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탈헬름

상위 문서 : 군복/독일군

Stahlhelm.jpg

Stahlhelm
Stahl= 철 Helm=헬멧. 그러니까 그냥 철모다. 대개 독일군의 이름짓기가 죄다 저런식이다. 피켈하우베도
Pickelhaube Pickel은 꼬챙이등을 말하고, haube는 모자를 말하니, 피켈하우베도 꼬챙이모자정도 된다. 그런데도 간지가 나는게 미스터리

1916년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독일군이 사용했던 철모.

그 전까지 사용하던 피켈하우베가 비싼 재료가 다량 필요한 데다가 제작시 수고와 시간이 많이 드는데 반해 전투용으로 쓰기에는 성능이 바닥인 점 때문에 연구를 한 끝에 개발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중반인 1916년부터 등장했지만, 실질적으로 전군이 착용한것은 대전 끝물인 1918년. 영화 서부전선 이상없다를 보면 잘 드러나는데 초반에는 등장인물 대부분이 피켈하우베를 착용하며, 영화 중반부터 새로 전입된 신병들은 슈탈헬름을 착용하고 영화 극후반이 되서야 주인공을 포함한 대부분의 등장인물이 슈탈헬름을 착용한다.

220px-Brow-armor.jpg
1차대전 모델인 M1916

helmet-heer-m18-2.jpg
개량형인 M1918. 운두가 높아지고 위가 좀 평평해진 점이 특징.

gsh03.jpg
참고로 윗부분 양사이드의 유두처럼표현을 해도 왜... 불룩 튀어나온 돌출부는 환기구멍이 아닌 일종의 증가장갑을 장착하기 위한 것.

제2차 세계대전에도 독일군의 주력 헬멧으로 사용되었으며, 일부 추축군도 사용했다. 또한 중국 국민당군도 중일전쟁 전 독일의 원조를 받아 사용했다.
helmet-heer-m35-1.jpg
M1935
helmet-m40-lw1.jpg
M1940
helmet-wss-m42-1.jpg
M1924
helmet-lw-para1.jpg
공수부대용 슈탈헬름. 일반적인 슈탈헬름이 귀를 가리는 형태인 것과는 정반대로 귀를 드러낸 형태로 설계되었다. 이는 착지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걸리적거리는 게 없다는 장점 때문에 해군에서도 잠수함(U보트) 승조원용 헬멧으로 소수 도입했다고 한다.

Wuhan_german_divs.jpg
독일의 원조를 받아 슈탈헬름을 착용한 국부군.

국부군 말고도 핀란드군이라든지 여러 친독 국가의 군대에서 쓰이면서 겨울전쟁 당시 이걸 쓴 핀란드군이 소련군과 싸웠는데 덕분에 영화 겨울전쟁에 나오는 핀란드군을 독일군으로 잘못 아는 경우도 많다.[1]

본래 참호전시 포탄 파편을 막고 포탄 폭발에 따른 충격음을 이겨내기 위해 고안된 그 특이한 디자인과 간지로 밀덕계의 슈퍼 패션 아이콘이라 할 수 있다. 다만 피탄각도 문제로 총알이 철모를 관통하는 문제가 많았고 이 녀석도 독일제답게 일반적인 바가지형 철모에 비해서는 생산비가 높고 제작시 공이 좀 더 들어간다.

귀 부분을 덮어주는 독특한 모양의 챙을 갖추고 있는 특징적인 디자인은 측두부와 후두부를 효과적으로 방호해준다는 이점이 있어서 훗날 이른바 프리츠 헬멧[2]이라고도 불리는 미군의 PASGT 방탄헬멧에도 계승되었다. 그리고 PASGT 방탄헬멧의 디자인은 이후 미군이 그 후속으로 도입한 ACH나 ECH 등의 신형 방탄헬멧에도 계승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국가의 방탄헬멧의 디자인에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이니, 슈탈헬름으로부터 시작된 이러한 디자인의 생명력은 의외로 상당히 질긴 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의미로는 그 후손들이 지금도 계속 쓰이고 있는 상황이니까....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는 서독에서는 냉전 시절을 기점으로 미국제 헬멧으로 교체되었으나 몇몇 남아메리카 국가에서는 아직도 제식으로 쓰인다. 주로 피켈하우베와 함께 의장용으로서 쓰이고 있다고 한다.

800px-Ej%C3%A9rcito_de_Chile_caballeria.jpg
800px-Mike_Mullen_with_Chilean_honor_guard_in_Santiago_3-3-09.jpg
위의 두 사진은 칠레 육군에서 의장용으로 사용중인 슈탈헬름의 모습.

book15.jpg
한편 미국식의 장비로 전부 교체한 서독군과 달리 구 독일군의 외형을 상당히 많은 부분에서 계승한 동독군은 슈탈헬름의 직계후손이라고 볼 수 있는 이 뒤집어놓은 바가지같이 생긴 헬멧인 M1956를 사용했다. 2차 세계대전 말기에 만들어진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하여 소련군의 헬멧도 참고로 해서 전후 약간의 개량을 추가한 뒤 양산화하여 사용한 것인데, 저 요상한 외형은 피탄 각도 문제로 관통되는 일이 많았던 슈탈헬름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며 기존의 슈탈헬름에 비해 생산성이 높아져서 대량생산에도 보다 용이한 설계가 되었다 한다. 그러나 아돌프 히틀러가 이 헬멧을 아주 싫어했기에 당시에는 도입되지는 않았다. 또한 외형적으로 상당히 간지가 나는 슈탈헬름과 달리 뭔가 상당히 어색하고 기괴한 느낌을 주는 묘한 외관이기 때문에, 밀덕들조차 보통은 별로 관심이 없는 편이다. 그래도 나름대로 슈탈헬름의 파생형이자 후손 중 하나인데다가(그 때문에 영미권 자료 중에서는 기존의 슈탈헬름들과 더불어 이 M1956 역시 슈탈헬름의 일종으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좀 못 생기긴 했어도 보다 보면 의외로 특유의 묘한 매력도 있기 때문에 동독군 쪽을 파는 밀덕들 중에서는 이 헬멧 역시 좋아하는 사람들도 없진 않지만.

한편으로는 냉전이 끝난 이후에는 슈탈헬름의 본가인 독일에서도 과거의 슈탈헬름을 닮은 모양새의 헬멧이 모습을 드러내게 되고 있다.밀덕들은 감격의 눈물을 냉전 시절 동안에는 슈탈헬름을 닮은 모양새의 헬멧을 사용하려 하지 않았던 독일연방군이었지만, 냉전이 끝나고 난 이후부터는 미군의 PASGT 방탄헬멧을 참고로 하여 만들어진 방탄헬멧인 M826 헬맷[3]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비록 예전의 원조 슈탈헬름을 그대로 쓰는 건 아니긴 하지만, 미군식의 PASGT 형태의 방탄헬멧을 도입하게 되면서 이것을 실전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의장용으로도 쓰게 된 것. 현 독일연방군 육군공군의장대군악대와 관련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다 보면 종종 볼 수 있는 모습들인데, 예를 들자면 아래 사진과 같다.

파일:Attachment/bundeswehr1.jpg
Gro%C3%9Fer_Zapfenstreich_Ramstein_Air_Base_2002.jpg
위 사진은 독일 육군의 전사자 장례식, 아래 사진은 독일 공군 군악대의 연주 장면을 촬영한 모습. 사진의 화질이 좋지 못해서 알아보기 힘들긴 하지만, 사진 속의 저 헬멧은 예전 독일군에서 사용되던 원조 슈탈헬름은 아니고 냉전이 끝난 이후 도입된 미군식의 PASGT 형태의 방탄헬멧에서 헬멧 커버를 벗겨서 의장용으로 사용한 것이라 한다. 행사 성격에 따라 베레모와 슈탈헬름을 지시에 맞춰 착용한다. 독일 해군 의장대 및 군악대 등은 행사시 정모를 착용하는 편이라 슈탈헬름을 쓴 모습을 보기 힘들다.

모덴군도 슈탈헬름을 쓰고 등장한다.

한국에서 식당 배달음식 오토바이 타고 다니는 분들 중 슈탈헬름 모양의 하이바를 쓰고 다니는 분들이 왕왕 목격되고 있다(...) 독일맛 짜장면 국부군맛일수도 본토의 맛! 오토바이 헬멧으로 슈탈헬름을 쓰는 것은 미국 폭주족 바이커들의 패션을 모방한 것이다.

  1. Gew98소총처럼 워낙 세계 곳곳에 뿌려졌기에 요즘도 분쟁 지역에 가면 가끔 튀어나오곤 한다.
  2. 단 이 명칭은 미군이 쓰는 명칭이 아니다. 일본 매니아에 의해 불려진 별명이며 미군들은 프리츠 라고 말하면 거의 대다수가 못 알아듣는다.
  3. 덧붙여 공수부대에서는 약간의 변화가 가해진 파생형인 M828 헬맷을 함께 채용했다고 하나, 이 M828 헬멧의 실사용례는 드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