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닉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Sonic Boom

1 항공 용어

콩코드 여객기의 소닉붐이 담긴 영상. 다만 이 영상을 올린이조차도 '음속 돌파 장면'이라고 적어놨다. 국내외 모두 잘못 알려져 있는 용어.
비행기가 음속을 돌파할 때 나타나는 공기 저항을 '음벽' 이라고 한다.

소닉이 터졌슴다 누구누구는 펀치를 날리면 항상 생기는것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항공기 때문에 지상에서 굉음을 듣는 현상. 항공기가 초음속으로 비행하면, 항공기 주변에는 충격파라는 것이 생기는데 충격파를 통과한 유동은 압력이 급격히 변하게 된다. 한편 우리가 듣는 소리라는 것도 바로 압력차이다. 결국 충격파 때문에 생긴 압력이 급격히 변하는 구간이 지상에 까지 전달되어 굉음을 내는 것이 바로 소닉붐이다.

충격파는 어떻게 보면 공명(resonance) 현상과 비슷하다. 마하1에서의 충격파를 설명하자면, 공명 현상은 장애물에 맞고 반사되는 파동과 파원에서의 파동의 주파수가 우연히 같아서 파동이 증폭되어 진폭이 커지는 현상이라면, 충격파는 파동과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파원이 파동을 따라가면서 지속적으로 특정 지점의 진폭을 증폭시키는 현상인 것. 파원이 파동보다 빠르다면, 파동의 파원에 대한 상대속도가 파동의 전파속도와 같은 지점들에서[2] 충격파가 나타난다. 이렇게 증폭된 음파 진폭이 우리에게 소리로 들리는 것이 소닉붐.[3]

간혹 이것을 '항공기가 초음속 돌파하는 순간'에만 생긴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항공기 뒤에 소닉붐이 생기는 영역을 끌고 다닌다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듯. 충격파는 아래 그림처럼 고깔모양으로 퍼져나가며 이 파동이 관측자에게 닿았을 때 꽝하는 소리가 들린다.

600px

이러한 오해는 '소리의 장벽을 돌파하다'라는 말 때문에 많이 나온 듯 하다. 본래 이 표현은 초음속으로 비행하려하면 마치 장벽이 가로막는 것 처럼 큰 항력이 생겨서 초음속 비행하기 어렵다는 말을 뜻하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초음속 비행이 가능해지자 이 장벽을 '돌파하였다.'라는 표현을 쓰기 시작하였으며, 관련 지식이 없는 사람들은 항공기가 장벽을 꿰뚫고 나가는 이미지를 상상해서 소닉붐은 '음속 돌파 순간에만 생긴다'라고 인식하는 것 같다. 실제로 소닉붐은 초음속으로 비행중인 항공기 뒤에 연속적으로 생긴다


소닉붐 현상은 독특하여 항공기가 10km 이상 높은 고도로 비행하여도 지상에까지 그 굉음이 전달된다. 이것의 소리는 '쾅'하는 단발음이며 '콰과과과'하는 식의 길게 끄는 소리는 아니다. 이런식으로 길게 끄는 소리는 소닉붐이 아니라 전투기의 엔진소음이다(엔진 소음은 10km가 넘는 고도에서 지상으로까지 전달되지는 않는다).

한편 항공기의 형상이나 지상과의 거리에 따라 쾅이 아니라 '쾅-쾅'하고 두 번 연속으로 소리가 들리기도 한다. 항공기 머리 부분과 꼬리부분에 각각 큰 압력차이가 생기는 영역이 생기기 때문. 충격파가 두개 생기면 소리도 두번 들린다.

파일:Attachment/vapor-condensation.jpg
구글에서 'Sonic Boom'을 검색하면 가장 많이 나오는 사진. 그러나 이건 소닉붐이 아니라 수증기 응축현상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보통 소닉붐이 생길 정도로 강한 압력 변화가 생기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충격파가 생긴다. 물론 맨눈으로 이런 광경을 보기는 극히 어렵고(운이 좋으면 볼 수 있긴 한데 워낙 빨리 지나가서...) 보통은 사진촬영, 특히 공기밀도가 차이가 나서 굴절이 생기는 부분을 집중적으로 강조하는 촬영기법을 사용하여 충격파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4][5]

640px
600px
AVGN?
600px

첫번째와 두번째 사진은 총알에 의한 충격파를 촬영한 것이고 마지막 사진은 T-38 Talon 훈련기가 만드는 충격파를 촬영한 것이다. 참고로 이런걸 슐리렌 사진이라고 하는데 유동의 밀도변화에 의한 광 굴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유동의 정성적인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이 소닉붐 현상 때문에 민간 항공기건, 군용 항공기건 평시에는 사람이 사는 육상지역에서는 초음속 비행이 금지되어 있다. 사실 바다로 나가서도 먼 바다에서나 가능하다. 높은 고도로 날아도 지상에까지 굉음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미 해군이 F-4 개발 당시 동부 체사피크 만 근해에서 소닉붐이 터져서 해안가 동네 유리창들이 박살났다고 알레이 버크 해군참모총장이 직접 범인을 갈궜던 사연이 전해진다. 한국에서는 2009년 경에 주한 미군 소속 전투기 한 대가 규정을 어기고 전주지역에서 초음속 비행을 한 탓에 굉음이 발생, 지역 주민을 놀라게 한 사례도 있다. 대전광역시에서 관측된 2012년 1월 4일 7시 15분쯤 발생한 굉음은 소닉붐 때문으로 밝혀진데 이어[6], 2013년 3월 13일에 다시 소닉붐으로 인한 소음이 들려 시민불안이 가중됐다는 기사가 보도됐다. 2014년 건너뛰고 2015년 1월 21일 또 대전 전역에서 펑(...) 이 쯤되면 익숙해진다... 불기둥 안 보이면 소닉붐. 날짜를 보면 겨울에 이런 일이 발생하는데, 기온이 낮은 상태에서는 공기 밀도가 커져 저고도로 음속과 비슷하게 비행하는 것만으로도 충격파를 지면으로 전달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위에 언급한 수증기 응축현상에 따른 구름이 초음속 돌파장면이 아니라는 또 다른 증거가 바로 이것. 사진이 찍혔다는 것은 육상이거나, 혹은 육지에서 매우 가까운 해상이란 의미이므로 해당 항공기가 만약 음속을 넘었었다면 이는 엄연한 불법이다.[7]

콩코드 여객기가 비효율적인 항공기가 된 원인 중 하나도 소닉붐 현상 때문. 이 항공기는 초음속 비행에 초점을 맞춰 설계하였기 때문에, 초음속으로 비행하는 편이 효율이 더 좋다. 그러나 공항에서 이륙하여 해상으로 나가기 전 까지는 초음속으로 비행할 수 없으므로 항로 설정에 제약이 따르거나, 아니면 비효율적인 비행을 감안하고 항로를 설정해야 했다. 이러한 점 때문에 항공업계에서는 소닉붐을 줄이는 항공기 형상도 연구되고 있다.

채찍을 스냅을 주어 물체에 부딪히지 않고도 허공에서 쫘악하는 파열음을 낼 수 있는데 이 역시 채찍 끝 부분의 속도가 순간적으로 음속을 넘어 생기는 소닉붐 현상이다. (참조, 참조2)

Mythbusters에서 소닉 붐을 이용해 유리를 깨는 실험을 한 결과 진짜로 유리를 깨버린 에피소드가 있다.

2 영국의 뮤지션

본명은 피트 캠버. 80년대 영국 록 밴드 스페이스멘 3를 이끌었다. 갈라진 이후에는 언더그라운드 쪽으로 파고드는 바람에 듣보잡화 되었다. 후새드

2010년 MGMT 2집을 프로듀싱해 다시 주목받고 있다.

3 포켓몬스터기술

300px-Sonic_Boom.png
기술 이름타입분류위력명중PP
한국어일본어영어노말특수-9020
소닉붐ソニックブームSonicBoom
기술 효과특수 분류부가 효과확률
20의 고정 데미지를 입힌다.소리--

스탯 랭크 업 / 다운에 관계 없이 무조건 20의 데미지를 입히는지라 극초반에 배우는 포켓몬이 있다면 상당히 유용하다. 하지만 그게 끝. 후반으로 접어들수록, 포켓몬의 레벨이 올라갈수록 쓸모 없어진다. 단단지라면 모를까. 정확히 말하자면 레벨 5만 넘어가도 대부분의 포켓몬이 한방은 버틸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기술의 진가는 저레벨 포켓몬 포획용이다. 위력이 낮다는 것을 반대로 생각하면 아무리 레벨이 높은 상황이어도 저렙 몬스터를 포획하기 쉽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위력이 20 고정이라 피가 간당간당한 고렙 몬스터 포획에도 은근히 쓸만하다.하지만 이걸 쓸 바에는 칼등치기를 쓰고 만다.

소닉붐(스트리트 파이터)와 이름이 같은 것을 이용, 스파의 소닉붐은 정말 강력한데 포켓몬 세계관의 소닉붐은 왜 이렇냐는 개그도 있다.

다만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상당히 위협적인 기술이다. 본가와 동일하게 대미지가 20이라 레벨이 높아지면 별 의미가 없다는 점은 여전하지만 레벨이 1로 초기화되는 던전에서는 그만큼 체력도 작으므로 매우 위협적. 또한 고스트 타입에게도 상성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20 대미지를 박아준다. 특히 초반부에 소닉붐을 배우는 코일 등은 1레벨 던전의 위협적인 적이나 유용한 캐릭터가 된다.

용의 분노가 이 기술의 상위호환이며, 두 기술 공통적으로 껍질몬에게는 효과가 없다.

2세대 당시 북미판에서 기술 이펙트가 바람일으키기와 동일한 버그가 있었다. 일본판/한글판은 이펙트가 달랐다.

그 게임이랑 관련이 없다(...)

4 소닉 더 헤지혹 CD의 북미판 오프닝 / 엔딩 곡

오프닝과 엔딩 모두 곡 이름은 'Sonic Boom'이다.

5 세가에서 1987년에 만든 아케이드 슈팅 게임

이 때문에 소닉 붐 시리즈의 일본판 제목이 바뀐 것으로 보인다.
  1. 이제는 SBENU KOREA로 바뀌었다.
  2. 이 지점들의 수학적으로 풀어보면 아래와같은 고깔모양이 나온다.
  3. 파동의 세기는 진폭의 제곱에 비례한다. 소리도 마찬가지.
  4. 다시 한 번 강조하자면 충격파는 충격파일 뿐이고 소닉붐은 그 충격파로 인해 굉음이 생기는 현상이다.
  5. [1]에서 충격파를 촬영한 장면을 볼 수 있다. 2분 20초 경에 나온다. 설명에 따르면, 2010년 2월 11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촬영한 장면이다.
  6. 공군에 따르면 4일 오후 7시께 대전 인근에서 모의훈련을 하던 KF-16 전투기 편대 2대 중 1대가 수 초간 음속을 돌파해 비행했다고 한다. 조종사 지못미(..)
  7. 물론 먼 해상에서 음속돌파를 했다면 당연히 불법이 아니며 실제로 응축현상을 해상에서 촬영한 경우도 종종 있으나(당장 이 문서 맨 위의 콩코드 여객기 소닉붐 영상도 해상에서 촬영) 애당초 응축현상이 생겼다는 것은 마하 1.0 미만이란 소리. 즉 소닉붐도 생기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