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절/한국
月精寺
1 개요
강원도 평창군에 있는 오대산의 대표적인 사찰이다. 조계종 소속이이며 고려시대의 석탑인 팔각구층석탑으로 유명하다. 근처에는 월정사의 말사이자 고양이석상으로 냥덕들에게 지지를 받는 상원사가 있다.
2 역사
신라 선덕여왕 12년(643)에 자장율사가 창건했다. 자장이 중국에서 유학하던 시절에 문수보살을 만난 뒤 다시 문수보살을 만나고자 정진하던 터라는 전설이 있다. 자장과 선덕 콤비는 황룡사 목탑을 만든 것으로 유명하다.
그 뒤 고려 충렬왕 33년(1307) 화재로 절 전체가 타버린 것을 다시 재건했고, 조선 순조 33년(1833) 또 다시 다 타버린 것을 헌종 10년(1844)에 다시 중건했다.
2.1 6.25 전쟁
월정사는 6.25 전쟁 당시 우리 손으로 불태운 절이다. 1951년 1.4 후퇴 당시 국군이 월정사를 불태우고 내려갔던 것이다. 북한군이 이 절에 머물 것을 우려했던 것인데, 청야전술이라고 말은 그럴싸하게 해도 결과적으로 효과도 없던 병크였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민가는 놔두고 절만 불태워서 뭘 어쩌잔건데 월정사 뿐만 아니라 수많은 한국의 사찰들이 이렇게 사라졌는데, 그 파괴의 주역들은 거의 대다수가 화력이 좋은 미군과 빨치산을 색출하던 국군이었다.
하여간 불에 타거나 녹아내리는 것들은 모두 사라졌다. 신라시대부터 내려오던 동종까지도 녹아 없어졌으며, 남은 거라곤 화강암으로 만든 석탑과 기단, 석조보살좌상 하나 뿐이었다.
3 가람
가람 배치는 일반적인 신라 시대 양식과는 달리 탑을 둘러싸고 부속 건물이 세워져 있다. 분황사처럼 고구려 가람배치에 더 가깝다. 분황사와 다르게 탑을 바라보고 있는 월정사는 특히 더 그렇다. 가운데의 탑은 국보 제 48호인 다각다층탑인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이다.
팔각구층석탑은 고려시대의 석탑으로 송나라의 탑 양식에 영향을 받았다.[1] 또한 정릉사나 청암리 사지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고구려계열의 석탑으로도 보는데 고구려계의 목탑과 같은 팔각형의 형태도 있다. 가람배치도 그렇고, 탑도 그렇고, 고구려계의 절이라고 불러도 될 정도. 남한에는 이와 같은 탑이 남양주 수종사의 팔각오층석탑만 있다.
지금의 건물은 한국 전쟁 때 완전히 소실되어 1964년 이후로 새로 중창한 것이다. 원래 월정사의 대웅전이라고 할 수 있는 적광전은 칠불보궁이란 이름이었다. 아마도 7개의 부처상이 있었지만, 화재로 인해 다 녹아서 이름을 바꾼 것으로 추측된다.
이 외에도 한국전쟁을 견디고 남았던 석조보살좌상(보물 제 139호)이 유명하다.
4 대장경 판본
월정사에는 유명한 책이 하나 있다. 해인사 대장경판(팔만대장경판)을 가지고 찍어낸 대장경으로, 근처 상원사에서 보관하고 있던 것을 월정사로 옮긴 것이다. 단, 보통 팔만대장경이라고 하는 것은 해인사에 있는 "팔만대장경판"이며, 이 것은 책이 아니라 인쇄를 위한 목판이다.
월정사에 있는 판본은 조선 고종 2년(1865)에 찍은 것이다. 팔만대장경의 판본은 남아있는 것이 몇 개 전하지 않다.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 54호.
5 기타
북한의 국보 문화유물 제75호인 황해남도 안악군 구월산의 월정사와는 다른 절이다. 이쪽은 846년 창건하였다.
월정사의 전나무 숲길이 유명하다. 일주문에서 금강교까지 1km 남짓한 길이의 길로서 오대산으로 들어가는 산문(山門) 역할을 한다. 이 길 주위로 1700여 그루의 전나무가 울창하게 자라고 있어 멋진 광경을 연출하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의 오대산사고에 부속사찰격이 되어 자못 위세가 대단했다고 한다. 왕사인 회암사도 불지르던 유생들의 반달을 막기 위해, 관에서 힘을 준 거라 카더라 그럼 뭐해 후손들이 퐈이야해 버렸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