창을 앓았는데, 상원사 앞에서 목욕을 하고서 나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세조가 목욕을 하던 중에 지나가던 동자를 불러 등을 씻어달라고 요청한 뒤에 '어디가서 왕의 옥체를 보았다는 소리를 하지 말거라'라고 부탁하자, 동자가 '어디가서 문수동자를 봤다고 말하지 마십시오'라고 하고 사라졌다고 한다. 세조는 그저 데꿀멍 그 뒤에 등의 욕창이 씻은 듯이 낫자 씻은 거 맞잖아 세조는 문수동자상을 그리도록 하였다. 훗날 세조의 딸인 의숙공주가 그림을 가지고 문수동자상을 조각하여 절에 봉안했다고 한다.
3.3 상원사 동종
- 상위 항목 :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민국의 국보 National Treasures Of Korea | ||
공식명칭 | 한글 | 상원사 동종 |
한자 | 上院寺 銅鍾 | |
영어 | Bell of Sangwonsa | |
분류번호 | 국보 36호 | |
소재지 | 대한민국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 |
분류 | 유물 / 불교공예/ 의식법구/ 의식법구 | |
시설 | 1기 |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
제작시기 | 통일신라, 725년 |
상원사 동종(上院寺 銅鍾)은 확실히 유명하다. 국보 제36호이며 신라시대인 725년에 주조된 청동종으로 높이는 1.7m이다. 현재 남아있는 종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조선시대 안동의 읍지(邑誌)인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안동대도호부 관아의 문루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조선 예종 1)에 왕명에 의하여 상원사로 옮겨왔다고 한다.
귀중한 신라 시대의 유물이며, 전체의 모습이나 무늬의 수법, 특히 병좌주악천인상(竝座奏樂天人象)의 바람에 날리는 천 자락의 선 등이 부드럽고 단아해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성덕대왕신종보다 더 오래된 종이라서 현재는 종을 직접 치지는 않는다. 종소리는 성덕대왕신종 못지 않게 훌륭하단다. 특별한 행사 등으로 종을 칠 일이 있을 때에는 바로 옆에 있는 모조품으로 타종한다.
여담이지만 2015년 1박2일 국보투어에 나온 적이 있다.
4 기타
원주시 치악산 남대봉 아래에 다른 상원사가 있다. 치악산의 유래가 된 꿩 설화의 배경이 되는 곳이며 해발 1100m나 되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중턱에 있는 상원사와는 다르다. 이 쪽은 고려시대에 지어졌으나 1907년 일본군이 이 지역의 항일 의병들을 공격할 때 대웅전을 제외한 모든 건물이 타버렸던 절이다.[5] 1970년대에 재건되었다.
5 관련 항목
- ↑ 전각들은 위에 언급되었듯이 1947년에 건설되었기에 문화재적 가치는 전혀 없었지만, 그렇다고 하여 의미가 없는 건 아닌 게 이때 화재 피해를 입었다면 이 절의 국보인 문수보살상과 동종이 잿더미로 변했을 것이다.
- ↑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2014년 4월 13일 방송에 소개되었다.
- ↑ 조선 연산군 시기에 박상이란 인물이 있었는데, 연산군에게 잘보인 딸을 등에 업고 나주에서 행패를 부리던 황쇠부리(黃牛夫里)를 쳐죽이고 임금에게 알리러 서울로 떠난다. 그러다가 입암산 갈재에서 고양이가 길을 막기에 고양이를 따라가 보니 그 곳이 금강산 정양사였다. 그 바람에 왕이 보낸 사약을 가진 금부도사와 길이 엇갈려 살았고, 그 후에는 중종반정이 일어나 극적으로 살아났다. 이에 감사하면서 하남면 오사리에 수십두락의 땅을 사서 정양사에 제사를 맡겼는데, 이를 묘전(猫田)이라 했다고 한다…
- ↑ 생긴건 딱 원숭이처럼 생기긴 했으나, 여자가 맞다. 전등사를 세울 때 한 목수의 돈을 들고 튀어버린 탓에, 목수가 복수의 마음을 담아 만들었다고 한다.
- ↑ 당시 이런 경우가 제법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