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전쟁 | ||
제2차 세계대전의 일부 | ||
| ||
날짜 | ||
1939년 11월 30일 ~ 1940년 3월 13일 | ||
장소 | ||
핀란드 동부 지방 | ||
교전국 | 핀란드 | 소비에트 연방 핀란드 민주공화국[1] |
지휘관 | 카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하임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세묜 티모셴코 키릴 메레츠코프 |
결과 | ||
소련군의 피로스의 승리 | ||
영향 | ||
핀란드의 영토 상실 소련군의 군사적 문제가 드러남 | ||
병력 | 병력 25만 ~ 34만 명 전차 32대[2] 항공기 114대[3] | 병력 42만 ~ 99만 명 전차 2,514 ~ 6,541대 장갑차 718 ~ 1,691대 항공기 3,880대 |
피해규모 | 총 피해 7만여 명 전사/실종 2만여 명 부상 4만 3천여 명 포로 800~1천여 명 공습으로 민간인 957명 사망 전차 30여 대 파손 항공기 62대 손실 | 총 피해 36만여 명 전사/실종 4만 8천 ~ 16만여 명 부상 18만 명 포로 5천여 명 전차 300여 대 파손 항공기 1천여 대 손실 |
목차
1 전쟁
그냥 내놓으라고 해서 말을 안 들으면 목소리를 좀 높이면 될 것이고, 고함을 질러도 안 되면 총을 몇 발 쏘면 돼. 그저 그뿐이야. 이건 무척 쉬운 일이라구.[4]-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도둑놈이 따로 없다
Winter War (영어)
Talvisota (핀란드어)
Зимняя война (러시아어)
1939년 11월 30일부터 1940년 3월 13일까지 핀란드와 소련 사이에 벌어진 전쟁. 전쟁의 개전과 종전이 겨울의 시작과 끝을 함께 한 탓에 이렇게 불린다.
1.1 배경
핀란드는 1581년부터 스웨덴 왕국의 영토였고, 나폴레옹 전쟁 이후에는 러시아 제국에 속하게 되었다. 1917년 적백내전이 발발하자 핀란드는 독립을 선언하고 핀란드 내전에 돌입했다. 소련에선 적군이 승리했으나 핀란드에서는 카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하임이 이끄는 백군이 독일 제국의 지원을 등에 업고 승리했다.
1920년 핀란드와 소련은 두 국가의 경계선을 확정하는 타르투 조약(Treaty of Tartu)을 맺었다. 핀란드는 도시 페차모(Petsamo)[5]와 북극해에 접한 항구 하나를 얻어냈다. 이후에도 국경 갈등은 지속적으로 있어왔지만, 어쨌든 명목상으로나마 소련-핀란드의 국경선은 확정되었다.
1930년에 소련은 불가침조약을 제안했지만 핀란드는 이를 거절했다. 그러나 소련은 1932년에 다시 한번 불가침조약을 제안했고 결국 체결되었다. 34년에 갱신된 이 조약은 향후 10년간 서로 침공하지 말자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이오시프 스탈린의 욕심은 끝이 없었다. 적백내전 동안 핀란드 지역을 상실한 것에 대해 많은 실망을 한 그는 불가침조약을 맺었음에도 이곳을 계속 탐냈다. 1930년대 초반 성공적으로 소련의 공업화를 이룩하고 빠른 경제 성장을 일궈낸 그의 눈에 핀란드는 먹기 딱 좋은 케이크처럼 보였을 것이다.
당시 소련은 나치 독일과 맺은 독소 불가침조약에 따라 폴란드를 침공하여 폴란드의 반쪽을 접수한 상태였다. 그러나 애초에 여기에 만족할 리가 없는 스탈린이었고 그는 독일이 프랑스와 마지노 선을 사이에 두고 앉아서 시간만 보내며 노는 사이에 발트 3국을 합병했다. 다만 완전히 합병한 것은 1940년이고 이때는 영토 내 소련군의 주둔을 허용하고 해군 및 공군기지를 소련군 관할로 넘기는 식으로 협정을 맺은 상태였다. 그리고 소련은 다음 타겟으로 핀란드를 선택하였다. 게다가 독소 불가침조약 체결 당시 이미 핀란드는 소련 몫으로 밀약이 되어 있던 상태.
1939년 소련은 레닌그라드 일대의 안전 확보 등을 명목삼아 핀란드에 대대적인 영토 할양 및 조차를 요구하였다. 소련이 핀란드에게 제시한 요구는 다음과 같다.
- 핀란드와 소련 국경 부근의 카렐리야(Karelia)[6], 라플란드(Lappland) 지방 등을 포함해 약 2,300㎢에 해당되는 영토의 할양.
- 수르사리(Suursaari) 섬, 코틀린(Kotllin) 섬 등 핀란드 만의 4개 섬과 올란드 제도를 할양.
- 투르쿠(Turku)[7], 코트카(Kotka), 항코(Hanko), 헬싱키(Helsinki)[8], 비푸리(Viipuri)[9] 등 발트 해에 속한 보트니아 만과 핀란드 만을 접하고 있는 주요 항구에 대한 소련군 주둔권 및 조차 권리 보장. 대부분 약 30년에서 40년 가량이었으며 기간을 준수할 것인가도 미지수였다.
이 어처구니없는 요구에 퀴외스티 칼리오(Kyösti Kallio) 핀란드 대통령은 소련 대변인에게 "안되오."라고 짧고 굵게 대답했다.
그러자 소련 측 대표인 뱌체슬라프 몰로토프는 "이제 내 역할은 끝났소. 나머지는 붉은 군대가 말할 것이오."라는 반협박적 언어로 대답한 뒤 소련으로 돌아갔다. 애초에 스탈린은 핀란드가 요구를 거절하리라 예상하고 있었으며 회담이 결렬되자 즉각 전쟁에 돌입할 태세에 들어갔다. 소련은 이 시점에서 이미 핀란드에 괴뢰국을 세울 의도를 갖고 있었다.
1939년 11월 26일, 소련-핀란드 국경 지대의 마이닐라(Mainila)에서 소련측 국경 수비 초소가 핀란드군에게 포격을 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10] 이에 소련은 핀란드군의 포격에 대한 반격을 구실삼아 4일 뒤 핀란드에 전면적인 침공을 개시했다.
1.2 전황
파일:Attachment/winter war.jpg
▲ 핀란드군의 전설적인 저격수 시모 해위해. 저격시 적에게 위치를 들키지 않기 위해 조준경을 사용하지 않았다.
극심한 혹한기를 겪는 핀란드군은 겨울이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잘 알고 있었다.
1.2.1 핀란드군의 대비
핀란드군의 전쟁 대비는 지리적 이점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소련과의 국경은 1000km에 이르지만 기후도 좋지 않고 도로 사정도 나빠서 제대로 된 공격을 할 수 있는 지역은 그리 많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핀란드군 수뇌부는 만네르하임 선 위쪽, 즉 라도가 호수 이북 지역으로 5개 전후의 사단이 올 것이라 예상했다. 이런 예상대로라면 핀란드군은 1명 당 3명의 소련군을 상대해야 했다. 허나 실제로 라도가 이북으로 온 소련군은 그 2배가 넘는 12개 사단이었다.
더 큰 문제는 장비였다. 무기를 전부 외국에서 수입해야 하는 데다가 그 양도 많지 않았다. 연료 비축량은 19~60일분에 불과했고, 20년 전에 있었던 내전으로 안 그래도 허약한 군대는 더 약화되어 있었다. 때문에 전쟁 기간 동안 핀란드군은 노획한 장비에 상당 부분을 의존해야만 했다. 참고로 전차는 없었다(...). 정확히 말하면 있긴 있었다. 1928년에 생산된 6톤짜리 비커스 Mk. E와 1차 대전 당시 물건인 르노 FT-17. 그냥 없었다고 치자
핀란드군의 구체적인 방어계획은 이러했다.
- 후고 외스테르만이 이끄는 6개 사단으로 구성된 카렐리야 지협군은 만네르하임 선에 주둔한다. 카렐리야 지협군은 제2군과 제3군의 합동군이었다.
- 볼데마르 헤글룬드가 이끄는 2개 사단으로 구성된 제4군은 라도가 호수 북부를 수비한다.
- 도시 수비대, 국경수비대와 민병대으로 이뤄진 북부 핀란드군은 핀란드 북쪽 국경을 수비한다.
우리는 여기서 핀란드군의 전쟁 준비가 남부 공업 지대에만 집중됐다는걸 알 수 있다
1.2.2 소련군의 진격
개전 당시 소련군은 무려 25개 사단, 54만명의 병력을 동원하였는데 이는 핀란드군의 동원 병력을 전부 합친 숫자의 약 세 배에 달했다.우라돌격용[11]
전차의 숫자비는 2,400:9였다. 당시 핀란드 국방군이 보유한 전차는 전쟁 전 영국에서 수입한 비커스 Mk. E 전차 33대가 전부였는데 개전 시점에 주문 물량이 다 들어오지도 않은 상황(33대 중 26대 도착)이었으며 가격 절감을 위해 무장을 뗀 상태로 수입한 상태였다. 이때문에 개전 시점에 현지에서 무장의 장착을 완료한 비커스 E는 고작 10대에 불과했다. 이외에 구식 경전차 르노 FT-17 32대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실전에서 운용하는 것은 무리였기 때문에 대부분 땅에 파묻어 벙커나 토치카 용도로 쓰거나 노획 장비 견인 용도로 활용하는데 그쳤다. 그 밖에 비커스 E 도입시 테스트용으로 같이 들여온 카든-로이드 Mk.VI 탱켓 1대, 1933년형 4.5톤 카든 로이드 경전차 1대와 스웨덴에서 수입한 란츠베르크 182 장갑차 1대가 있었으나 전투에서의 활약은 아예 없거나 미미했다. 반면 소련은 개전 당시에만 전차 2,514대, 장갑차 718대를 동원하였으며, 종전까지 무려 전차 6,541대와 장갑차 1,691대를 핀란드 전선에 투입하였다.
항공기는 500:80이었다. 소련 3,880기, 핀란드 114기인데 핀란드는 훈련기 및 관측기, 예비기까지 포함할 경우 216기였다. 뿐만 아니라 핀란드군은 대전차포나 대공포, 야전 통신 장비도 부족한 상태였다. 한편 해방전함 2척과 잠수함 5척 등의 전력을 가지고 있었던 핀란드 해군은 연안 방어(개전 이후 해방전함은 투르쿠 항만 대공 방어에 동원되기도 했다)를 비롯해 올란드 제도와 발트 해상의 핀란드 상선 보호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게다가 핀란드군은 개인 화기조차 아무거나 되는대로 사다가 들려준 탓에 정규군도 정식 군대라기보다는 거의 게릴라 부대 수준이었다. 종합적으로 소련의 군사적 우위는 핀란드군의 3배, 공군은 30배, 전차는 100배에 달했다. 뭘로 봐도 소련군의 압도적인 우위였다.
소련의 구체적인 진공 계획은 이러했다. 남부-북부 순이다.
- 7개 사단과 1개 기갑사단으로 이뤄진 제7군은 만네르하임 선을 돌파하여 비푸리로 진격한다.
- 6개 사단과 1개 기갑 여단으로 이뤄진 제8군은 라도가 호수 북부에서 진격하여 만네르하임 선을 후방에서 공략한다(라도가 호수 북부는 만네르하임 선 동쪽에 위치하고 핀란드 전체로 볼 때는 남부지역이다).
- 4개 사단으로 이뤄진 제9군은 중부 핀란드를 공격한다. 이 공격은 핀란드를 양단하여 오울루로 계속될 예정이었다.
- 3개 사단으로 이뤄진 제14군은 무르만스크에서 북극해를 끼고 진격하여 페차모를 점령하고 로바니에미로 진격한다.
소련군은 핀란드의 수도 헬싱키를 폭격하며 진격을 시작했고, 눈 깜짝할 새에 국경에서부터 30~75km를 진격하여 핀란드군의 방어선인 만네르하임 선에 도달했다. 여기서 25만의 붉은 군대는 13만의 핀란드군과 만났다. 이때 핀란드군은 그 중 2만 1천의 병력을 빼서 방어선 앞쪽에서 지연전을 펼치려 했지만 실패했다.
핀란드군 초기의 혼란은 주로 소련군의 전차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핀란드군에는 대전차 무기가 별로 없었고 근대적인 대전차 전술로 훈련받은 병사도 없었다. 그나마 다행이었던 건 소련군 전차의 전면 장갑이 아직 두껍지 않았다는 것이다. 핀란드군은 이를 이용하여 근거리 대전차 전술을 개발해냈다. 크로우바를 전차 궤도에 넣어서 잼을 일으키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전술이었다. 대전차빠루술 나중에는 화염병(일명 '몰로토프 칵테일')이나 '카사파노스(Kasapanos)'라는 흡착식 대전차 폭약을 사용하는 전술도 자주 사용되었으며, 얼음 위에다 위장망을 깔아놓은 함정을 만들어 전차를 돈좌시키는 방법 또한 병행했다.
한편 소련군이 점령한 국경 지대의 마을인 테리요키(Terijoki, 지금의 젤레노고르스크 Зеленогорск)에서는 1939년 12월 1일 핀란드 민주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오토 빌레 쿠시넨(Otto Ville Kuusinen)을 수장으로 한 이른바 '테리요키 정부'라는 괴뢰 정부가 소련의 이익을 위해 수립되었다. 하지만 그리 큰 성공은 거두지는 못한 채 1940년 3월 12일까지 존속되다가 모스크바 평화 협정으로 겨울 전쟁이 끝나자 새로 수립된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되었다. 이 정부는 1956년 해체되었으며 그 후 카렐리야 공화국에 합병되었다.
1.2.3 전세역전
사방이 새하얀 정적에 싸여 있었다. 핀란드군 저격병들의 귀신같은 사격 솜씨를 익히 알고 있던 우리 소대의 기관총 사수 미하일로프는 맥심 기관총 앞에 달린 방탄판 뒤에 단단히 몸을 숨기고 있었다.그때 한 발의 총성이 울렸다. 미하일로프의 목이 뒤로 확 젖혀지더니 철모가 나뒹굴었다. 새하얀 눈밭위에 붉은 피가 점점 튀었다. 그 핀란드군 저격수는 기관총 방탄판 가운데 1cm 틈의 조준 구멍 사이로 총탄을 쏘아 넣었던 것이다.
우리 중대장은 응사하라고 고래고래 고함을 쳤지만, 우리는 아무도 고개를 들지 못했다. 그것은 중대장 자신도 마찬가지였다.
-소련군의 증언
12월 6일 모든 핀란드군은 만네르하임 선을 비롯한 방어선에 틀어박혀 방어전에 돌입했다. 붉은 군대는 방어선의 일부인 타이팔레에 첫 공격을 가했다. 소련군은 군사적으로 우위에 있었지만 핀란드는 기후와 강을 이용한 방어로 첫 공격을 격퇴해냈다. 14일이 되자 소련군은 다시 공격을 감행했지만 또다시 물러나야 했다. 소련군 제3사단은 전투에서 예상 외로 강력한 핀란드군의 화력에 직면하자 패닉에 빠지고 말았다. 허나 위에서 봤겠지만 솔직히 핀란드군한테 화력이라 할 만한 건 없었다 저격이 있잖아! 그럼에도 공격은 계속되었으나, 방어선은 여전히 뚫리지 않고 소련군의 피해만 늘어갈 뿐이었다. 한 번은 1시간 동안의 전투에서 병력 1천 명과 전차 27대를 잃은 적도 있었다.
한편 라도가 호수 북부의 핀란드군은 숲을 이용해서 방어전을 펼쳤다. 이곳은 도로도 제대로 형성되지 않은 험준한 지역이었다. 그러나 소련군 제8군은 이에 굴하지 않고 도로를 깔면서(...) 진격했고 덕분에 약간씩이나마 보급 상황이 개선될 수 있었다. 그렇게 조금씩 전진하고 있었는데... 12월 12일 라도가 호수 북부에서 벌어진 톨바얘르비 전투에서 소련군 2개 사단이 핀란드군 1개 연대에 개발살이 나면서 이 지역의 전세 역시 핀란드군 쪽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했다. 핀란드군은 소련군을 끌어들여서 조금씩 포위하고 각개격파하였다.
역사가 윌리엄 R. 트로터는 이 상황을 이렇게 묘사했다.
"소련군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싸우는 걸 포기한다면 그는 총에 맞아 죽을 것이다. 숲에서 몰래 움직여 탈출하려 한다면 얼어 죽을 것이다. 항복은 그의 머릿속에 존재하지 않았다. 당시 소련의 선전에는 핀란드군의 악랄함이 매우 자세하게 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핀란드군에게 악랄함이라고 할 건 없었다.
중부와 북부 지역의 도로는 라도가 호수 북부보다도 훨씬 심각했다. 핀란드군은 여기에 정규군 사단 1개도 배치하지 않는 등 사실상 이곳에 대한 방어 계획은 거의 세우지 않았는데, 이는 당연히 이런 보급 사정을 고려한 것이었다. 소련군도 공세를 펼치기엔 무리인 곳이라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뚝심의 스탈린은 이곳에 무려 8개의 사단을 전개하며 핀란드를 공격했다. 때문에 소련군은 이 지역에서 압도적인 수적-장비적 우위를 점했지만 수오무살미 전투에서 처절하게 발리며 더 이상의 진격은 좌절되고 말았다. 알아갈수록 대단하게 보이는 쏘련군
사실 소련군은 스탈린의 대숙청으로 인해 불과 얼마 전에 군부에 대한 숙청 작업을 한바탕 벌인 후였고 살아남은 사람들도 스탈린이 무서워서 제대로 된 지휘는 꿈도 못 꾸는 식이었다. 이렇게 소련군의 내부는 완전히 병들어 있었다.
스탈린의 예상과 어긋난 것은 또 있었다. 핀란드 내부의 공산주의자들이 소련군에 호응하지 않은 것이다. 이 역시 대숙청과 관련되어 있는데,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은 소련에 가서 공산국가 건설에 열중하다가 숙청당한 바 있었다. 히틀러도 그렇고 스탈린도 그렇고 왜 문짝만 부수면 건물이 무너질 거라고 생각하지
비록 소련도 추운 나라이긴 하지만 남부 우크라이나 출신의 병사들은 핀란드만큼의 혹한기는 거의 경험해 보지 못했으며, 소련의 겨울 따위 듣보잡 취급하는 핀란드 동장군의 강림으로 별로 좋지도 않은 도로가 몽땅 폭설에 묻히자 전차가 진격은커녕 보급도 못하는 상황에 빠져버렸다. 엎친데 덮치는 격으로 부실한 월동 장비 보급은 피해를 더욱 크게 만들었다. 1939~40년의 겨울 동안 카렐리야 지역의 최저 기온은 영하 43도를 찍었다. 그나마 따뜻한 남부 지역의 기온이 이 정도다. 소련군의 10%가 핀란드 국경을 넘기 전에 이미 동상에 걸려 있었다는 통계도 있다. 이 추위가 소련군에게 준 유일한 이점이 있었다면 눈이 녹지 않고 얼어서 중장비의 이동이 수월했다는 점 정도일 것이다.
소련군의 주력인 전차는 폭설 때문에 제대로 진격도 못했고, 이때를 틈타 핀란드군은 술에 불을 붙여 전차 안에다 던져 버리는 식으로 공격했다. 이때 핀란드군은 이 술병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에게 바치는 술병이라 해서 몰로토프 칵테일이라 비꼬았다.[12] 이것으로 무려 80대(...)에 달하는 소련군 전차가 파괴됐다.
더군다나 핀란드군 총사령관 카를 구스타프 에밀 만네르하임 원수가 짜 놓은 만네르하임 방어선이 워낙 단단하고 그곳을 방어하는 핀란드군이 의외로 강해서 소련군의 맹공에도 쉽게 뚫리지 않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핀란드군이 스키를 타고 나타나 총 한 발만 쏘면 발이 묶인 소련군은 오도 가도 못한 채 고립되기 일쑤였다. 움직이자니 핀란드군의 귀신 같은 저격 실력에 당하고, 가만히 있자니 그대로 얼어죽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등지에서 핀란드에 대해 자금과 무기를 지원하고 자원병을 파견하는 등 도움의 손길도 왔다. 특히 스웨덴은 영구 중립 노선을 걷는 국가임에도 겨울전쟁 당시에는 이례적이라 할 정도로 핀란드에 많은 군수 물자와 자금 지원을 해주었으며, 자원병 파견 숫자도 가장 많았다. 언급된 스칸디나비아 국가들 외에 에스토니아나 헝가리, 이탈리아에서도 소수의 자원병을 파견하였으며 영국, 프랑스, 미국 등도 핀란드에 물자를 지원해 주었다. 다만 나치 독일은 전쟁 초기 외국의 군수 물자가 자국 영토를 통해 핀란드로 들어가는 것을 허가하는 등 우호적인 입장을 보였으나 얼마 후에는 소련과의 관계 악화를 우려해 침묵으로 일관하였다. 당시만 해도 독소 불가침조약 체결로 표면상 독일과 소련은 우호국이었기 때문이다.
파일:Attachment/winter war ussr inf.jpg
▲ 얼어죽은 소련군 병사들.
총에 맞아 죽은 병사보다 얼어죽은 병사가 더 많았다. 본대와 고립되고 보급이 끊어진 소련 병사들의 운명은 가혹했다. 핀란드군은 철저하게 방어에 유리한 자연 지형을 기반으로 모티 전술(모티는 핀란드어로 큰 통나무를 장작용으로 쓰기 위해 잘게 쪼개놓은 것)을 구사하였는데, 말 그대로 통나무를 조각내듯 소련군 부대를 각개격파하는 방식이었다.
특히 12월 9일부터 다음해 1월까지 계속된 수오무살미 전투에서 소련군이 25,000명을 넘는 사망자를 내며 대피해를 보자 전쟁은 완전히 교착 상태에 빠져버렸다. 이걸 본 세계는 소련군을 비웃고 핀란드에게 갈채를 보냈으며, 타임지는 스탈린을 손바닥만한 나라한테 얻어터지는 놀라운 업적을 달성했으므로 올해의 인물로 선정했다.
1.2.4 소련군의 재반격과 종전
이는 스탈린을 상당히 당혹하게 했고, 결국 스탈린은 다차[13]에서 총지휘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와 격렬한 언쟁을 벌였다. 언쟁 도중에 스탈린이 보로실로프의 무능함을 지적하자, 보로실로프는 격한 반응을 보이며 이렇게 대답했다.
네가 유능한 장교들을 다 죽여 버렸잖아!목숨을 건 돌직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가 자신을 비난하는 이오시프 스탈린에게 내뱉은 말.
스탈린이 이 말을 듣고 느낀 게 있었는지 아니면 심하게 찔려서 그런지 촌철살인? 보로실로프는 흥분한 나머지 접시를 깨트려가면서 스탈린을 논박한 불경죄를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니키타 흐루쇼프의 회고록 영문본 Vol.1 256p.) 숙청당하지 않고 살아남았다. 대신 대숙청에서 살아남은 지휘관 중 폴란드 침공에서 맹활약했던 세묜 티모셴코가 새 지휘관으로 부임하여, 소련군을 재정비하였다.
결국 소련군은 1940년 봄이 되자 티모셴코의 지휘 아래 자신들의 지난 패배에서 얻은 교훈을 되새기면서 대규모 공습을 실시하며 90만 명의 병력을 더 투입해 총공격을 감행, 마침내 만네르하임 선을 돌파했다. 핀란드는 소련군이 만네르하임 선을 돌파하자 결국 1940년 3월에 소련에게 항복하고 평화 협정을 체결했다. 평화 협정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핀란드는 소련에 비푸리(오늘날의 비보르크. 당시 헬싱키에 이은 핀란드 제 2의 도시)를 포함한 카렐리야 지협 및 라도가 카렐리야, 라플란드 동부의 살라, 리바치 반도, 핀란드 만의 섬들을 할양한다.
- 항코 반도를 소련에 30년 간 임대한다.
1.2.5 결과
핀란드는 영토의 11%(산업 능력의 30%)와 인구의 12%를 소련에게 넘겨주었지만, 이웃 발트 3국과는 달리 소련에 흡수되는 운명은 면했다.
전쟁 기간 동안의 핀란드군은 전사자 약 2만 5,000여 명, 부상자 4만 5,000여 명의 피해를 입었으며 소련군은 전사자 12만 7천 명, 부상자 18만 9천 명이라는 경이적인 인명피해를 냈다.
1.3 이후
억울하게 영토와 재산을 빼앗기고 큰 피해를 입은 핀란드는 이후 추축국에 가담하여 1941년부터 '계속전쟁'을 벌여 잃었던 영토를 일시적으로 회복하기도 하였다. 물론 1944년에 독일을 버리고 소련에 붙어서 되찾은 영토를 다시 빼앗기지만...
소련군에게 겨울전쟁의 심각한 피해는 값이 매우 더럽게 비싼 수업료였지만, 이렇게 비싼 수업료를 내고 배운 교훈은 훗날 독소전쟁에서 크게 도움이 되었다. 소련군은 정치장교의 권한을 줄이고 머리가 굳은 늙은 장교들의 세대 교체를 이뤄냈다. 숙청은 아니다 장비, 의복과 전술에 있어서도 많은 부분에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이것이 15개월 후에 있을 바르바로사 작전 때까지 완료되진 못했다. 그러니까 뼛속까지 털리지 하지만 모스크바 공방전에서는 이때 체득한 동계작전의 교훈을 십분 활용해 나치 독일군에게 톡톡히 돌려주었다. 모스크바 전투 때는 소련군이 질뿐만 아니라 이후 전투에서 독일군에 우위였던 양까지도 뒤져 있었던 절망적인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겨울전쟁 때 체득한 동계 작전의 교훈을 활용하여 독일군을 100km 정도 패주시켰고, 이는 소련군에게 기사회생의 전기가 되었다.
1.4 기타
파일:Attachment/Talvisota Tolvajarvi 1.png
소련군의 안습 전설(?)은 여기서부터 시작. 사진에 나온 격파된 전차는 쌍포탑 사양 초기형인 T-26A(또는 T-26 Obr.31). 더불어 이 전쟁에서 핀란드군이 몰로토프 칵테일(화염병)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면서 그 존재가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통칭 '겨울 악령', '하얀 죽음', '백사병' 등 각종 이명을 보유하신 괴물 저격수 시모 해위해가 유명하다. 핀란드 공군 소속의 F2A 버팔로들과 그것을 탔던 에이노 일마리 유틸라이넨도 대단한 활약을 했으며, 그의 형 아르네 유틸라이넨도 활약했다. 여러모로 핀란드인은 전투종족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증명하는 전쟁이다.
한 가지 일화가 있는데, 핀란드 국민들이 보이는 모든 도로 표지판에 '모스크바'라고 써놓고, 진격하던 소련군이 이걸 보고 '흠? 잘못 가고 있네?'라고 생각해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길 바랐다고 한다.
이 전쟁에 투입된 소련군의 무기 중에 M1939라는 야삽과 박격포가 결합된 해괴한 물건도 있었다. 성능이 어땠냐면, 어지간한 무기는 다 쓰는 소련군이 내다 버릴 수준. 또 다른 소련군의 괴랄한 무기로는 무선전차가 있다. 그런데 이쪽은 2개 대대까지 만들어 독소전쟁 초기까지 써먹은 거 보면 나름 괜찮았는지도?
핀란드군의 하켄크로이츠 마크는 나치당과는 별개로 당시 핀란드군에 항공기를 기증한 어느 사업가[14]가 고안한 마크이다.[15]
대한민국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에 관심 있는 사람들만 잘 알고 의외로 대중적으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전쟁이다.
한편 이 전쟁을 소국이 대국을 완벽하게 이기는 것이 얼마나 불가능한지 제대로 보여주는 전쟁이라는 씁쓸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람들도 있다. 핀란드는 전국민이 일치단결하여 나라를 지키는 것은 언제나 국민 피나는 사투 끝에 전술적으로 소련을 완전히 떡발라 버렸지만 그래도 결국 인구와 영토의 10%를 내주어야 했다. 압도적인 숫적 열세 속에서 그토록 열심히 싸우고 노력했는데도 노력한 만큼의 좋은 결과가 나오지 못한 전쟁이어서 결국 자원이나 인구 같은 물량이 얼마나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뼈저리게 보여 준 전쟁이기도 하다는 것. 특히 이 부분은 전쟁 외 현실에서도 흔히 일어나는 현상인지라 겨울전쟁을 알아보고 나서 (안 좋은 의미로) 소름끼친다는 사람들도 있다.
1.5 관련 링크
2 영화
위 항목의 전쟁을 배경으로 한 1989년 핀란드 영화. 원 제목은 Talvisota(핀란드어로 겨울전쟁(The Winter War)이라는 뜻).
핀란드 남포흐얀마 지역에 자리잡은 카우하바(Kauhava) 시 예비병 출신으로 구성된 핀란드 제23보병연대(Finnish infantry regiment "Jr23") 참전 군인들이 쓴 증언과 기록을 기초로 만들었으며, 이 당시 살아 있던 참전 군인들에게 직접 감수까지 받았다고 한다. 주인공 마르티가 가족들의 만류를 뿌리치고 형제들과 전쟁에 참전하는데, 전투도중 동생 파보가 날아온 포탄에 오체분시되고 이복동생들마저 모두 전사하면서 자신만 살아남는 스토리. 상영 시간만 해도 260분에 달했으나, 해외 개봉 당시에는 190분 정도로 편집(국내 개봉 및 비디오와 KBS 방영판도 이 버전으로 소개되었다)되었고 미국에선 자그마치 120분으로 단축되어 소개되기도 했다.
파일:Attachment/겨울전쟁/WinterWar 1.jpg
원출처: http://pds22.egloos.com/pds/201106/25/22/e0006522_4e05c07e7ab62.jpg
저글링
파일:Attachment/겨울전쟁/WinterWar 2.jpg
원출처: http://pds22.egloos.com/pds/201106/25/22/e0006522_4e05c07c32823.jpg
핀란드에서 당시 사상 최대 제작비로 CG 없이 만들어낸 전쟁 영화로서 흥행이나 비평도 상당히 성공했다. 소련군의 우라돌격, 백병전, 참호전과 비처럼 쏟아지는 포탄, 폭격, 물량 공세 등 당시의 고증과 재현도 꽤 잘 된 편. 2차 대전 영화 중에선 상당한 명작으로 꼽힌다. 주 촬영지는 제지회사 UPM-키멘(Kymmene)[16]에서 제공했다.
전투씬 모음
- ↑ 소련이 핀란드에 세운 일종의 괴뢰국.
- ↑ 비커스 Mk. E: 1933년 테스트용으로 구입한 물량 1대와 수입 물량 32대(개전 시점까지 도착한 물량 26대, 나머지는 전쟁 기간 도중 및 종전 이후 도착). 현지에서 포탑 무장 장착 완료 후 부대에 배치된 전차 도합 18대(가격 절감을 위해 무장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로 전차를 수입). 실전 투입 물량 중 5대는 1940년 2월 25-27일 혼카니에미 전투에서 소실, 이후 소규모 전투에서 3대 추가 소실. // 르노 FT-17: 37mm 포 장착형과 7.62mm 기관총 장착형을 합쳐 32대. 28대 분량 전쟁 기간 중 소실(땅에 파묻어 토치카로 전환, 또는 노획작업이나 수송 도중 전장에 유기되거나 소련군에 의해 탈취). // 그 외: 훈련용 경전차 2대(카든-로이드 Mk.VI, VCL M1933 각각 1대), L-182 장갑차 1대(실전 투입), 노획전차 및 장갑차 다수(겨울전쟁 도중 실전 투입 사례 미미함).
- ↑ 훈련기, 관측기, 예비기 포함시 216대.
- ↑ 그리고 소련은 핀란드의 결사의 항전에 엄청난 피해를 입기는 했지만 씁쓸하게도 결국 목표로 삼았던 영토를 강탈하는 데 성공했고 전범국 재판 대상이 되지도 않았다. 국제 정세와 현실 정치는 이래저래 약자에게 고달프다. 비유하자면 권력이나 재산 등의 빽이 든든한 범죄자가 피해자보다 더 잘살게 되는 것과 유사한 대표적인 전쟁이라고 볼 수 있다.
- ↑ 오늘날 러시아의 무르만스크 주 페쳉스키 지구. 핀란드 독립 시점에는 핀란드 영토였지만 계속전쟁 말기 소련과 핀란드 간 휴전 협정 과정에서 소련에 할양되어 오늘날까지 러시아 영토로 남아 있다.
- ↑ 핀란드어로는 카르얄라(Karjala). 당시 핀란드의 주요 공업 지대중 하나였다. 이걸 할양해 달라는 것부터가 시비 걸려고 작정한 거.
- ↑ 핀란드의 옛 수도이다!
- ↑ 2016년 현재 핀란드의 수도이다! 이 당시에도 인구와 도시 규모에 있어 핀란드의 최대 도시였다.
- ↑ 이 당시 헬싱키에 이은 핀란드 제2의 도시였다.
- ↑ 이 사건은 소련 측의 자작극일 가능성이 높다. 당시 핀란드군이 배치했던 야포 중 마이닐라에 사거리가 닿는 장소에 배치된 야포는 없었고, 무엇보다도 러시아의 역사가 파벨 압테카르가 소련군의 일일 보고를 열람한 결과 마이닐라 포격 사건 당시 소련군의 주장과는 달리 인명 손실이 없었으며 따라서 이 사건은 조작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니키타 흐루쇼프가 이 사건은 게오르기 쿨리크 원수에 의해 계획되었다고 서술하였다는 점과 1994년 보리스 옐친 대통령이 이는 명백히 소련 측의 전쟁 도발 행위의 일부였다는 점을 인정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소련 측의 자작극으로 보는 것이 맞다.
- ↑ 당시 핀란드 성인남성인구 절반을 차지하는 숫자다. 그리고 당시 핀란드 전체인구는 당시 소련의 한 해 인구증가분 수준이었다. 때문에 소련군은 자만에 찬 나머지 장교들이 병사들에게 너무 진격하다가 스웨덴 국경 넘지 말라고 농담을 하고, 장군들도 10일치 보급품만 준비할 정도였다. 심지어 어떤 한 장군은 2~3개월치 보급품을 준비하자고 했다가 완전히 왕따당하기까지 했다. 그러나 곧 이어진 겨울전쟁에서 그러한 자만의 대가를 톡톡히 치르게 된다.
- ↑ 몰로토프 칵테일의 명칭 유래에는 이것 말고 또다른 이야기가 있다. 1940년 올림픽의 개최지는 원래 일본 도쿄였으나 중일전쟁으로 무산되어 핀란드 헬싱키로 결정되었다. 그래서 핀란드는 스타디움도 짓고 선수촌도 지으며 열심히 개최 준비를 갖췄으나 겨울전쟁이 발발하자 소련군 폭격기가 이곳에 폭격을 가했다. 이 일로 국제사회에서 비난이 일자 소련 외상 몰로토프가 "빈곤한 핀란드인에게 보내는 빵."이라며 변명같지도 변명을 했고 이에 핀란드인들이 "옛다, 빵값이다."하면서 이름을 몰로토프 칵테일이라고 지었다는 것.
- ↑ 러시아의 겨울 별장.
- ↑ 참고로 이 사업가 아들이었던 칼 구스타프 폰 로젠은 자신의 수송기를 폭격기로 개조해 겨울전쟁에 참전했다.
- ↑ 이전 버전의 문서에서는 핀란드군이 독일군 제복을 입었다고 했는데, 엄연한 독자적 제복이며 단지 그 형상이 독일군 제복과 비슷할 뿐이다. 물론 장비 지원도 받기야 받았지만 미, 영, 프, 독, 심지어 일본의 아리사카까지 굴리던 터라 딱히 혜택 봤다고 하긴 어렵다. 여기서 왠 아리사카인가 싶겠지만 1차대전 시기 제정 러시아군이 대량으로 들여온 것들 중 핀란드에 남은 것이 저때까지 쓰이고 있는 것이다.
- ↑ 제지, 임산물 유통 회사.